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래 양사언(1517) 39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秋 思 2(추 사 2) 가을날 생각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秋 思 2(추 사 2) 가을날 생각 生曠野孤煙 (고연생광야) 외로운 연기 환한 벌판에서 피어나고 殘月下平蕪 (잔월하평무) 새벽달은 거칠은 지평 아래로 진다. 爲問南來雁 (위문남래안) 남에서 오는 기러기에 물어보네 家書寄我無 (가서기아무) 집에서 내게 부치는 편지는 없더냐 ​ ​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次紫洞韻 3(불정대차자동운 3) 불정대에서 자동 차 시를 차운하여 짓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次紫洞韻 3(불정대차자동운 3) 불정대에서 자동 차 시를 차운하여 짓다 圭峯入紫微(규봉입자미) 규봉은 자미궁에 들고 斗屋倚岩扉(두옥의암비) 아주 작은 집은 석굴 사립문에 의지하네 邀客定僧出(요객정승출) 손님 맞으러 석굴에 머물던 스님이 밖으로 나가니 白雲生滿衣(백운생만의) 흰 구름 피어올라 옷에 가득하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次紫洞韻 2(불정대차자동운 2) 불정대에서 자동 차 시를 차운하여 짓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次紫洞韻 2(불정대차자동운 2) 불정대에서 자동 차 시를 차운하여 짓다 懸瀑風前水(현폭풍전수) 형등폭포는 불어오는 바람 앞의 물이요 瑤臺天外山(요대천외산) 요대는 하늘 바깥의 산이네 蕭然坐終日(소연좌종일) 호젓하고 쓸쓸하게 온종일 앉아 있노라니 孤鶴有餘閑(고학유여한) 외로운 학처럼 그저 한가할 뿐이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次紫洞韻 1(불정대차자동운 1) 불정대에서 자동 차식의 시를 차운하여 짓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次紫洞韻 1(불정대차자동운 1) 불정대에서 자동 차식의 시를 차운하여 짓다 山岳爲肴核(산악위효핵) 높고 험준하게 솟은 산들은 안주의 핵심이 되고 滄溟作酒池(창명작주지) 넓고 큰 바다는 술 못이 되네 狂歌凋萬古(광가조만고) 마구 소리쳐 부른는 노래 오랫동안 지치도록 불러 不醉願無歸(불위원무귀) 취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으리라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秋 思 (추 사) 가을날 생각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秋 思 (추 사) 가을날 생각 生曠野孤煙 (고연생광야) 외로운 연기 환한 벌판에서 피어나고 殘月下平蕪 (잔월하평무) 새벽달은 거칠은 지평 아래로 진다. 爲問南來雁 (위문남래안) 남에서 오는 기러기에 물어보네 家書寄我無 (가서기아무) 집에서 내게 부치는 편지는 없더냐 ​ ​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飛字入海歌(비자입해가) 비자해입가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飛字入海歌(비자입해가) 비자해입가 靑鯨鬣束彤玉管(청경렵속동옥관) 푸른 고래 수염을 붉은 붓대에 묶어 놓고 星泓晴日流銀漢(성홍청일류은한) 맑은 날 성홍에다 은하수를 쏟아 부어 亭飛筆飛字自飛(정비필비자자비) 비래정에 써 놓은 비 자 절로 날아가 버렸나니 謫仙已矯凌雲翰(적선이교릉운한) 적선께서 능운필(凌雲筆)을 휘둘러 남긴 글씨였네 霓旌羽蓋碧海東(예정우개벽해동) 신선의 수레 타고 바다 동쪽 향하실 때 蕭君肯顧蕭齋空(소군긍고소소공) 소군이 텅 빈 소재 다시 돌보려 했겠는가 眞官錦誥詔風伯(진관금고조풍백) 진관이 명을 받들고서 풍백을 불러들였거늘 不待點睛催龍公(불대점청최룡공) 눈동자에 점 찍어서 용공을 깨울 게 있었겠나 人間長物唯此取(인간장물유차취) 세상의 많은 물건 중에 오직 이것을 ..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金剛山 天逸臺(금강산 천일대)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金剛山 天逸臺(금강산 천일대) 靑山舞不舞(청산무불무) 푸른 산이 춤추나 춤이 아니요 綠水歌不歌(녹수가불가) 푸른 물이 노래하나 노래가 아니네 爾舞不舞舞(이무불무무) 그대의 춤은 춤이 아닌 춤이요 我歌不歌歌(아가불가가) 내 노래는 노래가 아닌 노래네 瑤臺之上表獨立(요대지상표독립) 옥으로 만든 누대 위에 홀로 우뚝 서니 碧空明月生何多(벽공명월생하다) 푸른 하늘에 밝은 달이 참으로 많이도 비추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題鉢淵磐石上(제발연반석상) 