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 정몽주(1337) 67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우제(偶題) 우연히 짓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우제(偶題) 우연히 짓다 今日知何日(금일지하일) : 오늘이 무슨 날인고 하니 春風動客衣(춘풍동객의) : 봄바람이 나그네 옷을 날리는구나 人遊千里遠(인유천리원) : 사람은 천 리에 놀아 멀어졌고 雁過故山飛(안과고산비) : 기러기는 고국의 산을 지나 나가는구나 許國寸心苦(허국촌심고) : 나라에 바친 한조각 마음 괴로운데 感時雙淚揮(감시쌍루휘) : 시절을 느끼니 두 줄기 눈물이 흘러내린다 登樓莫回首(등루막회수) : 누에 올라 머리를 돌리지 말라芳 방草正菲菲(방초정비비) : 꽃다운 풀이 한참 우거지고 우거졌도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야객(夜客)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야객(夜客) 客夜人誰問(객야인수문) : 나그네를 밤에 누가 찾으리 沈吟欲二更(침음욕이경) : 조용히 읊조리니 이경이 되려 한다 詩從枕上得(시종침상득) : 시는 베개 위 쫓아 얻고 燈在壁間明(등재벽간명) : 등잔불은 벽 사이에 있어 밝구나 默默思前事(묵묵사전사) : 묵묵히 지난 일을 생각하며 遙遙計去程(요요계거정) : 곰곰이 앞으로 갈길을 헤아려본다 俄然睡一覺(아연수일각) : 깜빡 졸다가 깨어보니 童僕報鷄鳴(동복보계명) : 아이놈이 닭이 운다 아려주는구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사일본(奉使日本)일본에 사신와서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봉사일본(奉使日本) 일본에 사신와서 水國春光動(수국춘광동) : 섬나라에 봄기운 감도는데 天涯客未行(천애객미행) : 하늘 끝 나그네 아직 돌아가지 못 하네 草連千里綠(초련천리록) : 풀은 천 리에 연이어 푸르고 月共兩鄕明(월공양향명) : 달은 두 고을 모두 밝히네 遊說黃金盡(유설황금진) : 사행길에 비용도 다 써고 思歸白髮生(사귀백발생) : 고국 갈 생각에 흰머리만 느네 男兒四方志(남아사방지) : 세상을 다스리려는 나의 큰 뜻이 不獨爲功名(불독위공명) : 다만 공명만을 위함은 아니라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洪武丁巳奉使日本作(홍무정사봉사일본작)홍무 정사년 일본으로 사신 가 짓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洪武丁巳奉使日本作(홍무정사봉사일본작) 홍무 정사년 일본으로 사신 가 짓다 僑居寂寞閱年華(교거적막열년화) : 타향살이 척막한 채로 한 해를 사는데 苒苒窓櫳日影過(염염창롱일영과) : 천천히도 창박의 해는 지나가는구나 每向春風爲客遠(매향춘풍위객원) : 매번 봄바람 불 때 멀리서 나그네 되니 始知豪氣誤人多(시지호기오인다) : 사나이 호기가 사람 일 거르치는 줄 알겠노라 桃紅李白愁中艶(도홍이백수중염) : 근심 중에도 붉은 복사꽃과 흰 배꽃 더욱 요염하고 地下天高醉裏歌(지하천고취리가) : 취한 중에도 낮은 땅과 높은 하늘을 노래하노라 報國無功身已病(보국무공신이병) : 나라 은혜 갚을 공도 없이 몸은 이미 병들어 不如歸去老烟波(불여귀거로연파) : 고국으로 돌아가 자연 속에서 늙어감만 못하리라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贈禮部主事胡璉(증예부주사호연 ) 예부주사호련에게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贈禮部主事胡璉(증예부주사호연 ) 예부주사호련에게 男子平生愛遠遊(남자평생애원유) : 사나이 평생을 멀리 떠다니기 좋아하지 異鄕胡乃歎淹留(이향호내탄엄유) : 어찌 낮선 땅에서 머무는 것 탄식하리오 無人更掃陳蕃榻(무인갱소진번탑) : 진번의 의자 쓸어줄 사람 아무도 없고 有客獨登王粲樓(유객독등왕찬루) : 왕찬의 누대에 