청음 김상헌(1570) 59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寄錦城吳使君峻(기금성오사군준) 금성의 수령 오준에게 부치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寄錦城吳使君峻(기금성오사군준)금성의 수령 오준에게 부치다  千里湖南驛使稀(천리호남역사희)아득히 먼 호남에서 오는 역참 구실아치 드무니 秋懷寥落更依依(추회요락갱의의)가을 회포 쓸쓸하고 더욱 아쉽기만 하네 相思欲寄音書去(상사욖기음서거)그대 그리워서 서신 부쳐 보내고 싶은데 鴻雁紛紛漫自飛(홍안분분만자비)기러기 떼 어지럽게 제멋대로 날아가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自鷺梁乘舟泊廣陵(자로량승주박광릉) 노량에서 배를 타고 가서 광릉에 대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自鷺梁乘舟泊廣陵(자로량승주박광릉)노량에서 배를 타고 가서 광릉에 대다 東風吹雨過龍沙(동풍취우과용사)봄바람이 비를 몰고 와 모래 언덕 지나가는데 十里樓臺兩岸花(십리루대양안화)10리에 누대 늘어섰고 양쪽 기슭에 꽃 피었네 幾處曲欄人似玉(기처곡란인사옥)몇 곳 굽은 난간에 기댄 사람이 아름답기만 한데 綠楊如畫映紅霞(녹양여화영홍하)푸르게 우거진 버드나무는 그림 같고 붉은 노을이 비치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初 夏 (초 하) 초 여름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初 夏 (초 하) 초 여름 桐華無數落紛紛(동화무수락분분)오동꽃은 헤아릴 수도 없이 어지럽게 떨어지는데 簷影悠悠日又曛(첨영유유일우훈)처마 그림자 한가하게 느릿느릿하고 해 또한 어스레 하네 睡起小窓風入慢(수시소창풍입만)자다가 일어나니 작은 창에서 바람이 휘장으로 불어 들어오고 죽鑪殘火颺微薰(죽로잔화양미훈)죽로 소 타고 남을 불에서는 아련한 향내가 피어나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悶 旱 (민 한) 가뭄을 걱정하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悶 旱 (민 한) 가뭄을 걱정하다  端陽不雨自正朝(단양불우자정조)정월 초하루부터 내리지 않은 비가 단오까지 이어지니 火日流金石欲焦(화일류금석욕초)쇠를 녹일 듯 타오르는 해에 돌오 그을린 듯하네 誰閉龍師閑袖手(수폐룡사한수수)누가 용을 가두어서 한가롭게 팔짱 끼게 했나 漫勞橫目望雲霄(만로횡목망운소)제멋대로 눈을 굴리면서 구름 낀 하늘을 바라보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曉起步月(효기보월) 새벽에 일어나 달빛 아래 거닐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曉起步月(효기보월) 새벽에 일어나 달빛 아래 거닐다 燈花落盡夜如年(등화락진야여년)등불 다 타고 나자 밤이 너무나 길어 黙坐思鄕更杳然(묵좌사향갱묘연)말없이 앉아 고향 그리워하며 생각하니 더욱 아물아물 하네 聽到曉鷄猶不寐(청도효계부불매)새벽닭이 울 때까지 여전히 잠 못 이루다가 獨來看月五更天(독래간월오경천)홀로 나와서 새벽하늘에 뜬 달을 바라보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草原守歲(초원수세) 초원에서 섣달 그믐밤을 지새우며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草原守歲(초원수세)초원에서 섣달 그믐밤을 지새우며  無人相說旅遊情(무인상설여유정)두루 돌아다니며 구경하는 정취를 서로 이야기할 사람 없기에 守歲他鄕對短檠(수세타향대단경)타향에서 낮은 등불 마주해서 섣달 그믐밤을 지세우네 猶勝去年南海上(유승거년남해상)오히려 지난해 남쪽 바닷가에서 隔窓終夜聽濤聲(격창종야청도성)창문 너머로 밤새도록 파도 소리 듣는 것보다는 낫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雨 中 (우 중) 비가 내리는 가운데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雨 中 (우 중) 비가 내리는 가운데  慷來無興過隣家(강래무흥과린가)게을러서 이웃집 들를 흥이 나지 않고 睡起烏紗任整斜(수기오사임정사)자다가 일어나니 오사모는 제멋대로 비스듬하게 얹혀있네 寥落閉門三日雨(료락폐문삼일우)황폐하여 쓸쓸한 가운데 문 닫아건 사흘 동안 비가 내리자 一軒幽賞屬葵花(일헌유상촉규화)난간 하나에 기대 그윽하게 접시꽃을 즐겨 구경하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月聞鶯(사월문앵) 4월에 꾀꼬리 우는 소리를 듣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月聞鶯(사월문앵)4월에 