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매당 이첨(1345) 37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晉陽亂後謁聖(진양란후알성) 진양의 난리 뒤 공자의 영정을 뵙고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晉陽亂後謁聖(진양란후알성) 진양의 난리 뒤 공자의 영정을 뵙고 廨字丹靑一炬亡(해자단청일거망) 관청의 단청은 횃불 하나에 없어졌는데 頑童尙解護文坊(완동상해호문방) 왜구들이 오히려 문묘는 보호할 줄 알았네 十年海嶠風塵裏(십년해교풍진이) 10년 세월 영남의 풍진 속에서 獨整衣冠謁素王(독정의관알소왕) 홀로 의관을 바로잡고 소왕을 뵙는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將赴密陽歇馬茵橋新院장(장부밀양헐마인교신원)밀양 가는 중에 인교신원에서 말을 쉬며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將赴密陽歇馬茵橋新院장 (장부밀양헐마인교신원) 밀양 가는 중에 인교신원에서 말을 쉬며 行旅知多少(행려지다소) : 여행하는 사람 얼마나 되나 閑人似我稀(한인사아희) : 나처럼 한가한 사람도 드물도다 愛山隨處駐(애산수처주) : 산 사랑하여 머무는 곳마다 말을 멈추고 得句獨吟歸(득구독음귀) : 시구를 지어 혼자 읊으며 돌아가노라 僧院秋方至(승원추방지) : 산 절간에는 막 가을이 오고 官塗露未晞(관도로미희) : 관로에는 이슬이 마르지 않았구나 會當容此膝(회당용차슬) : 결국 이 한 몸 부칠 곳 江上有魚磯(강상유어기) : 강 위에 물고기 잡는 낚시터가 있도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有所思(유소사) 그리운 님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有所思(유소사) 그리운 님 頭流山高南海深(두류산고남해심) 지리산 높고 남해 바다 깊은데 瘴煙四塞淸晝陰(장연사색청주음) 온통 가득한 장기에 대낮도 침침하다 三年逐客苦留滯(삼년축객고류체) 쫓겨난 나그네 3년간 괴롭게 불들려 있으니 懷歸更奈傷春心(회귀갱내상춘심) 돌아갈 마음에 봄 시름 이를 어쩌랴 欲修尺書寄美人(욕수척서기미인) 편지를 써 미인에게 보내고 싶지만 塞雁不征河鯉沈(새안부정하리침) 기러기 오지 않고 잉어도 뵈지 않네 山更高兮水更深(산갱고혜수갱심) 산은 더 높고 물은 더욱 깊은데 天涯地角力難任(천애지각력난임) 하늘가 땅 끝이라 감당치 못하겠네 相思一夜夢中見(상사일야몽중견) 하루는 그리운 님 꿈에서 만났더니 美人遺我雙黃金(미인유아쌍황금) 임께서 나에게 황금 한 쌍 주시네 不..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寒食日(한식일) 한식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寒食日(한식일) 한식일 今年寒食滯京華(금년한식체경화) 올해 한식날 서울에 머물러 있자니 節序如流苦憶家(절서여류고억사) 계절은 물처럼 흘러 집이 더욱 그립네 楊柳愁邊初弄線(양류수변초롱선) 버들은 시름 속에 가지를 막 희롱하고 茶慮雨後已生花(다려우후이생화) 씀바귀는 비 온 뒤 꽃을 벌써 피웠네 尋春院落多遊騎(심춘원락다유기) 동산에는 봄을 찾아 놀러온 이 많고 上墓郊原集亂鴉(상묘교원집란아) 언덕에는 묘 위로 갈가마귀 모여 있네 物色漸新人漸老(물색점신인점로) 풍경은 새로워지는데 사람은 늙어가니 慕眞何處鍊丹砂(모진하처련단사) 진을 찾아 어느 곳에서 단약을 달일까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重遊合浦(중유합포) 다시 합포에서 