올라갈 사람만 있구나 萬戶砧聲明月夜(만호침성명월야) : 달 밝은 밤 집집마다 들리는 다듬질 소리 一竿帆影白鷗洲(일간범영백구주) : 흰 갈매기 나는 모래섬에는 흰 돗 그림자 時來飮酒城南市(시래음주성남시) : 성남에서 때때로 술을 마시나니 豪氣猶能塞九州(호기유능새구주) : 호탕한 기운 여전히 구주를 채울 수 있도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僮陽驛壁畵鷹熊歌用陳敎諭韻-동양역벽화응웅가용진교유운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僮陽驛壁畵鷹熊歌用陳敎諭韻( 동양역벽화응웅가용진교유운) 정몽주(鄭夢周)동양역 벽에 그린 송골매 양태를 진교유의 운을 빌어 노래하다 波濤龍騰凌碧虛(파도용등릉벽허) : 물결은 용 승천하듯 하늘에 사무치고 紅旌渡淮風卷舒(홍정도회풍권서) : 붉은 깃발은 회수 건너 바람에 펄럭인다 人言大將受節鉞(인언대장수절월) : 사람들 말하네, 임금의 임명 받은 대장은 許國不復思全軀(허국불복사전구) : 나라 위해 제 몸 생각 않는 법이라 했다 車騎徐驅臨楚岸(차기서구림초안) : 수레와 말 천천히 몰아 초나라 언덕으로 가고 雷霆已殷齊東隅(뇌정이은제동우) : 천둥은 이미 제동에까지 울리는구나 猛士股栗聽指揮(맹사고률청지휘) : 용맹하던 군사들도 다리 떨며 지휘를 받고 縣尹首縮爭來趨(현윤수축쟁래추) : 고을 원..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문효고(聞曉鼓)새벽 북소리 들으며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문효고(聞曉鼓)새벽 북소리 들으며 更深耿耿抱愁懷(갱심경경포수회) : 깊어지는 밤 더욱 또렷이 수심이 일어 城上俄聞曉鼓催(성상아문효고최) : 성 위에 올라 잠시 새벽 북소리 듣는다 客路半年孤枕上(객로반년고침상) : 반 년 나그네 길에, 외로운 베갯머리 窓欞依舊送明來(창령의구송명래) : 창문은 변함없이 밝은 빛을 보내오누나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발해회고(渤海懷古)발해를 회고하며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발해회고(渤海懷古)발해를 회고하며 唐室勞師定海東(당실노사정해동) : 당나라 군사를 괴롭혀 해동을 평정했으나 大郞隨起作王宮(대랑수기작왕궁) : 대장부 바로 따라 일어나 나라를 세웠도다 請君莫說關邊策(청군막설관변책) : 청컨데, 변방의 정책을 말하지 말라 自古伊誰保始終(자고이수보시종) : 자고로 그 누가 처음과 끝을 보장하리오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강상억주좌참 2(江上憶周左參 2)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강상억주좌참 2(江上憶周左參 2)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黃金臺客鬢靑靑(황금대객빈청청) : 황금대의 나그네 귀밑머리 푸르고 千首詩名海內驚(천수시명해내경) : 천여 수의 시의 명성 나라 안에 가득하다 入掌絲綸應不遠(입장사륜응불원) : 조칙을 지을 날도 반드시 멀지 않으리니 觀光他日話離情(관광타일화리정) : 관광의 다음 날에 이별의 정을 이야기하리라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강상억주좌참 1(江上憶周左參 1)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강상억주좌참 1(江上憶周左參 1)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江上玉人何處遊(강상옥인하처유) : 강 위의 그리운 이 어디서 노니는지 江聲日暮向東流(강성일모향동류) : 저물녘에 강물 소리 동쪽을 향해 흐른다 春風萬里孤舟客(춘풍만리고주객) : 만리 봄바람에 외로운 배 탄 나그네 一夜相思欲白頭(일야상사욕백두) : 밤새도록 생각하니 머리가 희어지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