꾀꼬리 우는 소리를 듣다  節序悠悠意暗驚(절서유유의암경)절기 바뀌는 것이 한가롭고 느려서 이 마음 남몰래 놀랐는데 天涯風日촉和淸(천애풍일촉화청)아득히 떨어진 타향의 날씨 온화하고 맑네 今朝偶向梨坡路(금조우향이파로)오늘 아침 우연히 배나무 늘어선 언덕길로 나아가다가 始聽黃鸚第一聲(시청황앵제일성)비로소 꾀꼬리의 첫 울음소리를 들었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歸 田 (귀 전)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歸 田 (귀 전)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다 夢想平生在一丘(몽상평생재일구) 한평생 어는 언덕에 있으리라는 헛된 생각을 했는데 白頭今日始歸休(백두금일시귀휴) 머리 허옇게 센 오늘 비로소 돌아와 쉬네 焚香案坐忘言處(분향안좌망언처) 향 피우고 말을 잊은 채 고요히 앉아 참선 하는곳 雲自無心水自流(운자무심수자류) 구름은 저절로 아무 생각이 없고 물도 저절로 흐르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草谷贈林淳昌(초곡증림순창) 초곡에서 순창군수 임타에게 지어주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草谷贈林淳昌(초곡증림순창) 초곡에서 순창군수 임타에게 지어주다 落落林公子(락락림공자) 귀한 임씨 집안의 큰 뜻을 풍었던 자제 平生義氣深(평생의기심) 한평생 의로운 기개를 굳세게 지녔네 龍湫雪中露(용추설중로) 눈 속 용추 길에서 臨別百年心(임별백년심) 헤어지려니 오래도록 변치 않은 마음이구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4(증김수재희진 4)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4(증김수재희진 4)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亭邊古松在(정변고송재) 정자 주변에 늙은 소나무가 있는데 枝葉半摧折(지엽반최절) 가지와 잎이 반쯤 부러졌네 莫遺螻蟻侵(막유루의침) 땅강아지와 개미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구려 風霜香到骨(풍상향도골) 바람과 서리를 겪은 향이 뼛속까지 스며든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3(증김수재희진 3)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3(증김수재희진 3)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書室凝塵滿(서실응진만) 서재에는 먼지가 잔뜩 엉겨 있고 柴扉草逕斜(시비초경사) 사립문은 잡초 우거진 길가에 비스듬하네 峴山留井地(현산류정지) 현상 앞 왕찬의 집터와 우물터가 남아 있느곳 回首幾人嗟(회수기인차) 몇 사람이나 고개 돌려 바라보며 탄식 할까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2(증김수재희진 2)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2(증김수재희진 2)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素岳何蒼蒼(오악하창창) 소악은 어찌 저리 짙푸르게 무성한가 高松鬱靑障(고송울청장) 높다란 소나무가 푸르고 울창하게 막아섰네 千秋九原下(천추구원하) 오랜 세월 뒤에 저승에 묻혔더라도 魂魂應來往(혼혼응래왕) 넋이 마땅히 오가리라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1(증김수재희진 1)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贈金秀才希振 1(증김수재희진 1) 수재 김희진 에게 지어주다 我心如古鏡(아심여고경) 내 마음은 낡고 오래된 거울 같고 君意似流泉(군의사류천) 그대의 뜻은 흘러가는 샘물 같네 古鏡磨逾瑩(고경마유형) 낡고 오래된 거울은 갈면 더욱 맑아지고 流泉無斷連(유천무단련) 흘러가는 샘물은 끊임없이 이어지노라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題畫障 2(제화장 2) 그림 병풍에 대하여 쓰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題畫障 2(제화장 2) 그림 병풍에 대하여 쓰다 雪裏幽期在(설리유기재) 눈 속에서 은밀한 약속이 있기에 同行鶴後先(동행학후선) 앞서거니 뒤서거니 학과 함께 가네 暗香如有意(암향여유의) 그윽한 향기가 뜻이라도 있는 듯이 相引到梅邊(상인도매변) 서로 끌어당겨 매화 곁에 이르는 