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봉 송익필(1534) 48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詠棲霞寓客(영서하우객)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詠棲霞寓客(영서하우객) 누각 노을 아래 나그네를 읊다 念時生白髮(염시생백발) : 생각할 때마다 흰머리 생겨 ​ 閉戶落寒梅(폐호락한매) : 방문 열어젖히니 매화꽃 떨어진다. ​ 京友斷書札(경우단서찰) : 서울 친구 편지 끊어지고 ​ 山禽惟去來(산금유거래) : 산새만 날아가고 날아오는구나.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主人出不還偶題(주인출불환우제)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主人出不還偶題(주인출불환우제) 주인이 나가 돌아오지 않아 우연히 짓다 寂寂掩空堂(적적엄공당) : 빈 방을 닫으니 적막한데 ​ 悠悠山日下(유유산일하) : 아득히 산의 속 해가 지는구나. 出門又入門(출문우입문) : 문을 나섰다가 또 문에 들어 佇立還成坐(저립환성좌) : 우드커니 섰다가 돌아와 앉아본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赤壁奇巖上一村(적벽기암상일촌)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赤壁奇巖上一村(적벽기암상일촌) 적벽 기암 위의 한 고을 小店倚絶崖(소점의절애) : 작은 집 절벽 위에 붙어있고 ​ 柴門向水開(시문향수개) : 사립문은 물을 향해 열렸구나. ​ 汲泉雲外去(급천운외거) : 샘물 길어 구름 밖으로 가니 ​ 採藥鏡中廻(채약경중회) : 약초 캐어 거울 속으로 돌아온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鳥鳴有感(조명유감)새소리 마음에 닿아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鳥鳴有感(조명유감)새소리 마음에 닿아 足足長鳴鳥(족족장명조) : 언제나 짹짹거리며 우는 새들 ​ 如何長足足(여하장족족) : 어찌하여 항상 즐겁게 지저귀는가. ​ 世人不知足(세인불지족) : 사람들은 만족을 모르니 是以長不足(시이장부족) : 이래서 항상 부족한가 보다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走筆書懷(주필서회)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走筆書懷(주필서회) 붓을 달려 회포를 적다 滿目干戈裏(만목간과리) : 보이는 것이 다 전장이라 偸安一枝棲(투안일지서) : 편안함을 훔쳐 한 가지 둥지에 깃든다. 萍踵無遠近(평종무원근) : 부평초 따라 떠돌아 가깝고 곳 곳 가리지 않아 行伴是夫妻(행반시부처) : 가는 곳 마다 부부가 같이하네. 百結未掩髂(백결미엄가) : 백 번 깁은 누더기 몸도 가리도 못하고 霜風蕭瑟兮(상풍소슬혜) : 서릿바람은 쓸쓸하기만 하구나. 一飯祭不得(일반제불득) : 한 그릇 밥으로 제사를 지내려도 얻지 못하고 臥聞鳥夜啼(와문조야제) : 자리에 누워 새 우는 소리만 듣네. 骨肉斷音書(골육단음서) : 골육들 소식은 끊어지고 生死隔東西(생사격동서) : 생사는 모른 채 동서로 떨어져 있네. 白髮零落盡(백발영락..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獨 坐(독 좌)혼자 앉아서

龜峯 宋翼弼(구봉 송익필). 獨 坐(독 좌)혼자 앉아서 芳草掩閑扉(방초엄한비) : 향기로운 풀 돋아나 싸리문 가리우고 ​ 出花山遲遲(출화산지지) : 꽃 피자 낮도 길어만 가는구나. ​ 柳深烟欲滴(유심연욕적) : 버들 빛은 짙은데 안개는 물방울지려하고 ​ 池靜鷺忘飛(지정로망비) : 못은 고요한데 해오라기는 날기를 잊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