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봉 송익필(1534) 48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次謫仙韻(차적선운) 적선의 운을 빌어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次謫仙韻(차적선운) 적선의 운을 빌어 寂寞靑樓女(적막청루녀) : 막막한 푸른 누각의 여인 單居白雲端(단거백운단) : 홀로 흰 구름 끝에 머무네. 玉齒未曾啓(옥치미증계) : 백옥 같은 이를 드러낸 적도 없었고 芳春無所歡(방춘무소환) : 꽃다운 봄에도 기뻐할 것이 없었네. 有節何人識(유절하인식) : 절개가 있어도 누가 알아주며 無心片心丹(무심편심단) : 무심히 란 조각 붉은 마음 간직하네. 重重翠雲屛(중중취운병) : 겹겹이 둘러싼 비취빛 구름 병풍 不許他人觀(불허타인관) : 남이 보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네. 却笑秦家女(각소진가녀) : 문득 진나라 여인들을 비웃으며 輕身乘彩鸞(경신승채란) : 몸을 가벼이 하여 아름다운 수레를 타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秋夕滿月(추석만월) 한가위 보름달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秋夕滿月(추석만월) 한가위 보름달 夜深過四更(야심과사경) 밤이 깊어 4경을 지나는데 君未歸有憧(군미귀유동) 그대는 아직 돌아오지 않으니 그리움만 있구나 眞夜中滿月(진야중만월) 한밤중 중천에 떠 있는 보름달은 知君在何方(지군재하방) 그대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 것이니 我問月其處(아문월기처) 나는 달에게 그대 있는 그곳을 물어보지만 月無言眺望(월무언조망) 달은 말없이 바라볼 뿐이네 心身皆疲勞(심신개피로) 생각에 지쳐 심신이 모두 피로하여 含淚夢中行(함루몽중행) 눈물을 머금고 꿈 속으로 간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春晝獨坐 1(춘주독좌 1)춘주독좌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春晝獨坐 1(춘주독좌 1)춘주독좌 晝永鳥無聲 주영조무성 낮이 길어 새는 소리 없고 雨餘山更靑 우여산갱청 비 넉넉하여 산은 더욱 푸르네. 事稀知道泰 사희지도태 일이 없으니 도가 형통함을 알겠고 居靜覺心明 거정각심명 사는 곳이 고요하니 마음이 환함을 깨닫겠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泉源驛樓次松江韻 1(천원역루차송강운1)​천원역 역루에서 송강의 시를 차운하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泉源驛樓次松江韻 1(천원역루차송강운1) ​천원역 역루에서 송강의 시를 차운하다 路窮南極海(노궁남극해) : 길 다한 남극 바다 ​ 心逐日邊雲(심축일변운) : 마음은 구름가의 해를 쫓는다. 遙憶松江老(요억송강로) : 아득히 송강 노인 생각하며 ​ 淸時掩竹門(청시엄죽문) : 맑은 아침 대나무 문을 닫는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獨 坐(독 좌)혼자 앉아서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獨 坐(독 좌)혼자 앉아서 芳草掩閑扉(방초엄한비) : 향기로운 풀 돋아나 싸리문 가리우고 出花山遲遲(출화산지지) : 꽃 피자 낮도 길어만 가는구나. ​ 柳深烟欲滴(유심연욕적) : 버들 빛은 짙은데 안개는 물방울지려하고 池靜鷺忘飛(지정로망비) : 못은 고요한데 해오라기는 날기를 잊었구나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雪(산 설) 산속의 눈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雪(산 설) 산속의 눈 ​ 連宵寒雪壓層臺(연소한설압층대) 밤마다 찬 눈은 층대를 누르는데 僧在他山宿未廻(승재타산숙미회) 스님은 다른 산에 가 자고 돌아오지 않네 小閣殘燈靈籟靜(소각잔등령뢰정) 작은 누각에 등잔불 희미하고 섬찟한 바람소리도 조용한데 獨看明月過松來(독간명월과송래) 홀로 밝은 달 바라보며 솔밭을 지나온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偶 題 (우 제) 우연히 짓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偶 題 (우 제) 우연히 짓다 甲第春無十日紅(갑제춘무십일홍) : 권세가 집의 봄에도 열흘 붉은 꽃 없고 朝能斷腸暮隨風(조능단장모수풍) : 아침에는 애간장 끊고 저녁에는 바람 따라 떠돈다네. 