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담 이응희(1579) 64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7(영군조 7) 뭇 새들을 읊다 白鶴백학(두루미)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7(영군조 7) 뭇 새들을 읊다  白鶴백학(두루미) 白鶴千年老(백학천년노)두루미는 오랜 세월 동안 사니 應知不死仙(응지불사선)마땅히 죽지 않는 신선임을 알겠네 倘非赤松子(당비적송자)만일 적송자가 아니라면 定是安期仙(정시안기선)반드시 신선 안기생 이리라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6(영군조 6). 뭇 새들을 읊다 翡翠비취(물총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6(영군조 6). 뭇 새들을 읊다翡翠비취(물총새)  昔有貞男女(석유정남녀)옛날에 마음이 곧은 남녀가 있어 心同意亦同(심동의역동)마음과 뜻이 같았네 終爲金翡翠(종위금비취)마침내 금빛 불총새가 되어 相對昵雌雄(상대니자웅)암컷과 수컷으로 서로 마주하며 사랑했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5(영군조 5) 뭇 새들을 읊다 鸚鵡앵무(앵무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5(영군조 5) 뭇 새들을 읊다 鸚鵡앵무(앵무새) 百鳥從天放(백조종천방)온갖 새들은 마음대로 하늘을 날아다니는데 惟君獨閉籠(유군독폐롱)오직 너만 홀로 새장에 갇혀 있구나 能言階禍難(능언계화난)말 잘하는 것이 재앙과 환난을 불렀으니‘ 何處訴心衷(하처소심충)어디에 가서 네 속마음을 호소하랴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3(영군조 3) 뭇 새들을 읊다. 孔雀(공작)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3(영군조 3) 뭇 새들을 읊다.   孔雀(공작)   百鳥皆無姓(백조개무성)온같 새들 모두 성이 없는데 惟君得姓全(유군득성전)오직 너만 온전하게 성을 얻었구나 知爲大聖後(지위대성후)대성 공자의 후손임을 아니 安得不瞿然(안득불구연)어찌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2(영군조 2)뭇 새들을 읊다. 鸞鳥(난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2(영군조 2)뭇 새들을 읊다. . 鸞鳥(난새)   對鏡啼孤影(대경제고영)거울에 비친 자기의 외로운 그림자를 보고 울고 臨川惜麗容(임천석여용)시냇물에 비친 아름다운 모습을 애처롭게 여겼지 紅顔多薄命(홍안다박며)미인은 수명이 짧은 경우가 많은데 嗟爾卽相同(차이즉상동)아 네가 곧 그와 같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1(영군조 1). 뭇 새들을 읊다. 鳳凰(봉황)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群鳥 1(영군조 1). 뭇 새들을 읊다. 鳳凰(봉황) 有鳥鳴高岡(유조명고강) 높은 산등성이에서 우는 새가 있으니 其聲若笙簧(기성약생황) 그 소리가 생황 소리 같네 文王今已歿(문왕금이몰) 주나라 문왕은 지금 이미 죽고 없으니 不復聽朝陽(불복청조양) 조양에서 우는 소리를 다시 들을 수 없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3(영수조13).물새를 읊다 精衛(정위) : 상상의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3(영수조13).물새를 읊다 精衛(정위) : 상상의새 銜石塡滄海(함석전창해) 돌을 물어다가 넓고 큰 바다를 메우려 하였으니 其誠亦可哀(기성역가애) 그 정성이 또한 가엾기만 하구나 何年平大壑(하년평대학) 어느 해에나 바다를 다 메워 拯父水中骸(증부수중해) 물속에 있는 아비의 몸을 건질까...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2(영수조12). 물새를 읊다 飛鶩(비목)따오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2(영수조12). 