발연의 너럭바위 위에 쓰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題鉢淵磐石上(제발연반석상) 발연의 너럭바위 위에 쓰다 白玉京(백옥경) 백옥경 蓬萊島(봉래도) 봉래도 皡皡烟霞古(호호연하고) 넓고 넓은 안개와 노을 예스럽고 熙熙風日好(희희풍일호) 눈부시게 빛나는 날씨 좋기만 하네 碧桃花下閑來往(벽도화하한래왕) 벽도화 아래 한가롭게 오가는데 笙鶴一聲天地老(생학일성천지노) 신선이 학을 타고 생황 한번 불자 온 세상이 늙어가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國 島 (국 도) 국도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國 島 (국 도) 국도 金屋樓臺拂紫煙(금옥루대불자연) 화려하게 지은 누각이 자줏빛 안개를 쏟아내고 濯龍雲路下群仙(탁룡운로하군선) 탁룡의 구름 길 따라 신선들이 내려오려나. 靑山亦厭人間世(청산역염인간세) 푸른 산도 사람 사는 세상이 싫어서 飛入滄溟萬里天(비입창명만리천) 만리 떨어진 하늘 아래 큰 바다로 날아들었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泰山歌(태산가) 태산가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泰山歌(태산가) 태산가 泰山雖高是亦山(태산수고시역산)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산) 이로다 登登不已有何難(등등불이유하난)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 만은 世人不肯勞身力(세인부긍노신력)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只道山高不可攀(지도산고불가반) 뫼(산)만 높다 하더라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鏡浦臺(경포대)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鏡浦臺(경포대) 蓬壺一入三千年(봉호일입삼천년) 봉호에 한 번 들어가니 삼천 년 銀海茫茫水淸淺(은해망망수청천) 은빛 바다 아득한데 물은 맑고 얕구나 鸞笙今日忽飛來(난생금일홀비래) 피리 불며 오늘 홀로 날아왔건만 碧桃花下無人見(벽도화하무인견) 벽도화 아래에는 보이는 사람 없구나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鶴城寄友人(학성기우인) 학성에서 벗에게 보내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鶴城寄友人(학성기우인) 학성에서 벗에게 보내다 山水情懷老更新(산수정회노경신) 대자연을 생각하는 마음은 늘그막에 더욱 새로운데 如何長作未歸人(여하장작미귀인) 어찌하여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는 것인가 碧桃花下靑蓮舍(벽도화하청련사) 벽도화 아래 청련거사 이백의 집 있으니 瓊島瑤臺入夢頻(경도요대입몽빈) 신선이 사는 아름다운 섬과 집이 꿈속에 자주 보이리라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自 得(자 득) 스스로 깨닫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自 得(자 득) 스스로 깨닫다 魚龍不入虛舟網(어룡불입허주망) 물고기와 용은 빈 배의 그물에 들어오지 않고 鷗鷺相親大釣磯(구로상친다조기) 갈매기와 해오라기만 낚시터에서 서로 친하게 지냈네 此日天機皆自得(차일천기개자득) 오늘에야 조화의 신비를 모두 스스로 깨달았으니 好將風月咏而歸(호장풍월영이귀) 사이좋게 맑은 바람 밝은 달과 더불어 시 읊으며 돌아왔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新卜關東(신복관동) 관동에 새로 살 자리를 마련하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新卜關東(신복관동) 관동에 새로 살 자리를 마련하다 淵明心事歸來賦(연명심사귀래부) 도연명으 마음으로 귀거래사를 읊었고 摩詰生涯輞口圖(마힐생애망구도) 마힐 왕유는 한평생 망천에서 그림을 그렸네 超然遠蹈蓬山路(초연원도봉산로) 속세를 떠나 멀리 봉래산 산길을 걷노라니 萬二千峰畵也無(만이천봉화야무) 만이천봉은 그야말로 그림이라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簡寄弟應擧應龍(간기제응거응룡) 아우 응거에게 편지를 부치며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簡寄弟應擧應龍(간기제응거응룡) 아우 응거에게 편지를 부치며 胡馬戀風驤北首(호마련풍양북수) 중국 북방에서 나는 말은 고향에서 불어노는 바람 그리워 북쪽으로 머리를 들고 越禽懷土向南飛(월금회토향남비) 월나라 새는 고향을 생각해서 남쪽으로 날아가네 