綠珠樓下香難返(녹주루하향난반) : 녹주가 놀던 누각 아래에는 향기 다시 돌기 어렵고 黃犬門東恨不窮(황견문동한불궁) : 누렁이는 문 동쪽에서 원한이 끝이 없도다. 崔慶互爭移厚薄(최경호쟁이후박) : 최서와 경촌이 서로 다투어 후함과 박함이 옮겨가고 蘇朱交奪換雌雄(소주교탈환자웅) : 소육과 주박이 서로 빼앗아 암수가 바뀌었다 誰知飮水蓬簷下(수지음수봉첨하) : 누가 아리오, 초가의 처마 밑에 물 받아 마셔도 一樂相傳萬古同(일락상전만고동) : 한 가지 즐거움 서로 전해짐이 만고에 같다는 것을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白馬江(백마강) 백마강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白馬江(백마강) 백마강 百年文物摠成丘(백년문물총성구) : 백제의 문물이 이제 모두 언덕이 되고 歌舞煙沈杜宇愁(가무연침두우수) : 그 시절 노래와 춤 연기로 사라져 소쩍새 슬픔이 되었네. 投馬有臺雲寂寂(투마유대운적적) : 말 던져 용을 낚은 조룡대에는 구름만 적적하고 落花無迹水悠悠(락화무적수유유) : 몸던진 꽃같은 궁녀들 자취없고 강물만 유유히 흘러간다. 孤舟白髮傷時淚(고주백발상시루) : 외 딴 배에 몸 실은 늙은이 시절을 한탄하며 눈물짓고 一笛靑山故國秋(일적청산고국추) : 푸른 산에 들려오는 피리소리 옛 나라 백제의 가을이던가 欲弔忠魂何處是(욕조충혼하처시) : 충신을 넋을 위로 하려니 어느 곳인가 令人長憶五湖舟(영인장억오호주) : 사람들은 오호의 배 타고 떠나고 싶어진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寄牛溪(기우계) 우계에게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寄牛溪(기우계) 우계에게 ​安土誰知是太平(안토수지시태평) : 이 땅이 누가 태평성대인 줄 알까 白頭多病滯邊城(백두다병체변성) : 병 많은 늙은 몸으로 변방에서 살아간다. 胸中大計終歸繆(흉중대계종귀무) : 가슴 속 큰 뜻 끝내 얽히고 天下男兒不復生(천하남아불부생) : 천하의 남아 다시 살지 못 한다 花欲開時方有色(화욕개시방유색) : 꽃이 필 때는 곧 색깔이 나타나고 水成潭處却無聲(수성담처각무성) : 물이 못을 이루는 곳에는 도리어 소리가 없다 千山雨過琴書潤(천산우과금서윤) : 온 산에 비 지나가니 책과 거문고 생각나고 依舊晴空月獨明(의구청공월독명) : 맑은 하늘에 늘 떠 있는 달은 밝기만 하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聞京報走筆別親舊(문경보주필별친구) 경보주필을 듣고 친구와 이별하며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聞京報走筆別親舊(문경보주필별친구) 경보주필을 듣고 친구와 이별하며 萬世在五侯(만세재오후) : 만세는 내 뒤에 있고 百世在吾上(백세재오상) : 백세는 내 위에 있다 此身立其中(차신립기중) : 이몸은 그 가운데 서서 浩然一俯仰(호연일부앙) : 호연히 천지를 앙부하노라 事業豈不大(사업기부대) : 일 하는 것이 어찌 크지 않으리오만 無窮非與是(무궁비여시) : 끝없이 시비가 잇달았네. 少小慕先師(소소모선사) : 젊고 어려서는 성현을 사모하여 孽孽勤佇跂(얼얼근저기) : 부지런히 따르기에 힘썼네. 不讓弟一等(불양제일등) : 일등도 사양하지 않으면서 一欲止所止(일욕지소지) : 그칠 곳에 그칠 것을 한결같이 원했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次謫仙韻(차적선운)적선의 운을 빌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次謫仙韻(차적선운)적선의 운을 빌어 寂寞靑樓女(적막청루녀) : 막막한 푸른 누각의 여인 單居白雲端(단거백운단) : 홀로 흰 구름 끝에 머무네. 玉齒未曾啓(옥치미증계) : 백옥 같은 이를 드러낸 적도 없었고 芳春無所歡(방춘무소환) : 꽃다운 봄에도 기뻐할 것이 없었네. 