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題畫障 1(제화장 1) 그림 병풍에 대하여 쓰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題畫障 1(제화장 1) 그림 병풍에 대하여 쓰다 擾擾風塵裏(요요풍진리) 뒤숭숭하고 어수선한 티끌세상 속에서 江湖別幾秋(강호별기추) 대자연으로 떠나온 지 몇 해던가 明時未歸意(명시미귀의) 태평한 시절이라 아직 돌아갈 마음이 없어 空對季鷹舟(공대계응주) 그 옛날 벼슬을 내던졌던 장한의 배만 부질없이 마주 하는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味堂春帖子 3(사미당춘첩자 3) 사미당에 써 붙인 춘첩자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味堂春帖子 3(사미당춘첩자 3) 사미당에 써 붙인 춘첩자 詠雪酴醾架(영설도미가) 겨우살이풀 뻗어 오르는 시렁이 쌓인 눈에 비치고 偎紅芍藥階(외홍작약계) 불그레한 작약이 섬돌 가에 피었네 和風兼暖日(화풍겸난일) 따스한 봄바람에 날 따듯하니 身世人無懷(신세인무회) 신세가 문념 에 드는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味堂春帖子 2(사미당춘첩자 2) 사미당에 써 붙인 춘첩자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味堂春帖子 2(사미당춘첩자 2) 사미당에 써 붙인 춘첩자 玄陸窮陰盡(현륙궁음진) 북쪽 땅의 섣달이 다하니 靑郊麗景新(청교려경신) 동쪽 교외의 봄날이 새롭네 玉盤纖手送(옥반섬수송) 가냘프고 여린 손으로 옥쟁반을 보내왔네 紅縷細茵陳(홍루세인진) 얇게 썬 오신채가 봄철의 쑥보다 가늘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味堂春帖子 1(사미당춘첩자 1) 사미당에 써 붙인 춘첩자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四味堂春帖子 1(사미당춘첩자 1) 사미당에 써 붙인 춘첩자 鳥語嚶嚶變(조어앵앵변) 세 지저귀는 소리 재잘재잘 변하고 溪流虢虢來(계류허허래) 시냇물 콸콸 흘러오네 梅花亦解事(매화역해사) 매화 또한 무슨 일인지 훤히 알고 索笑報春廻(색소보춘회) 웃으며 봄이 왔다고 알려 주는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4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4)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4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4) 김제의 수령으로 나가는 학사 정자용을 배웅하며 暑氣微微斂(서기미미렴) 더운 기운이 조금씩 조금씩 가시더니 西風嫋嫋吹(서풍뇨뇨취) 가을 바람이 산들산들 불어오네 炳深蘇未易(병심소미역) 병이 깊어서 소생하기가 쉽지 않으니 依舊白頭垂(의구백두수) 옛날 그대로 변함없이 허옇게 센 머리털을 드리울 거외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3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3)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3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3) 김제의 수령으로 나가는 학사 정자용을 배웅하며 風生桂樹枝(풍생계수지) 바람은 계수나무 가지에서 일고 露下芙蓉池(로하부용지) 이슬은 연꽃 피어 있는 못에 내리네 南北相思處(남북상사처) 남과 북에서 서로 생각하고 그리워할 때는 淸秋明月時(청추명월시) 맑게 갠 사을 밝은 달 뜰 때로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2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2)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2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2) 김제의 수령으로 나가는 학사 정자용을 배웅하며 衰年遠離別(쇠년원이별) 늘그막에 멀리 떠나는 사람과 헤어지려니 苦恨在心肝(고한재심간) 마음속 깊이 괴롭고 아프네 何事昇平日(하사승평일) 무슨 일로 이렇게 나라가 태평한 시절에 猶歌行路難(우가행로난) 오히려 행로난을 불러야 한다는 말인가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1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1)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送鄭學士子容出補金堤 