노닐면서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重遊合浦(중유합포) 다시 합포에서 노닐면서 天機人事兩參差(천기인사량참차) 천기와 인사가 다 어그러졌건만 城郭依然似舊時(성곽의연사구시) 성곽은 옛 모습 그대로 구나 細竹更長新出筍(세죽갱장신출순) 가는 대나무 다시 자라 새 순이 돋는데 殘花還有未開枝(잔화환유미개지) 시든 꽃은 새로 가지에 피어나지 못했네 江湖半夜孤舟夢(강호반야고주몽) 한밤의 강호 외로운 배에서 꾸는 끔 幕府十年千首詩(막부십년천수시) 막부 10년 생활에 남은 것은 천 수의 시 此日南樓風景好(차일남루풍경호) 이날에 남루의 풍경이 좋은데 元戎何處駐旌旗(원융하처주정기) 대장군은 어디에서 수레를 멈추셨나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中九後與廉使金公泛舟遊於三日浦(중구후 여렴사 김공범 주유어 삼일포)중양절 후에 안렴사 김공과 더불어 삼일포에 배를 띄우고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中九後與廉使金公泛舟遊於三日浦 (중구후 여렴사 김공범 주유어 삼일포) 중양절 후에 안렴사 김공과 더불어 삼일포에 배를 띄우고 平湖萬頃綠波微(평호만경록파미) 낮은 호수 드넓은데 푸른 물결 잔잔하여 試向深秋好染衣(시향심추호염의) 깊은 가을 즐겁게 옷을 물들여 보리라 亭上四仙應悵望(정상사선응창망) 정자의 네 시선도 슬피 바라보리니 月明輕棹載花歸(월명경도재화귀) 밝은 달빛 가벼운 배에 꽃을 싣고 가세나 山光水色快新晴(산광수색쾌신청) 산빛 과 물빛이 통쾌하게 깨끗하니 一箇秋標滿意淸(일개추표만의청) 온통 가을하늘도 미음껏 맑구나 更與玉人遊此地(갱여옥인유차지) 다시 고운 사람과 이곳에서 노니 絶勝黃菊美湖明(절승황국미호명) 빼어난 황국화가 넓은 호수에 피었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臨津亭(임진정) 임진정에서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臨津亭(임진정) 임진정에서 屢渡臨津渡(루도임진도) 여러 번 임진 나루를 건너서 吾家近水移(오가근수이) 우리 집을 물 가까이 옮겼나네 沙痕連遠岸(사슨련원안) 모래톱은 먼 강안으로 이어지는데 楓葉下淸漪(풍엽하청의) 단풍잎은 맑은 물로 떨어지누나 人走東西路(인주동서로) 사람은 동서로 떠돌아다니는데 潮生十二時(조생십이시) 물결은 열 두 때를 맞추는구나 月明群動息(월명군동식) 밝은 달빛이 만물이 숨을 죽이니 亭長獨吟詩(정장독음시) 정자에서 홀로 시를 읊조리노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被召至京奉簡三峯先生(피소지경봉간삼봉선생)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被召至京奉簡三峯先生 (피소지경봉간삼봉선생) 부름받아 서울에 이르러 삼봉선생에게 글을 올리다 鯨海三年客(경해삼년객) 바닷가에서 3년을 나그네로 살다가 金鷄特腸環(금계특장환) 신유년에 사은을 입어 돌아왔소 困魚猶圉圉(곤어유어어) 욕을 본 물고기는 아직도 어릿어릿한데 驚鳥更關關(경조갱관관) 놀란 새는 그저 멍하기만 하오리다 寄想雲龍際(기상운룡제) 군신이 만날 것을 멀리서 그려보지만 持身木雁間(지신목안간) 몸가짐은 튀지 않도록 조심하리다 貢文如獻豕(감문여헌시) 부끄러움 잊고서 삼가 글을 올리지만 豹得官中班(표득관중반) 대롱으로 표범을 보듯 못났소이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菌 橋 (균 교) 균 교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菌 橋 (균 교) 균 교 行旅知多少(행려지다소) : 