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 기대승(1527) 70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夏景(하경) 여름 풍경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夏景(하경) 여름 풍경 蒲席筠床隨意臥(포석균상수의와) : 부들방석 대나무 침상에 편하게 누우니 虛欞疎箔度微風(허령소박도미풍) : 창과 성긴 발로 미풍이 불어든다 團圓更有生涼手(단원경유생량수) : 둥근 부채질에 다시 서늘해지니 頓覺炎蒸一夜空(돈각염증일야공) : 찌는 듯한 더위 이 밤에는 없어졌구나.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從牧伯飮(종목백음)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從牧伯飮(종목백음) 목백과 함께술을 마시며 風靜天開矢道明(풍정천개시도명) : 바람 자고 맑은 날 활쏘기 시합 하니 傳觴破的善哉爭(전상파적선재쟁) : 술잔을 돌리며 과녁 맞히어 좋은 경쟁이로다. 罰籌已覺蝟毛積(벌주이각위모적) : 벌주가 한도 없이 쌓였음을 알고 定是寒儒浪自驚(정시한유랑자경) : 빈한한 선비가 바로 부질없이 놀래는구나.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偶吟(우음)우연히 읊다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偶吟(우음)우연히 읊다 春到山中亦已遲(춘도산중역이지) : 산중에 봄이 와 벌써 늦봄이라 桃花初落蕨芽肥(도화초락궐아비) : 복숭아꽃 떨어지자 고사리 싹 돋아나네 破鐺煮酒仍孤酌(파당자주잉고작) : 깨진 냄비에 술 데워 혼자서 마시고 醉臥松根無是非(취와송근무시비) : 취하여 소나무 밑에 누우니 시빗거리 하나 없네.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遊七頭草亭(유칠두초정)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遊七頭草亭(유칠두초정) 칠두 초정에서 놀다 溪行盡日寫幽襟(계행진일사유금) : 종일토록 개울 거닐며 마음 속 회포 푸는데 更値華林落晩陰(경치화림락만음) : 다시 화려한 숲에는 저녁 그늘이 깔리는구나. 稿薦石床人自夢(고천석상인자몽) : 돌상에 짚방석에 누우니 저절로 꿈에 들고 遠山疎雨一蟬吟(원산소우일선음) : 먼 산에 잠깐 비 내린 뒤, 매미가 울어댄다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次松川韻(차송천운)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次松川韻(차송천운) 송천의 운을 빌려 最愛桐花照酒杯(최애동화조주배) : 오동나무 꽃이 술잔에 비추는 광경이 가장 좋아 笑談應得鬱懷開(소담응득울회개) : 웃으며 이야기하니 울적하고 답답한 마음 풀만도 하네. 江頭細路渾疑暗(강두세로혼의암) : 강가의 오솔길 모두 어둑하니 策馬猶須信轡回(책마유수신비회) : 말에 채찍질 말고 가는 대로 맡겨 돌아가려네.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讀書(독서) 독서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讀書(독서) 독서 讀書求見古人心(독서구견고인심) : 글 읽을 때는 옛사람의 마음을 보아야 하니 反覆唯應着意深(반복유응착의심) : 반복하며 마음을 깊이 붙여 읽어야 하느니라. 見得心來須體認(견득심래수체인) : 보고 얻음 마음에 들어오면 반드시 체험해야 하며 莫將言語費推尋(막장언어비추심) : 언어만 가지고서 추리하여 찾으려 하지 말라.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江頭(강두) 강나루에서

高峯 奇大升(고봉 기대승). 江頭(강두) 강나루에서 炊煙數家隱(취연수가은) 밥 짓는 연기속에 두서너 숨은 집 斜日半江陰(사일반강음) 지는 해에 강물이 반이나 그늘지네 臥聽鳴桹響(와청명랑향) 누워서 뱃바닥에 깐 널빤지 울리는 소리들리네 悠悠浮海心(유유부해심) 아득히 멀리 바다로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드네

高峰 奇大升(고봉 기대승). 同諸友步月甫山口號(동제우보월보산구호)

高峰 奇大升(고봉 기대승). 同諸友步月甫山口號(동제우보월보산구호) 친구들과 함께 보산에서 달빛을 거닐며 소리치다 涼夜與朋好(량야여붕호) : 서늘한 밤 친구들과 함께 步月江亭上(보월강정상) : 강가 정자에서 달빛을 거닐었네. 夜久風露寒(야구풍로한) : 밤이 깊어지자 바람과 이슬 차가워지니 悠然發深想(유연발심상) : 나도 몰래 깊은 생각에 잠기었네.

高峯-奇大升(기대승). 縱筆(종필) 마음 가는대로 쓰다

高峯-奇大升(기대승). 縱筆(종필) 마음 가는대로 쓰다 淸風動萬松(청풍동만송) : 맑은 바람에 소나무들 물결치고 白雲滿幽谷(백운만유곡) : 흰 구름은 그윽한 골짜기에 가득하구나. 山人獨夜步(산인독야보) : 산에 사는 사람 혼자 밤에 걷노라니 溪水鳴寒玉(계수명한옥) : 개울물은 찬 옥구슬 구르듯이 소리 내며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