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 정몽주(1337) 67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飮酒(음주) 음주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飮酒(음주) 음주 客路春風發興狂(객로춘풍발흥광) 나그네길에 미친듯이 흥이 일어 每逢佳處卽傾觴(매봉가처즉경상) 멋진 곳 만날 때마다 술잔을 기울였다네. 還家莫怪黃金盡(환가막괴황금진) 집에 돌아와 돈 다썼다고 뭐라 하지 마오 剩得新詩滿錦囊(잉득신시만금낭) 새로 지은 시가 비단주머니에 가득하다오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飮酒(음주) 음주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飮酒(음주) 음주 客路春風發興狂(객로춘풍발흥광) 나그네길에 미친듯이 흥이 일어 每逢佳處卽傾觴(매봉가처즉경상) 멋진 곳 만날 때마다 술잔을 기울였다네. 還家莫怪黃金盡(환가막괴황금진) 집에 돌아와 돈 다썼다고 뭐라 하지 마오 剩得新詩滿錦囊(잉득신시만금낭) 새로 지은 시가 비단주머니에 가득하다오

鄭夢周(정몽주). 旅寓(여우)-나그네로 살며

鄭夢周(정몽주). 旅寓(여우)-나그네로 살며 平生南與北(평생남여북) 평생을 나그네로 남과 북을 나다니니 心事轉蹉跌(심사전차질) 마음에 둔 일 뜻대로 되지 않아 故國西海岸(고국서해안) 고국은 서쪽바다 저 먼 곳 孤舟天一涯(고주천일애) 나 있는 곳은 하늘 끝의 외로운 배 안 梅窓春色早(매창춘색조) 매화 핀 창은 아직 이른 봄板屋雨聲多(판옥우성다) 판자 지붕에 빗소리 요란해 獨坐消長日(독좌소장일) 혼자 앉아 긴 날을 보내노라니 那堪苦憶家(나감고억가) 고향 생각 어찌 견딜 수 있으랴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사일본(奉使日本) 일본에 사신와서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사일본(奉使日本) 정몽주(鄭夢周) 일본에 사신와서 水國春光動(수국춘광동) : 섬나라에 봄기운 감도는데 天涯客未行(천애객미행) : 하늘 끝 나그네 아직 돌아가지 못 하네 草連千里綠(초련천리록) : 풀은 천 리에 연이어 푸르고 月共兩鄕明(월공양향명) : 달은 두 고을 모두 밝히네 遊說黃金盡(유설황금진) : 사행길에 비용도 다 써고 思歸白髮生(사귀백발생) : 고국 갈 생각에 흰머리만 느네 男兒四方志(남아사방지) : 세상을 다스리려는 나의 큰 뜻이 不獨爲功名(불독위공명) : 다만 공명만을 위함은 아니라오

夜客 鄭夢周 (야객 정몽주). 明遠樓(명원루)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明遠樓(명원루) 淸溪石壁抱州回(청계석벽포주회) 바위벽 맑은 냇물 고을을 돌아 흐르고 更起新樓眼豁開(갱기신루안활개) 새로 지은 누각에서 일어나보니 눈 앞이 훤히 보인다 南畝黃雲知歲熟(남무황운지세숙) 남쪽 밭에 누런 구름 곡식이 익었고 西山爽氣覺朝來(서산상기각조래) 서상의 삽상한 기운 아침에 몰려온다 風流太守二千石(풍류태수이천석) 풍류 즐기는 태수는 이천석의 돈을 쓰고 邂逅故人三百杯(해후고인삼백배) 오랜만에 만난 친구 술 삼백 잔은 마신다네 直欲夜深吹玉笛(직욕야심취옥적) 밤 깊어 옥피리 불며 高攀明月共徘徊(고반명월공배회) 높이 밝은 달 잡아 함께 배회하고 싶어라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사일본(奉使日本) 일본에 사신와서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사일본(奉使日本) 일본에 사신와서 水國春光動(수국춘광동) : 섬나라에 봄기운 감도는데 天涯客未行(천애객미행) : 하늘 끝 나그네 아직 돌아가지 못 하네 草連千里綠(초련천리록) : 풀은 천 리에 연이어 푸르고 月共兩鄕明(월공양향명) : 달은 두 고을 모두 밝히네 遊說黃金盡(유설황금진) : 사행길에 비용도 다 써고 思歸白髮生(사귀백발생) : 고국 갈 생각에 흰머리만 느네 男兒四方志(남아사방지) : 세상을 다스리려는 나의 큰 뜻이 不獨爲功名(불독위공명) : 다만 공명만을 위함은 아니라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호중관어 2(湖中觀魚 2) 호수에서 물고기를 보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호중관어 2(湖中觀魚 2) 호수에서 물고기를 보다 魚應非我我非魚(어응비아아비어) : 물고기는 당연히 내가 아니고 내가 