나그네가 많음 알고 있으나 閑人似我稀(한인사아희) : 나같이 한가한 사람은 많지 않구나 愛山隨處駐(애산수처주) : 산을 좋아하여 곳에 따라 머물며 得句獨吟歸(득구독음귀) : 시를 지어 혼자 읊으며 돌아오네 僧院秋方主(승원추방주) : 절에는 가을이 한창이고 官塗露未晞(관도로미희) : 관도는 드러나 아직 마르지 않았네 會當容此膝(회당용차슬) : 마침 이곳이 마음에 맞으니 江上有漁磯(강상유어기) : 강 위에 낚시터가 있어서라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登 州 (등 주) 등 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登 州 (등 주) 등 주 久客饒情緒(구객요정서) : 오랜 나그네 처지라 회포 많아 春來更惘然(춘래경망연) : 봄이 오니 더욱 망연해지는구나 焚香靈應廟(분향령응묘) : 영응묘당에 향을 태우고 乞火孝廉船(걸화효렴선) : 효렴 장빙의 배에서 불을 빌린다 雁度三千里(안도삼천리) : 기러기는 삼천리 먼 길 떠나고 鵬鶱九萬天(붕건구만천) : 붕새는 구만 리 하늘에 날아가는구나 幾時還故國(기시환고국) : 어느 때나 고장에 돌아가 爛熳醉花前(란만취화전) : 흠뻑 꽃앞에서 취해 보리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舟行至沐陽潼陽驛(주행지목양동양역)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舟行至沐陽潼陽驛(주행지목양동양역) 배로 가다가 목양 동양역에 이르다 一粟滄波上(일속창파상) : 푸른 물결위 한 알의 좁쌀처럼 飄然任此身(표연임차신) : 표연히 이 한 몸을 맡겼도다 楚山遙送客(초산요송객) : 초 나라 산은 멀리 나그네 보내고 淮月近隨人(회월근수인) : 회수의 달은 가까이 사람 따라오는구나 衰鬢渾成雪(쇠빈혼성설) : 노쇠한 살쩍은 온통 눈처럼 흰데 征衣易染塵(정의역염진) : 나그네 옷은 티끌에 물들기 쉽도다 那堪行役久(나감행역구) : 오랜 여행을 어이 견디어낼까 汀草暗知春(정초암지춘) : 물가에 풀에서 은근히 봄날을 느낀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懷 歸 (회 귀) 돌아가고 싶어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懷 歸 (회 귀) 돌아가고 싶어라 再拜子規鳥(재배자규조) : 자규새에게 두 번 절하노니 思君淚滿衣(사군루만의) : 임금 그리워 눈물이 옷을 적신다 人窮人不愛(인궁인불애) : 사람이 궁하니 사람들이 사랑해 주지 않고 事往事多違(사왕사다위) : 일은 지나쳤는데 어긋난 것이 많네 片月吹羌笛(편월취강적) : 조각달 아래 강적을 불고 枯桐送落暉(고동송락휘) : 거문고 타며 저녁 햇빛을 보내네 松山遙在望(송산요재망) : 송산이 멀리 눈 앞에 있는 듯 安得一廻歸(안득일회귀) : 어찌해야 한 번 돌아갈 수있으리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將赴密陽歇馬茵橋新院장(부밀양헐마인교신원)밀양 가는 중에 인교신원에서 말을 쉬며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將赴密陽歇馬茵橋新院장(부밀양헐마인교신원) 밀양 가는 중에 인교신원에서 말을 쉬며 行旅知多少(행려지다소) : 여행하는 사람 얼마나 되나 閑人似我稀(한인사아희) : 나처럼 한가한 사람도 드물도다 愛山隨處駐(애산수처주) : 산 사랑하여 머무는 곳마다 말을 멈추고 得句獨吟歸(득구독음귀) : 시구를 지어 혼자 읊으며 돌아가노라 僧院秋方至(승원추방지) : 산 절간에는 막 가을이 오고 官塗露未晞(관도로미희) : 관로에는 이슬이 마르지 않았구나 會當容此膝(회당용차슬) : 