有節何人識(유절하인식) : 절개가 있어도 누가 알아주며 無心片心丹(무심편심단) : 무심히 란 조각 붉은 마음 간직하네. 重重翠雲屛(중중취운병) : 겹겹이 둘러싼 비취빛 구름 병풍 不許他人觀(불허타인관) : 남이 보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네. 却笑秦家女(각소진가녀) : 문득 진나라 여인들을 비웃으며 輕身乘彩鸞(경신승채란) : 몸을 가벼이 하여 아름다운 수레를 타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客中(객중) 타향에 있는동안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客中(객중) 타향에 있는동안 ​​ 旅鬢渾如雪(여빈혼여설) 나그네 귀밑털 온통 흰 눈과 같고 交情總是雲(교정총시운) 사귐의 정 모두 다 구름인 것을. 艱危明物理(간위명물리) 시련(試鍊)속에 사물(事物)이치(理致) 분명(分明)해지고 寂寞見心源(적막견심원) 적막(寂寞)해야 마음 근원(根源) 드러난다네. 世遠言誰信(세원언수신) 세상(世上) 멀어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할까 蹤孤謗未分(종고방미분) 외로운 자취 헐뜯음 분간(分揀) 안 되네. 山花開又落(산화개우락) 산(山) 꽃은 피었다간 다시 또 지고 江月自虧圓(강월자휴원) 강(江) 달은 둥글었다 이지러지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秋夕滿月(추석만월) 한가위 보름달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秋夕滿月(추석만월) 한가위 보름달 ​​ 夜深過四更(야심과사경) 밤이 깊어 4경을 지나는데 君未歸有憧(군미귀유동) 그대는 아직 돌아오지 않으니 그리움만 있구나 眞夜中滿月(진야중만월) 한밤중 중천에 떠 있는 보름달은 知君在何方(지군재하방) 그대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 것이니 我問月其處(아문월기처) 나는 달에게 그대 있는 그곳을 물어보지만 月無言眺望(월무언조망) 달은 말없이 바라볼 뿐이네 心身皆疲勞(심신개피로) 생각에 지쳐 심신이 모두 피로하여 含淚夢中行(함루몽중행) 눈물을 머금고 꿈 속으로 간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偶得寄牛溪(우득기우계) 우연히 지어 우계에게 부치다

​​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偶得寄牛溪(우득기우계) 우연히 지어 우계에게 부치다 ​​ 春草上巖扉(춘초상암비) : 봄풀은 바위문에 오르고, 幽居塵事稀(유거진사희) : 숨어사니 세속의 일 드물다. 花低香襲枕(화저향습침) : 꽃 나지막하여 향기 베개에 스며 山近翠生衣(산근취생의) : 산 가까워 비취빛 옷에 물든다. 雨細池中見(우세지중견) : 빗방울 가늘어 연못에서 보고 風微柳上知(풍미유상지) : 바람 약함은 버들 끝에서 알겠다. 天機無跡處(천기무적처) : 천기가 자취 남기지 않는 곳 淡不與心違(담불여심위) : 담담하여 마음과 어긋나지 않는구나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遊南嶽(유남악) 남악을 유람하며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遊南嶽(유남악) 남악을 유람하며 草衣人三四(초의인삼사) : 초의를 걸친 서너 사람 於塵世外遊(어진세외유) : 세상 밖에서 유람하는구나. 洞深花意懶(동심화의라) : 골짜기 깊어 꽃마음 게으르고 山疊水聲幽(산첩수성유) : 산이 첩첩하여 물소리 그윽하다. 短嶽盃中畵(단악배중화) : 낮은 산은 술잔 속 그림이오 長風袖裏秋(장풍수리추) : 긴 바람은 소매 속 가을이다. 白雲巖下起(백운암하기) : 흰 구름은 바위 아래서 일고 歸路駕靑牛(귀로가청우) : 돌아오는 길, 검은 소타고 온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春晝獨坐(춘주독좌)봄날 낮에 홀로 앉아