물고기 아니니 物理參差本不齊(물리참차본부제) : 사물의 이치는 제각기 여서 본래 같지가 않다네 一卷壯生濠上論(일권장생호상론) : 한권의 장자의 호숫가 논설로 至今千載使人迷(지금천재사인미) : 지금까치 천년동안 사람을 미혹햐게 하는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호중관어 1(湖中觀魚 1) 호수에 물고기를 보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호중관어 1(湖中觀魚 1) 호수에 물고기를 보다 潛在深淵或躍如(잠재심연혹약여) : 깊은 못에 있는 듯 혹은 뛰어 오르는 듯 子思何取著于書(자사하취저우서) : 자사는 무엇을 취해서 책에 적었을까 但將眼孔分明見(단장안공분명견) : 다만 장차 눈으로 분명히 봐야 하는 것은 物物眞成潑潑魚(물물진성발발어) : 사물마다 활발한 물고기가 되게 하는 것이니라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주중야흥(舟中夜興) 배안, 밤 흥취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주중야흥(舟中夜興) 배안, 밤 흥취 湖水澄澄鏡面平(호수징징경면평) : 호숫물은 거울처럼 맑고도 잔잔한데 舟中宿客不勝淸(주중숙객불승청) : 배 안의 자는 나그네 청청함을 이기지 못한다 悄然半夜微風起(초연반야미풍기) : 고요한 한밤중에 산들바람 불어 十里菰蒲作雨聲(십리고포작우성) : 십리 물가의 부들숲이 빗소리로 변하는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양자강선상(楊子江船上)양자강 배 위에서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양자강선상(楊子江船上) 양자강 배 위에서 身隨海舶賀王正(신수해박하왕정) : 이몸 배를 따라 황실의 신년을 축하하려 路入江南眼忽明(노입강남안홀명) : 길이 강남으로 접어드니 눈앞이 문득 밝아진다 地闢天開新建極(지벽천개신건극) : 땅이 트이고 하늘이 열려 새로이 황극이 서니 龍盤虎踞舊聞名(용반호거구문명) : 용의 서림 범의 웅크림 옛날에 듣던 이름이로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오호도(嗚呼島)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오호도(嗚呼島) 三傑徒勞作漢臣(삼걸도로작한신) : 세 호걸들 헛된 수고로 한나라 신하 되었느나 一時功業竟成塵(일시공업경성진) : 한 시대의 공업이 필경은 흙먼지로 되었구나 只今留得嗚呼島(지금유득오호도) : 다만 지금은 오호도만 남아서 長使行人淚滿巾(장사행인루만건) : 길이 행인으로 하여금 눈물이 수건에 가득하게 한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양자강(楊子江)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양자강(楊子江) 龍飛一日樹神功(용비일일수신공) : 용이 날아올라 하루만에 신비한 공을 이루어 直使乾坤繞漢宮(직사건곤요한궁) : 곧 바로 천하를 한나라 궁실을 섬기게 하였다 但把長江限南北(단파장강한남북) : 다만 장강을 남북으로 갈라 놓았으니 曹公誰道是英雄(조공수도시영웅) : 누가 조조를 영웅이라 말하는가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숙탕참(宿湯站) 탕참에서 묵으며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숙탕참(宿湯站) 탕참에서 묵으며 半生豪氣未全除(반생호기미전제) : 반평생의 호탕한 기운 다 없어지지는 않아 跨馬重遊鴨綠堤(과마중유압록제) : 말에 걸터 앉아 압록강 뚝에서 놀도다 獨臥野盤無夢寐(독와야반무몽매) : 홀로 들판 반석에 누워도 잠은 오지 않고 滿山明月子規啼(만산명월자규제) : 밝은 달빛 산에 가득하고 자규는 울어댄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증상주김선치상국 (贈尙州金先致相國) 상주의 김선치 상국에게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증상주김선치상국 (贈尙州金先致相國) 상주의 김선치 상국에게 雨中留我酒杯深(우중류아주배심) : 비는 내리는 데 나를 머물게 하니 술도 취하여 半日高談直百金(반일고담직백금) : 한 날절 동안 고상한 이야기 백금보도 값지도다 只爲朝天促歸驥(지위조천촉귀기) : 다만 중국에 사신 가는 일로 돌아 갈 말 재촉하니 夕陽芳草懊人心(석양방초오인심) : 석양에 향기로운 풀은 사람의 마음을 괴롭게 