결국 이 한 몸 부칠 곳 江上有魚磯(강상유어기) : 강 위에 물고기 잡는 낚시터가 있도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寄南敎授(기남교수) 남교수에게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寄南敎授(기남교수) 남교수에게 山寺讀書日(산사독서일) : 산사에서 글을 읽던 날 相同過一春(상동과일춘) : 우리 서로 한 봄을 지냈소 單裝流落處(단장류락처) : 나의 초라한 차림으로 유락한 그 곳 匹馬往來頻(필마왕래빈) : 그대는 필마로 왕래가 잦았었지요 信字傳盈尺(신자전영척) : 전해온 서신은 한 자 높이나 쌓였는데 音容隔幾塵(음용격기진) : 그대의 목소리 얼굴은 몇 진이나 떨어져 있소 十年飜覆後(십년번복후) : 십 년 동안 바뀐 뒤에도 君獨有情人(군독유정인) : 오직 그대만이 다정한 친구라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迎曙驛逢郭御史明日漢江上相別 (영서역봉곽어사명일한강상상별)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迎曙驛逢郭御史明日漢江上相別 (영서역봉곽어사명일한강상상별) 영서역에서 곽어사를 만나 다음날 한강에서 작별하다 再過三峯下(재과삼봉하) : 다시 삼봉 밑을 지나가다 傷時淚滿巾(상시루만건) : 세상에 상심 되어 눈물이 수건에 찬다 年來新日月(년래신일월) : 해가 오니 새 세월이요 事往幾風塵(사왕기풍진) : 지난 일은 얼마나 풍진을 겪었던가 世路少相識(세로소상식) : 세상길 서로 아는 사람 적은데 郵亭逢故人(우정봉고인) : 우정에서 친구를 만났도다 依依不忍別(의의불인별) : 차마 작별하지 못하고 立馬漢江濱(립마한강빈) : 한강가에 가던 말을 세웠도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聞 鶯 (문 앵)꾀꼬리 소리를 듣고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聞 鶯 (문 앵) 꾀꼬리 소리를 듣고 三十六宮宮樹深(삼십육궁궁수심) 서른여섯 궁궐마다 숲이 우거져 있는데 蛾眉夢覺午窓陰(아미몽각오창음) 그늘진 한낮 창가에서 궁녀의 꿈이 깨었네 玲瓏百囀凝愁聽(령롱백전응수청) 영롱하게 재잘대는 소리 스름 속에 들어보니 盡是香悶望幸心(진시향민망행심) 사랑받기 바라는 규중 여인 마음이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汲 黯 (급 암)한나라 무제 때의 사람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汲 黯 (급 암) 한나라 무제 때의 사람 諂謏從來易得親(첨소종래역득친) 월래 아첨꾼은 쉽게 측근이 되는 법이라 君看大將與平津(군간대장여평진) 그대 衛靑과 公孫弘 을 보게나 高才久屈淮陽郡(고재구룰회양군) 높은 재주로 오래 회양 땅에 엎드리게 하였으니 孰謂當時社稷臣(숙위당시사직신) 당시에 사직 의 신하라 누가 말 하였던가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晉陽亂後謁聖(진양란후알성) 진양의 난리 뒤 공자의 영정을 뵙고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晉陽亂後謁聖(진양란후알성) 진양의 난리 뒤 공자의 영정을 뵙고 廨字丹靑一炬亡(해자단청일거망) 관청의 단청은 횃불 하나에 없어졌는데 頑童尙解護文坊(완동상해호문방) 왜구들이 오히려 문묘는 보호할 줄 알았네 十年海嶠風塵裏(십년해교풍진이) 10년 세월 영남의 풍진 속에서 獨整衣冠謁素王(독정의관알소왕) 홀로 의관을 바로잡고 소왕을 뵙는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及第後遊延安府(급제후유연안부) 