​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春晝獨坐(춘주독좌) 봄날 낮에 홀로 앉아 晝永鳥無聲(주영조무성) : 봄날은 길고, 새소리 들리지 않고 雨餘山更淸(우여산갱청) : 비 갠 뒤, 산은 더욱 푸르구나. 事稀知道泰(사희지도태) : 할 일이 적어 도심이 편함을 알고 居靜覺心明(거정각심명) : 사는 곳 고요하니 마음은 밝아진다. 日午千花正(일오천화정) : 한낮에 온갖 꽃들 피어나고 池淸萬象形(지청만상형) : 맑은 못물에는 온갖 사물 다 비친다. 從來言語淺(종래언어천) : 지금까지의 말은 적어지고 黙識此間情(묵식차간정) : 이곳의 맛을 말없이 알겠노라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道 上(도 상) 길에서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道 上(도 상) 길에서 曠野悲風急(광야비풍급) : 광야에 슬픈 바람 휘몰아 불고 蕭條閭間稀(소조려간희) : 마을마저 드물어 쓸쓸하구나. 危時門閉早(위시문폐조) : 시절이 위태로워 문 일찍 닫고 山遠客來遲(산원객래지) : 산길이 멀어 손님은 오기 어려워라. 落照孤雲外(낙조고운외) : 구름밖에는 지는 햇빛 長天一鳥歸(장천일조귀) : 아득한 하늘에는 돌아오는 새 한 마리. 東南居未定(동남거미정) : 사방을 둘러봐도 살 곳이 없어 悵悵更臨岐(창창갱임기) : 기로에 선 이 마음 더욱 쓸쓸하구나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觀瀾臺(관란대) 관란대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觀瀾臺(관란대) 관란대 ​ 飄落平丘夜(표락평구야) : 평평한 언덕에 내려앉은 밤 花連斗尾春(화연두미춘) : 꽃이 북두성 꼬리와 맞닿은 봄 半江殘月影(반강잔월영) : 강을 반이나 차지하는 달그림자 孤棹獨眠人(고도독면인) : 외로운 노 젖는 소리에 잠이 드네. 灘急聲依枕(탄급성의침) : 여울물 소리 급해도 베개를 베니 山長翠濕巾(산장취습건) : 산은 길고 푸른 기운 두건을 적시네. 山禽驚短夢(산금경단몽) : 새소리에 단잠을 깨니 曙色起靑蘋(서색기청빈) : 새벽빛은 푸른 개구리밥 위로 비춰오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宿瑞興之五雲山寺(숙서흥지오운산사) 서흥의 오운산사에 묵으며

​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宿瑞興之五雲山寺(숙서흥지오운산사) 서흥의 오운산사에 묵으며 仙境遺塵跡(선경유진적) : 좋은 경치에서 세상일 잊어버리고 迢迢鎖玉扃(초초쇄옥경) : 아득히 먼 곳에서 옥 빗장 걸어두네 沈吟秋欲老(침음추욕로) : 고요히 읊조리니 가을은 깊어가고 高臥醉初醒(고와취초성) : 숨어 편안히 살며 취하여 술이 깨네. 流水無留響(유수무류향) : 흐르는 물은 소리를 내지 않고 閒雲不定形(한운부정형) : 한가한 구름은 일정한 모양이 없네 道心隨鶴去(도심수학거) : 도를 따르려는 마음은 학을 따라 떠나 天遠入冥冥(천원입명명) : 하늘 머리 아득한 곳으로 들어가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籠鶴爲村童所傷 2(롱학위촌동소상 2) 조롱 속의 학이 시골 아이들에게 상처 입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籠鶴爲村童所傷 2(롱학위촌동소상 2) 조롱 속의 학이 시골 아이들에게 상처 입다 ​ 九臯淸響反戕身(구고청향반장신) : 연못의 맑은 소리 도리어 몸을 죽이고 飮啄無心近世塵(음탁무심근세진) : 마시고 먹기 위해 무심코 세상을 가까이 했네. 軒上殊恩非所養(헌상수은비소양) : 집 위의 특별한 은혜를 바라는 것 아닌데 ​ 更投沙礫是何人(갱투사력시하인) : 다시 돌을 던지는 사람은 누구이던가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籠鶴爲村童所傷 1(롱학위촌동소상 1) 조롱 속의 학이 시골 아이들에게 상처 입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籠鶴爲村童所傷 1(롱학위촌동소상 1) 조롱 속의 학이 시골 아이들에게 상처 입다 ​ 多情湖叟勤籠護(다정호수근롱호) : 다정한 호숫가 노인이 정성스레 조롱을 보살피어 ​ 無意街童擢羽毛(무의가동탁우모) : 아무 생각 없는 아이들 학의 깃털을 뽑아버리네 恩怨世間渾不省(은원세간혼불성) : 세간의 은혜와 원망 섞여있어 살피기 어렵고 ​ 碧霄歸夢政迢迢(벽소귀몽정초초) : 푸른 저 하늘로 돌아갈 꿈은 