하는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첨성대(瞻星臺)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첨성대(瞻星臺) 瞻星臺兀月城中(첨성대올월성중) : 첨성대는 반월성에 우뚝 솟아있고 玉笛聲含萬古風(옥적성함만고풍) : 옥피리는 만리 만고의 풍아를 머금었구나 文物隨時羅代異(문물수시라대이) : 문물은 시대에 따라 신라와 다르나 嗚呼山水古今同(오호산수고금동) : 아, 산과 물은 옛날과 지금이 꼭 같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贈僧 (증승 ) 스님에게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贈僧 (증승 ) 스님에게 松風江月接沖虛(송풍강월접충허) : 솔바람 강에 비친 달이 텅빈 공중에 닿으면 正是山僧入定初(정시산승입정초) : 이 때가 곧 산 속 스님이 선경에 드는 처음이로다 可吲紛紛學道者(가신분분학도자) : 가소롭도다, 어지러이 도를 배운다는 자여 聲色之外覓眞如(성색지외멱진여) : 성색의 밖에서 진여의 진리를 찾는다고 하는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석정전다(石鼎煎茶) 돌 솥에 차 다리며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석정전다(石鼎煎茶) 돌 솥에 차 다리며 報國無效老書生(보국무효노서생) : 나라의 은혜를 갚지도 못하는 늙은 서생 喫茶成僻無世情(끽다성벽무세정) : 차 달이며 세상 피하니 세상 마음 없도다 幽齋獨臥風雪夜(유재독와풍설야) : 눈보라 치는 밤, 재실에 홀로 누워 愛聽石鼎松風聲(애청석정송풍성) : 돌 솥에 들려오는 솔바람 소리 즐겨 듣는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재유시사(再遊是寺)다시 이절에 와 놀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재유시사(再遊是寺) 다시 이절에 와 놀다 溪流繞石綠徘徊(계류요석록배회) : 개울물 돌을 도니 푸른빛 감돌고 策杖沿溪入洞來(책장연계입동래) : 지팡이 짚고 개울 따라 고을에 든다 古寺閉門僧不見(고사폐문승불견) : 옛 절은 닫혀 있고 스님 보이지 않아 落花如雪覆池臺(낙화여설복지대) : 지는 꽃은 눈처럼 연못의 대를 덮는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래각(蓬萊閣)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래각(蓬萊閣) 採藥未還滄海深(채약미환창해심) : 불사약 캐러 갔다 돌아오지 못한 푸른 바다 깊고 秦皇東望此登臨(진황동망차등림) : 진시황은 동쪽 바라며 여기서 누대에 올라 바라보았다 徐生詐計非難悟(서생사계비난오) : 서시의 거짓 계교를 깨닫기가 어려웠지 않았다 自是君王有欲心(자시군왕유욕심) : 여기에서 군왕에게 욕심이 있었기 때문이라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등정주성루(登定州城樓) 정주성루에 오르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등정주성루(登定州城樓) 정주성루에 오르다 歸心杳杳入長空(귀심묘묘입장공) : 돌아갈 마음이 아득하여 긴 공중에 들어 萬里登樓滿帽風(만리등루만모풍) : 만 리 먼 누대에 오르니 모자에 가득한 바람 已信此身無定止(이신차신무정지) : 이미 이 몸 머무 곳 없음을 알았으니 明年何處聽秋鴻(명년하처청추홍) : 명년에는 어느 곳에서 가을 기러기 소리 들으리오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고우성(高郵城)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고우성(高郵城) 湖光瀲灩繞重城(호광렴염요중성) : 호수빛 넘실거리며 여러 성을 둘러싸고 粉堞崔嵬百里明(분첩최외백리명) : 화려한 성첩은 높아 백리에 밝도다 仰認聖人憂治世(앙인성인우치세) : 성인이 치세를 근심함을 알겠노니 故留精卒戒嚴更(고류정졸계엄경) : 짐짓 정병을 모아서 엄히 지키게 하다 往時豪傑來依險(왕시호걸래의험) : 지난 날 호걸들도 이 험난한 곳에 와 每逞頑凶此弄兵(매령완흉차롱병) : 매번 흉한 도적 맞아 이곳에 병사를 놓였다 畢竟驅民爲湯武(필경구민위탕무) : 마침내 백성을 몰아 양왕과 무왕시대 만들었는데 今看菱芡滿池生(금간릉검만지생) : 지금은 마름풀이 땅에 가득 돋아나는 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제익양신정(題益陽新亭) 