1 (송정학사자용출보김제 1) 김제의 수령으로 나가는 학사 정자용을 배웅하며 墨綬金堤宰(묵수김제재) 검은색 인끈을 찬 김제의 수령과 玄經石室翁(현경석실옹) 도가의 경전을 즐겨읽는 석실의 늙은이 相看俱白髮(상간구백발) 서로 바라보니 둘다 머리털이 허옇게 세었으니 詩酒幾時同(시주기시동) 시와 술을 어느 날에나 함께하리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滄浪亭次尹參判時晦韻 1(창랑정차윤참판시회운 1)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滄浪亭次尹參判時晦韻 1 (창랑정차윤참판시회운 1) 창랑정에서 판 시회 윤흔 의 시에 차운하다 新亭銅雀下(신정동작하) 동작나루 아래 새로 정자를 지었는데 舊築石罔邊(구축석망변) 예전에 정자가 있던 돌 언덕 근처네 來往無勞苦(래왕무로고) 오가는데 힘들여 애쓸 것 없으니 淸江有釣船(청강유조선) 맑은 물이 흐르는 강에 낚싯배가 있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寓 興 3(우 흥 3) 우연히 흥이 나서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寓 興 3(우 흥 3) 우연히 흥이 나서 今年雨水足(금년우수족) 올해는 빗물이 넉넉해서 田夫不憂旱(전부불우한) 농부들은 가뭄 걱정하지 않네 抱膝晝眠翁(포슬주면옹) 무릎을 두 팔로 껴안고 낮에 꾸벅 조는 노인네 盤中有麥飯(반중유맥반) 소반에는 보리밥이 차려져 있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寓 興 2(우 흥 2) 우연히 흥이 나서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寓 興 2(우 흥 2) 우연히 흥이 나서 晩尋歸田賦(만심귀전부) 늘그막에 고향 찾아 돌아와 시를 읊는데 歸田亦何好(귀전역하호) 벼슬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와 농사지으니 또한 무엇이 좋은가 門無車馬塵(문무차마진) 문 앞에는 오가는 수레와 말에서 날리는 티끌도 없고 草沒牛羊道(초몰우양도) 풀이 무성해서 소와 양이 다니는 길을 덮었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寓 興 1(우 흥 1) 우연히 흥이 나서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寓 興 1(우 흥 1) 우연히 흥이 나서 翳翳樹交陰(예예수교음) 무성하게 자란 나무는 그늘을 드리우고 蒙蒙草覆逕(몽몽초복경) 더북하게 자란 풀은 오솔길을 덮었네 小屋石厓邊(소옥석애변) 돌로 이루어진 언덕 옆에 있는 작은 집 日長人事靜(일장인사정) 낮이 길어도 인기척이 없어 고요하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酬白善鳴(수백선명) 선명 백진남의 시에 화답하다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酬白善鳴(수백선명) 선명 백진남의 시에 화답하다 世道任紛薄(세도임분박) 세상의 도의는 저리도 어지럽고 야박한데 吾心還古初(오심환고초) 내 마음은 도리어 태초를 생각하네 靑燈北山下(청등북산하) 북산 푸른 등불 아래서 夜讀漢朝書(야독한조서) 밤에 한 나라의 책을 읽는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松溪雜詠 4(송계잡영 4) 송계에서 이것저것 읊다. 천정심승(천정심승): 천정사로 승려 찾아가기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松溪雜詠 4(송계잡영 4) 송계에서 이것저것 읊다 천정심승(천정심승): 천정사로 승려 찾아가기 常時來往地(상시래왕지) 보통 때 오가던 곳이라 不覺路嶇嶔(불각로구금) 길이 험하고 가파른지도 몰랐네 日落雲林黑(일락운림흑) 해 저무니 그름 낀 숲도 어두워져서 鐘聲深復深(종성심복심) 종 소리가 깊고도 깊구나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松溪雜詠 3(송계잡영 3)송계에서 이것저것 읊다. 石橋翫月(석교완월): 석교에서 달구경

淸陰 金尙憲(청음 김상헌). 松溪雜詠 3(송계잡영 3) 송계에서 이것저것 읊다 石橋翫月(석교완월): 석교에서 달구경 步月東橋上(보월동교상) 동쪽 다리 위에서 달밤에 거니는데 高秋靜夜涼(고추정야량) 하늘이 막고 높은 가을 고요한 밤이 서늘하네 淸光看不厭(청광간불염) 선명한 빛 바라보는 것이 싫지 않는데 歸路滿衣霜(귀로만의상) 돌아오는 길에 옷에 서리가 가득 내렸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