물새를 읊다 飛鶩(비목)따오기 出沒滄波上(출몰창파상) 맑고 푸른 물결위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면서 銜魚日更多(함어일경다) 물고기를 부리에 무는 날이 더욱 많네 生涯眞浩蕩(생애진호탕) 생애가 참으로 호탕하니 誰得弋言加(수득익언가) 누가 주살을 쏠수 있겠는가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1(영수조11). 물새를 읊다 鴛鴦(원앙)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1(영수조11). 물새를 읊다 鴛鴦(원앙) 楊妣死馬嵬(양비사마외) 양귀비가 마외역 에서 죽었으니 幾歲離明皇(기세리명황) 당나라 현종 곁을 떠난 지가 몇 해인가 相逢泉下日(상봉천하일) 저승에서 서로 만나는 날 化作雙鴛鴦(화작쌍원앙) 한쌍의 원앙이 되었으리라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0영수조10) 물새를 읊다 . (다곽) : 두루미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10영수조10) 물새를 읊다 . 다곽(다곽)두루미 爾性本狂簡(이성본광간) 네 성품이 본디 급하고 대범하니 其聲亦狂直(기성역광직) 그 소리 또한 거리낌이 없고 솔직하네 斯人反不如(사인반불여) 사람들이 도리어 이 새만도 못하여 一是多回曲(일시다회곡) 모두 말과 행동이 휘어서 굽었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9(영수조9). 물새를 읊다 鸕鶿(조자)가마우지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9(영수조9). 물새를 읊다 鸕鶿(조자)가마우지 矯首滄波上(교수창파상) 맑고 푸른 물결 위에서 머리를 쳐들고 生涯紅藜汀(생애홍려정) 붉은 여뀌 우거진 물가에서 평생을 노내네 斯人憐浩蕩(사인연호탕) 사람들도 호탕한 그 삶을 사랑하여 盃爵取其形(배작취기형) 그 모습을 본떠서 술잔을 만들었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8(영수조 8). 물새를 읊다 鳧鴨(부압)오리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8(영수조 8). 물새를 읊다 鳧鴨(부압)오리 素性喜浮沈(소성희부침) 본디 타고난 성품이 물 위에 떠올랐다 물속에 잠기는 것을 좋아하여 遊居在江曲(유거재강곡) 헤엄치며 강 굽이에서 지내네 烟塵梁綵毛(연진량채모) 연기와 먼지가 고운 빛깔의 깃털을 물들일 것이니 莫作朝天舃(막작조천석) 궁궐에 들어갈 때 신는 신발이나 되지 말았으면....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7(영수조 7). 又(또한수읊다) 물새를 읊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7(영수조 7). 又(또한수읊다) 물새를 읊다 白羽白如雪(백우백여설) 눈처럼 흰 깃털을 지니고 乘風過山頂(승풍과산정) 바람 타고 산꼭대기를 넘어왔네 應知玉一雙(응지옥일쌍) 마땅히 알겠구나 한 쌍의 옥이 此地來無脛(차지래무경) 다리도 없이 이 따에 온 것을...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6(영수조 6). 물새를 읊다 白鷺(백로)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6(영수조 6). 물새를 읊다 白鷺(백로) 屬玉雙飛下(속옥쌍비하) 백로가 쌍쌍이 날아내리니 溪中雪片明(계중설편명) 시내에 하얀 눈송이가 날리는 듯하네] 山林眞隱少(산림진응소) 산과 숲에는 참된 은자가 드무니 無與作閑盟(무여작한맹) 더불어 한가롭게 지낼 사람이 없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5(영수조 5). 물새를 읊다 靑鷗(청구) 청갈매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5(영수조 5). 물새를 읊다 靑鷗(청구) 청갈매기 底事遊城郭(저사유성곽) 무슨 일로 성곽에서 놀다가 緇塵梁素衣(치진량소의) 세속의 더러운 때로 힌옷을 물들였는가 生平遺恨極(생평유한극) 한평생 남은 한이 너무 많은지 中夜厲聲飛(중야려성비) 한밤중에 큰소리로 울며 날아가는 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4(영수조 4). 