物猶如此人何耐(물유여차인하내) 짐승도 오히려 이와 같은데 사람은 어찌 견디겠는가 春草年年歸未歸(춘호년년귀미귀) 봄풀은 해마다 다시 돋아나는데 가고 싶어도 고향에 가지 못하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遊楓嶽和車紫洞(유풍악화차자동) 풍악에서 노닐며 자동 차식에게 화답하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遊楓嶽和車紫洞(유풍악화차자동) 풍악에서 노닐며 자동 차식에게 화답하다 山上有山天出地(산상유산천출지) 산 위에 산 있고 하늘이 땅을 내었으며 水邊流水水中天(수변류수수중천) 물가에 물 흐르고 물속에는 하늘이 있는데 蒼茫身在空虛裏(창망신재공허리) 넓고 멀어서 아득한 내 몸은 텅 민 하늘 속에 있으니 不是烟霞不是仙(불시연하불시선) 안개와 노을도 아니고 신선도 아니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萬景臺次林石泉韻(만경대차임석천운) 만경대에서 석천임억령의 시를 차운하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萬景臺次林石泉韻(만경대차임석천운) 만경대에서 석천임억령의 시를 차운하다 碧海暈紅窺日半(벽해훈홍규일반) 짙푸른 바다를 붉게 물들이며 해가 반쯤 떠오르고 蒼苔磯白烱鷗雙(창태기백경구쌍) 푸릇푸릇한 이끼 낀 흰 백사장에 갈매기 쌍쌍이 나니 빛나네 金銀臺上發孤嘯(금은대상발고소) 금은대 위에서 외롭게 휘파람 불고 있노라니 天地浩然開八窓(천지호연개팔창) 넓고 큰 온 세상이 팔방으로 난 창 앞에 펼쳐지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普德窟(보덕굴) 보덕굴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普德窟(보덕굴) 보덕굴 銅柱琳宮白日邊(동주림궁벽일변) 구리 기둥과 아름다운 옥으로 만든 궁궐은 밝게 빛나는 해 가장자리에 있고 亂峯如雪倚長天(란봉여설의장천) 눈처럼 하얗게 여기저기 솟은 산봉우리는 멀고도 넓은 하늘에 기대었네 眞仙倘住千尋窟(진선상주천심굴) 도를 성취한 신선은 매우 높은 굴속에 마음대로 머룰면서 仍我靑鸞駕紫烟(잉아청란가자연) 나를 푸른 난새에 태워 자줏빛 안개 속을 날아가겠지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金水亭(금수정) 금수정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金水亭(금수정) 금수정 十年塵土鬂如絲(십년진토빈여사) 십년을 속세에 사니 귀밑털이 실같이 적어졌는데 一笑懽娛問幾時(일속환오문기시) 한번 웃으며 대단히 즐거워하는 경우가 몇 번이나 될까 晩向江湖訪漁父(만향강호방어부) 늘그막에 속세을 떠나 자연 속으로 어부를 찾아가니 白鷗心事少人知(백구심사소인지) 갈매기처럼 끼룩거리며 날고 싶은 생각 아는 사람이 적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仙遊潭(선유담) 선유담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仙遊潭(선유담) 선유담 桃花結予三千歲(도화결여삼천세) 복숭아꽃은 3천년 만에 열매를 맞고 龍虎丹成日未斜(용호단성일미사) 신선이 복용하는 불로장생의 단약을 달이니 해도 저물지 않네 湖光海色落天鏡(호광해색락천경) 호수와 바다의 아름답고 찬란한 빛은 하늘의 거울을 떨어뜨린 듯하고 黃鶴白雲棲紫霞(황학백운서자하) 신선이 타고 갔다는 황학과 늘 부질없이 흘러만 간는 흰 구름은 자줏빛 노을 속에 깃들이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洛山寺(낙산사) 낙산사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洛山寺(낙산사) 낙산사 靑靑霧閣三千丈(청청무각삼천장) 맑고 푸른 안개 속에 잠긴 누각은 무척이나 높이 솟았고 白白雲窓萬里天(백백운창만리천) 희고 깨끗한 구름으로 만들어진 창밖에는 드넓은 하늘이 펼쳐졌네 望望乘槎人不見(방승상사인불견) 바라보고 또 바라봐도 상제에게 가는 신선 보이지 않으니 不知何處恣飄然(부지하처자표연) 어디에서 마음대로 훌쩍 떠나야 할지 모르겠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楡岾寺(유점사)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楡岾寺(유점사) 九井峯懸十二瀑(구정봉현십이폭) 구정봉에 매달린 십이폭포는 飛流直下小人堆(비류직하소인퇴) 곧바로 흘러 떨어지니 쌓는 사람이 적네 長도剗却經天險(장도전각경천험) 긴 칼로 험준한 곳을 조직적으로 잘 계획해서 깎아 지었는지 萬二千峰次第開(만이천봉차제개) 만이천봉이 차례로 열리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九仙峯(구선봉)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九仙峯(구선봉) 