급제한후 연안부에서 놀면서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及第後遊延安府(급제후유연안부) 급제한후 연안부에서 놀면서 京國遊人衣錦來(경국유인의금래) 서울로 공부 갔던 사람 금의환향하니 五原風景正佳哉(오원풍경정가재) 연안 땅의 풍경이 이렇게 아름답구나 郡樓三日醒還醉(군루삼일성환취) 고을의 누각에서 사흘 취했다 깨니 隔竹海棠花自開(격죽해당화자개) 대숲 너머 해당화가 절로 피어 있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十七日至海州(십칠일지해주) 열이레날 해주에 이르러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十七日至海州(십칠일지해주) 열이레날 해주에 이르러 雉堞岧嶢四面平(치첩초요사면평) : 성가퀴 높고 사면은 평평한데 ​ 南臨一水入雲長(남림일수입운장) : 남으로 임한 물, 구름에 잠겨 길게 흐른다 ​ 高麗亭館今何在(고려정관금하재) : 고려시대 정관은 지금 어디 있는가 ​ 依舊沙頭夕照明(의구사두석조명) : 예와 같은 백사장에 저녁빛만 밝아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過高郵(과고우)고우를 지나며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過高郵(과고우) 고우를 지나며 ​ 澤國春光政杳茫(택국춘광정묘망) : 물나라 봄빛은 정말 아득하나니 ​ 人家都在水中央(인가도재수중앙) : 사람 사는 집들이 물 속 가운데 있구나 ​ 孤郵城下孤帆過(고우성하고범과) : 외로운 고우성 아래로 외로운 배 지나간다 ​ 汀草靑靑柳半黃(정초청청유반황) : 물가의 풀은 푸르고 버드나무는 반이나 누렇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安州路上望香山(안주노상망향산)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安州路上望香山(안주노상망향산) 안주 길에서 묘향산을 바라보며 雪壓香山白陸離(설압향산백육리) : 눈에 눌린 묘향산은 흰빛이 눈부시고 ​ 波搖日影渡江時(파요일영도강시) : 흔들리는 해 그늘, 강을 건너고 있듯하다 ​ 怱怱馬上吟哦去(총총마상음아거) : 총총히 말에 올라 읊조리며 소리내어 가니 ​ 卽到嘉平就小詩(즉도가평취소시) : 가평에 오는 동안에 작은 시 한 수 지었도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過婆娑府(과파사부)파사부를 지나며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過婆娑府(과파사부)파사부를 지나며 ​ 一帶長江限我疆(일대장강한아강) : 우리 영토의 경계된 한 줄기 긴 강 昔時煙火兩相望(석시연화양상망) : 밥짓는 연기도 서로 보였던 그 옛날 ​ 草埋城畔千畝麥(초매성반천무맥) : 지금은 풀에 묻힌 성 두둑에는 보리밭 천 이랑 ​ 霜落溪南萬樹桑(상락계남만수상) : 그리고 서리 떨어진 남쪽 개울에는 뽕나무 만 그루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渡亐叱浦(도울질포)우질포를 건너며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渡亐叱浦(도울질포)우질포를 건너며 篷窓一夜耿疏燈(봉창일야경소등) : 봉창 의하룻밤, 가물거리는 등불 앞 行計還如物外僧(행계환여물외승) : 행색은 도리어 세상 밖의 중과 같도다 ​ 舴艋爲家何所適(책맹위가하소적) : 배를 집으로 삼으니 어디로 가야 할까 ​ 春江風浪碧層層(춘강풍랑벽층층) : 봄 강에 바람이는 물결 층층이 