물새를 읊다 白鷗(백구) 갈매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4(영수조 4). 물새를 읊다 白鷗(백구) 갈매기 群飛滄海上(군비창해상) 푸른 바다 위에서 떼지어 날아다니니 哀響月中聞(애향월중문) 슬푼 울음소리가 달빛 속에 들리네 萬古乘船子(만고승선자) 오랜 세월 동안 배를 탄 사람들 風濤溺死魂(풍도익사혼) 휘몰아치는 바람과 큰 물결 때문에 물에 빠져 죽은 사람들의 넋이 네가 되었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3(영수조3) 물새를 읊다 . 老鸛(노관) 황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3(영수조3) 물새를 읊다 . 老鸛(노관)황새 形容似白鶴(형용사백학) 생긴 모습은 두루미를 닮았는데 底事離玄圃(저사리현포) 우슨일로 신선이 사는 곳에서 떠나왔는가 仙童秦不馴(선동진불순) 선경에 사는 아이가 길들이기 어렵다고 아뢰어 謫下無央土(적하무앙토) 인간 세상으로 귀양 내려왔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2(영수조2). 물새를 읊다. 鴻雁(홍안)기러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2(영수조2). 물새를 읊다. 鴻雁(홍안)기러기 南征復北去(남정복북거) 남쪽으로 날아갔다가 다시 북쪽으로 돌아가니 一爲均寒暑(일위균한서) 추위와 더위에 한결같이 고르구나 寄語巖廊臣(기어암랑신) 의정부의 대신 들에게 전하여 달라고 부탁하니 調元莫失序(조원막실서) 백성을 다스리는 데 차례를 잃지 마시구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1(영수조 1) 물새를 읊다 . 大鵬(대붕)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水鳥 1(영수조 1) 물새를 읊다 . 大鵬(대붕) 擧翮搏夫搖(거핵박부요) 날개를 들어 회오리바람을 타니 脩程九萬里(수정구만리) 기나긴 여정이 구만리나 되는구나 何殊大聖人(하수대성인) 어찌 다르겠는가 대성인의 德行彌天地(덕행미천지) 덕행이 온세상에 가득 찬 것과.,..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8(영산조 18). 산새를 읊다 武鳥(무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8(영산조 18). 산새를 읊다 武鳥(무조) 逄蒙善學射(방몽선학사) 방몽은 활쏘기를 잘 배웠으니 妙技人知名(묘기인지명) 기묘한 재주를 가진 명수라는 것을 사람들이 알았네 死作林中鳥(사작림중조) 그가 죽어서 숲 속의 새가 되어 長爲發矢聲(장위발시성) 늘 화살 쏘는 소리를 내는 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7(영산조 17) 산새를 읊다 從達(종달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7(영산조 17) 산새를 읊다 從達(종달새) 碧羽黃金觜(벽우황금자) 푸른 깃털에 황금빛 부리 思歸語自明(사귀어자명)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말이 저절로 분명하네 人傳棄婦魄(인전기부백) 사람들이 전 하기를 버림받은 아낙네의 넋이 憑鳥說心情(빙조설심정) 새한테 의탁해서 그 심정을 말하는 것이라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6(영산조 16) 산새를 읊다. 又(또한수 읊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6(영산조 16) 산새를 읊다 又(또한수 읊다) 絳幘頗知道(강책파지도) 짙붉은 머리의 새가 자못 도리를 알아서 昇高必自卑(승고필자비) 반드시 낮은 곳에서 높은곳으로 오르네 攀枝長啄蠹(반지장타두) 가지에 매달려 늘 벌레를 쪼아 먹으니 除害亦能知(제해역능지) 또한 해로운 것을 없앨 줄도 아는 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5(영산조 15) 산새를 읊다 啄木(탁목) : 딱따구리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5(영산조 15) 산새를 읊다 啄木탁목(딱따구리) 啄木攀空樹(탁목반공수) 딱따구리가 텅 빈 나무에 매달려 長年啄蠧蟲(장년탁두충) 오랜 세월 벌레를 쪼아 먹네 要將汝利觜(요장여이자) 장차 너의 날카로운 부리를 가져다가 還啄蠹君蟲(환탁두군충) 임금을 좀먹는 벌레들을 다시 쪼았으면....