九仙何日九天中(구선하일구천중) 아홉 신선은 언제 높다란 하늘 가운데서 萬里來遊駕紫虹(만리래유가자홍) 머나먼 곳까지 와서 놀면서 자줏빛 무지개를 탔을까 湖海勝區着未厭(호해승구착미염) 호수와 바다의 경치 좋은 곳 바라보는 것이 싫지 않아 至今離立倚長空(지금리입의장공) 지금까지 죽 늘어서서 높고 먼 하늘에 기대고 있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三日浦(삼일포) 삼일포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三日浦(삼일포) 삼일포 鏡裏芙蓉三十六(경이부용삼십륙) 거울 속의 연꽃은 서른여섯 봉오리고 天邊鬟髺萬二千(천변환괄만이천) 하늘가 높다란 산봉오리는 만이천봉 이네 中間一片滄洲石(중간일편창주석) 그 가운데 푸른 물가에 놓여 있는 바위 한 조각은 合着東來海客眠(함착돌애해객면) 동쪽으로 바다 찾아온 나그네 쉬기에 딱 알맞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불정대)불정대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佛頂臺(불정대)불정대 滿地雨花仙境界(만지우화선경계) 하늘에서 내린 꽃비가 땅에 가득하니 신선이 사는 세상인가 曼天雲氣帝衣裳(만천운기제의상) 먼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은 상제의 옷이네 脩然下瞰人間世(수연하감인간세) 저 멀리 인간 세상을 내려다 보니 衣舊靑山傍海洋(의구청산방해양) 푸른 산은 옛날 그대로 변함없이 넓고 큰 바닷가에 서있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降仙亭待車紫洞(강선정대차자동) 강선정에서 자동 차식을 기다리며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降仙亭待車紫洞(강선정대차자동) 강선정에서 자동 차식을 기다리며 降仙亭上望仙翁(강선정상망선옹) 강선정 위에서 신선 노인을 기다리니 何處鸞笙奇碧空(하처란생기벽공) 어디선가 방울 소리와 생황 소리가 푸른 하늘에 울려 퍼지네 迦洛峰頭斜日落(가락봉두사일락) 가락봉 꼭대기에 해 넘어가고 白鷗疎雨海당江(백구소우해당강) 가랑비 내리는데 갈매기 날고 해당화 붉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蓮 (연) 연 꽃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蓮 (연) 연 꽃 紅衣翠盖自精神(홍이취개자정시) 붉은 옷과 푸른 일산 그 본연의 정신으로 挺出淤泥不染塵(정출어니불염진) 진흙에서 나왔어도 티끌에 물들지 않았네 世間深愛誰同我(세간심애수동아) 세상에서 그 누가 나처럼 깊이 사랑할까 如對光風霽月人(여대광풍제월이) 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을 지닌 사람을 대하고 있는 듯 하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哭 內(곡 내)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며 울다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哭 內(곡 내)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며 울다 案上空餘女則文(안상공여녀칙문) 책상 위에는 부질없이 녀칙문만 남았고 山頭唯有一孤墳(산두유유일고분) 산꼭대기에는 다만 외로운 무덤 하나만 있네 長天萬里無消息(장천만리무소식) 이득히 높고 먼 하늘에서는 소식이 없으니 何處人間更見君(하처인간갱견군) 인간 세상 어디에서 다시 그대를 볼 수 있을까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不 見(불 견) 서로 보지 못하여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不 見(불 견) 서로 보지 못하여 不見年年長不見)불견년년장불견) 해마다 서로 보지 못해서 오랫동안 서로 보지 못하니 相思日日重相思(상사일일중상사) 서로 그리워하네 날마다 더욱 서로 그리워하네 長相思處長相見(장상사처장상견) 늘 서로 그리워하며 살다가 늘 서로 볼 수 있다면 何恨人間有別離(하한인간유별리) 인간 세상에 이별이 있다고 해서 어찌 원망스럽게 여길까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白玉贊(백옥찬) 딸 백옥을 기리며

蓬萊 楊士彦(봉래 양사언). 白玉贊(백옥찬) 딸 백옥을 기리며 磨而不磷(마이불린) 갈아도 닳아서 엷어지지 않으니 玉之身兮(옥지신혜 옥 같은 몸이여 涅而不緇(열이불치) 검게 물들여도 검어지지 않으니 玉之眞兮(옥지진혜) 옥같이 참됨이여 乃如之人兮(내여지인혜) 이와 같을 사람이여 玉如之人兮(옥여지인혜) 옥과 같은 사람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