익양의 새 정자에 제하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제익양신정(題益陽新亭) 익양의 새 정자에 제하다 山近暮雲合(산근모운합) : 산이 가까워 저문 구름과 합쳐지고 草長秋雨深(초장추우심) : 풀이 무성하여 가을비가 깊도다 一燈孤客夢(일등고객몽) : 한 등잔불에 외로운 나그네 꿈은 千里故人心(천리고인심) : 천리 먼 곳 친구 그리는 내 마음이로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곡이밀직종덕(哭李密直種德) 밀직이종덕을 곡하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곡이밀직종덕(哭李密直種德) 밀직이종덕을 곡하다 自是韓山積善餘(자시한산적선여) : 한산 이씨 문벌은 적선한 일이 있어 賢郞欠壽竟何如(현랑흠수경하여) : 아들이 일찍 오래 살지 못함은 어찌 된 일인가 古來此理誠難詰(고래차리성난힐) : 옛부터 이러한 이치 정말 알기 어려웠으니 孔聖猶曾哭伯魚(공성유증곡백어) : 공자 같은 성인도 일찍 아들 백어를 곡하였도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표모분(漂母墳) 표모의무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표모분(漂母墳) 표모의무덤 漂母高風我所歆(표모고풍아소흠) : 표모의 높은 풍모 내가 공경하는 바인지라 道經遺塚爲傷心(도경유총위상심) : 남겨진 무덤을 지나가니 내 마음 상하는구나 莫言不受王孫報(막언불수왕손보) : 왕손의 은혜 안 받았다고 말하지 말라 千古芳名直幾金(천고방명직기금) : 천고에 아름다운 이름은 그 값은 얼마이리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회금해구유(懷金海舊遊) 김해 옛 놀이 생각하며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회금해구유(懷金海舊遊)김해 옛 놀이 생각하며 燕子樓前燕子廻(연자루전연자회) : 연자루 앞에 제비가 돌아오는네 郞君一去不重來(랑군일거불중래) : 낭군은 한 번 간 뒤 다시 오지 않는구나 當時手種梅花樹(당시수종매화수) : 당시에 직접 심은 매화나무는 爲問東風幾度開(위문동풍기도개) : 봄바람에 몇 번이나 피었는지 묻고 싶도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주차백로주(舟次白鷺洲) 배에서 백로주를 차운하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주차백로주(舟次白鷺洲) 배에서 백로주를 차운하다 白鷺洲邊浪接天(백로주변랑접천) : 백로주 주변의 물결은 하늘에 닿고 鳳凰臺下草如煙(봉황대하초여연) : 봉황대 아래에는 풀이 연기와 같도다 三山二水渾夜舊(삼산이수혼야구) : 삼산과 이수는 모두 예와 같거니 不見當年李謫仙(불견당년리적선) : 그 당시의 이적선은 보지 못하겠도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제여흥루(題驪興樓) 여흥루에 제하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제여흥루(題驪興樓) 여흥루에제하다 煙雨空濛滿一江(연우공몽만일강) : 연기와 비 쓸쓸히 내려 온 강에 가득하고 樓中宿客夜開窓(루중숙객야개창) : 누대 안 잠자는 나그네 밤에 창을 열었구나 明朝上馬衝泥去(명조상마충니거) : 내일 아침에 말에 올라 진흙 뚫고 가면서 回首滄波白鳥雙(회수창파백조쌍) : 푸른 물결로 머리 돌리니 흰 새 한 날고 있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洪武丁巳奉使日本作 1(홍무정사봉사일본작 1)홍무 정사년에 일본으로 사신가서 짓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洪武丁巳奉使日本作 1 (홍무정사봉사일본작 1) 홍무 정사년에 일본으로 사신가서 짓다 水國春光動(수국춘광동) : 섬나라에 봄기운 감도는데 天涯客未行(천애객미행) : 하늘 끝 나그네 아직 돌아가지 못 하네 草連千里綠(초련천리록) : 풀은 천 리에 연이어 푸르고 月共兩鄕明(월공양향명) : 달은 두 고을 모두 밝히네 遊說黃金盡(유설황금진) : 사행길에 비용도 다 써고 思歸白髮生(사귀백발생) : 고국 갈 생각에 흰머리만 느네 男兒四方志(남아사방지) : 세상을 다스리려는 나의 큰 뜻이 不獨爲功名(불독위공명) : 다만 공명만을 위함은 아니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