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4(영산조 14). 산새를 읊다 胡桃(호도)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4(영산조 14). 산새를 읊다 胡桃(호도) 有鳥鳴胡逃(유조명호조) 호도 하고 우는 새가 있으니 胡逃眞可樂(호도진가락) 오랑캐가 도망가면 참으로 즐겁지 今年若胡逃(금년약호도) 올해 만약 오랑캐가 도망간다면 家國當恢復(가국당회복) 우리집안과 나라가 마땅히 회복 될 텐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3(영산조 13). 산새를 읊다 山鳩산구(멧비둘기)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3(영산조 13). 산새를 읊다 山鳩산구(멧비둘기) 鞠躬勞王事(국궁노왕사) 임금을 섬기는 일에 몸 받쳐 애썼다는 것은 曾聞諸葛公(증문제갈공) 일찍이 제갈량에 관해서 들었네 鳩鳴今近似(구명금근사) 비둘기가 지금도 비슷하게 울어대니 再拜鞠吾躬(재배국오궁) 내 몸을 받친다고 우는 새에게 두 번 절하는 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2(영산조 12). 산새를 읊다. 願死(원사)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2(영산조 12). 산새를 읊다. 願死(원사) 百鳥皆求生(백조개구생) 온갖 새들이 다 살려고 하는데 爾何長願死(이하장원사) 너는 어찌하여 늘 죽기를 바라는가 昭君遠別魂(소군원별혼) 멀리 헤어졋던 왕소군의 넋이 托爾啼千祀(탁이제천사) 너에게 의탁하여 오랜세월 울어대나 보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1(영산조 11). 산새를 읊다. 又(또한수 읋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1(영산조 11). 산새를 읊다 又(또한수 읋다) 神農旣已歿(신농기이몰) 신농씨가 이미 세상을 떠난 뒤로는 千載無明農(천재무명농) 오랜 세월 동안 농사일에 힘을 기울인 사람이 없었네 山禽知布穀(산금지포곡) 산새가 곡식을 뿌릴 줄 아니 却是追神農(각시추신농) 도리어 신농씨의 뒤를 따르는 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0(영산조 10). 布穀포곡(뻐꾸기) 산새를 읊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10(영산조 10). 布穀포곡(뻐꾸기) 산새를 읊다 布穀催春種(포곡최춘종) 뻐꾸기가 봄에 씨를 뿌리라고 재촉하니 田家春正濃(전가춘정농) 농가 에서는 때마침 봄이 한창이네 人而不如鳥(인이불여조) 사람이 새만도 못하여 遊手惰明農(유수타명농) 놀고 먹으며 농사일에 게으르다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9(영산조 9)산새를 읊다. 又(또 한수읊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9(영산조 9) 산새를 읊다. 又(또 한수읊다) 林間疎棄攝(임간소기섭) 숲 속에서 소기섭이 春至日來鳴(춘지일래명) 봄이 오자 날마다 와서 울어 대네 未解心中事(미해심중사) 마음속의 일은 깨닫지 못하겠고 唯聞急難聲(유문급난성) 다만 갑자기 닥친 어려운 일을 알리는 소리만 들리는 구나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8(영산조 8). 疎棄攝(소기섭) 산새를 읊다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詠山鳥 8(영산조 8). 疎棄攝(소기섭) 산새를 읊다 力盡砧將落(력진침장락) 힘이 다하여 지쳐서 방앗공이가 떨어지려 하니 嬰兒命必亡(영아명필망) 젖멋이의 목숨은 틀림없이 죽게 되리라 驚魂飜作鳥(경혼번작조) 놀란 넋이 변하여 새가 되었으니 安得不遑忙(안득불황망) 어찌 황망하지 않을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