푸르구나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夜過涵碧樓聞彈琴聲有作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夜過涵碧樓聞彈琴聲有作 야과함벽루문탄금성유작) ​밤에 함벽루를 지나며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짓다 神仙腰佩玉摐摐(신선요패옥창창) : 신선 허리의 패옥 소리 뎅그렁거리는데 ​ 來上高樓掛碧窓(래상고루괘벽창) : 높은 누각에 올라 푸른 창문에 걸어둔다 ​ 入夜更彈流水曲(입야경탄류수곡) : 밤이 되자 다시 유수곡을 타니 一輪明月下秋江(일륜명월하추강) : 수레바퀴같은 밝은 달빛 가을강에 내린다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晉陽亂後謁聖眞(진양란후알성진)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晉陽亂後謁聖眞(진양란후알성진) 진양이 난리 후에 공자님 초상을 알현하다 廨宇丹靑一炬亡(해우단청일거망) : 관청집의 단청은 한 횃불에 탔는데 ​ 頑童尙解護文坊(완동상해호문방) : 무지한 자들이 오히려 문묘를 보호할 줄 알았다 ​ 十年海嶠風塵裏(십년해교풍진리) : 10년의 해변 풍진 속에서 ​ 獨整夜冠謁素王(독정야관알소왕) : 혼자 의관을 바루고 소왕을 뵙노라

雙梅堂 李詹(쌍매당 이첨). 慵 甚 (용 심)게으름이 심하도다

雙梅堂 李詹(쌍매당 이첨). 慵 甚 (용 심)게으름이 심하도다 平生志願已蹉跎(평생지원이차타) : 평생에 뜻하고 워하던 것 이미 다 어긋나고 爭奈慵疏十倍多(쟁내용소십배다) : 게으르고 성기기 열 배나 더하니 어찌하리오 ​ 午寢覺來花影轉(오침교래화영전) : 낮잠을 깨고 나니 꽃 그림자 옮겼가고 ​ 暫携稚子看新荷(잠휴치자간신하) : 잠깐 어린아이 손을 잡고 새로 핀 연꽃을 보노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漂母墓(표모묘)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漂母墓(표모묘) 빨래하는 여인의 무덤 老眼元非識健兒(로안원비식건아) : 늙은 부인의 눈이 건아를 못알아본 것 ​ 千金當日豈爲期(천금당일기위기) : 당일에 후일의 천금을 어찌 기약했으오 ​ 墳前春草年年綠(분전춘초년년록) : 무덤 앞의 봄풀이 해마다 푸른 것은 ​ 料得王孫解報施(료득왕손해보시) : 아마 왕손이 은혜 갚은 것을 알고있는가

雙梅堂 李詹(쌍매당 이첨). 贈彭城監務李君(증팽성감무리군)

雙梅堂 李詹(쌍매당 이첨). 贈彭城監務李君(증팽성감무리군) 팽성 감무 이군에게 주다 ​ 三月彭城布曲啼(삼월팽성포곡제) : 3월의 팽성에 뻐꾸기 우니 ​ 千畦麥浪與雲齊(천휴맥랑여운제) : 천 이랑의 보리밭 물결 구름과 가지런하구나 使君日用非他事(사군일용비타사) : 사군이 날마다 하는 일이 다른 일이 아니고 點檢春畊東復西(점검춘경동부서) : 봄밭갈이 감독함에 동에 갔다 서에 갔다하노라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丁丑重九雷動虹見(정축중구뢰동홍견)

雙梅堂 李詹 (쌍매당 이첨). 丁丑重九雷動虹見(정축중구뢰동홍견) 정축년 중양절에 천둥치고 무지개 보다 重陽佳節苦無懽(중양가절고무환) : 중양절 아름다운 절기에도 괴로워 즐거움 없어 ​ 閑傍黃花過小灣(한방황화과소만) : 한가로이 국화꽃 곁에 두고 작은 물굽이 지난다 雷有殘聲虹未斷(뢰유잔성홍미단) : 천둥 소리 남아있고 무지개도 사라지지 않았는데 ​ 滿江風雨送秋寒(만강풍우송추한) : 강에 가득한 비바람은 가을 추위 보내 주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