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江 鄭澈(송강 정철). 次霞翁韻(차하옹운) 하옹의 운에 차하다
幽人忽起尋春興(유인홀기심춘흥)
幽人이 문득 일어나 봄 흥을 찾나니
川上夕陽經短橋(천상석양경단교)
夕陽이 냇물 위의 짧은 다리를 지나네.
萬壽芳菲烟景暮(만수방비연경모)
온갖 나무와 화초들이 저녁 연기 속에 있느니
野村新酒兩三瓢(야촌신주양삼표)
시골의 갓 익은 술을 두세 잔 마시어라.
- 芳菲: 향기가 나는 화초.
- 烟景: 아지랑이가 낀 경치. 봄 경치.
'33) 송강 정철(1536)'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江 鄭澈(송강 정철). 原韻(원운) 원운을 붙이다 (0) | 2024.11.20 |
---|---|
松江 鄭澈(송강 정철). 李夢賴家看梅(이몽뢰가간매) 몽뢰의 집에서 매화를 보다 (0) | 2024.11.13 |
松江 鄭澈(송강 정철). 燕子樓次韻(연자루차운) 연자루에 차운하다 (1) | 2024.10.23 |
松江 鄭澈(송강 정철). 詩山客館(시산객관) 시산 객관에서 (0) | 2024.10.13 |
松江 鄭澈(송강 정철). 題學祥詩卷(제학산시권) 학산 스님의 시권에 쓰다 (1)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