정녕 멀기만 하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雪(산 설)산속의 눈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雪(산 설)산속의 눈 連宵寒雪壓層臺(연소한설압층대) 밤마다 찬 눈은 층대를 누르는데 僧在他山宿未廻(승재타산숙미회) 스님은 다른 산에 가 자고 돌아오지 않네 小閣殘燈靈籟靜(소각잔등령뢰정) 작은 누각에 등잔불 희미하고 섬찟한 바람소리도 조용한데 獨看明月過松來(독간명월과송래) 홀로 밝은 달 바라보며 솔밭을 지나온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無題 2(무제 2) 제목 없이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無題 2(무제 2) 제목 없이 荔枝一箇江南草(여지일개강남초) : 여지는 한갓 강남의 풀이 것을 ​ 連理無情半夜言(연리무정반야언) : 연리지는 무심하게 깊은 밤에만 속삭인다네. 男子幾人還固寵(남자기인환고총) : 남자 몇 사람이 도리어 총애를 굳히니 香羅巾下有冤魂(향라건하유원혼) : 향라건 아래에는 원혼이 생겨난다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無題 1(무제 1) 제목 없이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無題 1(무제 1) 제목 없이 一行垂柳掩紅簷(일행수류엄홍첨) : 한 줄기 휘늘어진 버드나무는 붉은 처마 가리고 盡罷雙眉月樣纖(진파쌍미월양섬) : 곱게 그린 두 눈썹이 달처럼 곱도다. ​ 自折嬌花調外客(자절교화조외객) : 스스로 아름다운 꽃 꺾어 나그네와 어울리고 佯羞還下水晶簾(양수환하수정렴) : 짐짓 부끄러운 듯 수정 발을 내린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滿 月 (만 월) 보름달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滿 月 (만 월) 보름달 未圓常恨就圓遲(미원상한취원지) : 둥글지 않아서는 둥글게 됨이 늦어짐을 늘 한탄하더니 圓後如何易就虧(원후여하역취휴) : 둥글어 지고서는 어찌 그리 쉽게 이지러지느뇨 三十夜中圓一夜(삼십야중원일야) : 서른 밤에 하루 밤만 둥글구나 世間萬事摠如斯(세간만사총여사) : 세상의 모든 일이 다 이와 같다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贈 僧 (증 승)스님에게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贈 僧 (증 승)스님에게 連宵寒雪壓層臺(연소한설압층대) : 밤새도록 내린 차가운 눈 층층 누대를 누르고 僧在他山宿未廻(승재타산숙미회) : 스님은 다른 산에 묵으며 아직 돌아오지 않는구나 小閣燈殘靈賴寂(소각등잔령뢰적) : 작은 전각에 등잔불 아물거리고 바람소리 고요하고 獨看淸月過松來(독간청월과송래) : 혼자 맑은 달 보며 소나무숲을 지나온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行 (산 행)산길을 걸으며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行 (산 행)산길을 걸으며 山行忘坐坐忘行(산행망좌좌망행) : 산길 가다가 앉기를 잊고, 앉았다가는 갈 일을 잊네 歇馬松陰聽水聲(헐마송음청수성) : 소나무 그늘에 말을 세우고, 물소리를 듣는다. 後我幾人先我去(후아기인선아거) : 나에 뒤져 오던 어떤 이 나를 앞서 떠나니​ 各歸其止又何爭(각귀기지우하쟁) : 각자 제 갈 곳을 가는데, 또 어찌 다투려하는가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中(산 중) 산 속에서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山 中(산 중) 산 속에서 獨對千峯盡日眠(독대천봉진일면) : 일천 봉우리 마주하니 종일토록 잠이 오고 夕嵐和雨下簾前(석람화우하염전) : 저녁 산기운 비와 같이 발 앞에 내린다 耳邊無語何曾洗(이변무어하증세) : 귓가에 아무 말소리 들리니 않으니 어찌 귀를 씻을까 靑鹿來遊飮碧泉(청록래유음벽천) : 푸른 노루 돌아와 다니다가 맑은 샘물 마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