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명화

안견 몽유도원도

산곡 2022. 10. 5. 07:23

작가 : 안견(安堅)
아호 : 현동자(玄洞子)·주경(朱耕).
제목 :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부분
언제 : 15세기
재료 : 두루마리 비단에 담채
규격 : 38.7 x 106.5cm
소장 : 일본 텐리대학 중앙도서관

해설 : 이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安平大君)이 박팽년(朴彭年)과 함께 도원(桃園)을 몽유(夢遊)한 후 안견에게 꿈에 본 바를 설명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1447년 4월20일에 착수해서 3일만인 23일에 완성을 본 것이다. 이그림은 조선 초기에 이루어진 최고의 걸작이며. 현재까지 남아있는 안견의 유일한 진작(眞作)이다. 이그림에는 안평대군의 발문(跋文)을 비롯하여 신숙주(申叔舟). 이개(李塏). 정인지(鄭麟趾). 박팽년(朴彭年). 서거정(徐居正). 성삼문(成三問) 등 20명의 당대 고사(高士)들의 시(詩)가 각기 자필로 적혀 있어 시. 서. 화의 삼절(三絶)을 이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념비 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몽유도원도는 왼편 하단부의 현실세계로부터 오른편 상단부의 도원으로 얘기가 전개되고 있는 점이 우선 특이하다. 전체의 그림이 몇 무더기의 산군(山群)들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산군들은 서로 떨어져 있는 듯하면서도 하나의 통일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산형(山形)들은 대부분 환상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좌반부는 정면에서 본 듯이. 그리고 우반부는 내려다본 듯이 부감법으로 표현되어 넓은 공간감을 자아내고 있는 점도 괄목할만하다. 또한 산들이 높고 골짜기가 깊으면서도. 이것들이 왼편 하단부로부터 오른편 상단부쪽으로 대각선을 이루며 점점 상승하여 웅장감을 나타내고 있어 안견의 세련된 구성 감각을 엿보게 한다. 이그림의 필묵법(筆墨法)이나 조광(照光)효과의 표현 등에서는 곽희파(郭熙派)의 영향이 감지되지만. 전체적인 구도. 공간의 기술적인 처리. 평원(平遠)과 고원(高遠)의 대조. 사선(斜線)운동을 활용하여 달성한 웅장감. 그리고 환상적인 세계의 교묘한 구현 등에는 안견의 독자적인 재능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고전명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임당 초충도  (0) 2022.11.12
정선 인왕제색도  (0) 2022.11.06
이장손. 최숙창. 서문보 산수화  (0) 2022.10.25
안견 사시팔경도  (0) 2022.10.22
강희안(고사관수도, 산수도)  (0)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