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점필재 김종직(1431) 92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阻雨留燕岐示林使君(조우류연기시림사군) 비에 막혀 연기에 머물러 있으면서 임 사군에게 보이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阻雨留燕岐示林使君(조우류연기시림사군)비에 막혀 연기에 머물러 있으면서 임 사군에게 보이다 短靴低帽拂征塵(단화저모불정진) : 짧은 신 낮은 모자에 먼지를 털고서尊酒留連且探春(존주류련차탐춘) : 술 마시며 오래 머물러 봄 구경 하노라但使神君能好客(단사신군능호객) : 다만 신군이 나그네를 좋아만 한다면 不妨甘雨便關人(불방감우편관인) : 단비가 사람의 갈길 만류하는 것도 해롭지 않다네丰茸樹杪爭抽葉(봉용수초쟁추엽) : 무성한 나무 끝엔 새 잎 다투어터 나오고嗚咽溪流易蹙鱗(오인계류역축린) : 흐르는 계곡 물은 물고기 비늘을 재촉하네仍憶故鄕寒食近(잉억고향한식근) : 생각하니 고향엔 한식이 가까워河豚上水蕨芽新(하돈상수궐아신) : 복어가 올라오고 고사리 움이 싹터나겠지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和兼善(화겸선) 겸선에게 화답하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和兼善(화겸선)겸선에게 화답하다 蝸角功名未易拚(와각공명미역변) : 와각의 공몀을 다툼을 버리지 못해誰知方寸畜疑團(수지방촌축의단) : 마음 속에 쌓인 의심 그 누가 알겠는가半生已作詩書誤(반생이작시서오) : 반평생을 이미 시서의 그르침 받았는데千里還孤菽水歡(천리환고숙수환) : 천리 밖에서 다시 숙수의 즐거움도 저벼렸네閱世笑狂纓屢絶(열세소광영루절) : 세상살이는 소광의 갓끈이 자주 끊어지고居家計拙酒長乾(거가계졸주장건) : 생계 대책은 어설프고 술동이는 늘 말라있네年來直與寒威慣(년래직여한위관) : 최근에는 곧 혹독한 추위와 익숙해져서却怕焦頭向熱官(각파초두향열관) : 도리어 머리 타버릴까 열관하기 두렵다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祭星壇(제성단) ​제성단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祭星壇(제성단)  ​제성단  竹杖庵邊古樹攢(죽장암변고수찬) : 죽장암 곁에 오래된 소나무 모여있고 石盤猶鎭壽星壇(석반유진수성단) : 반석바위는 아직도 수성단을 누르고 있다 聖神今日輝南極(성신금일휘남극) : 신성한 신은 오늘도 남극을 빛내는데 負海人將指點看(부해인장지점간) : 바다를 진 사람들은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본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聞圓覺寺鐘(문원각사종)​ 원각사의 종소리를 듣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聞圓覺寺鐘(문원각사종)​원각사의 종소리를 듣다​丹碧輝輝覺帝宮(단벽휘휘각제궁) : 휘황한 오색 단청은 천제의 궁전 같은데闍梨朝暮鼓新鍾(도리조모고신종) : 큰 스님이 아침 저녁으로 새 종을 치는구나人天會上聲交應(인천회상성교응) : 사람과 하늘이 모인 자리엔 소리 서로 감응하고獅象鳴時氣自通(사상명시기자통) : 사자와 코끼리 울 때엔 기가 절로 통한다네尺紐每搖頭菌蠢(척뉴매요두균준) : 한 자 크기의 끈은 매번 균준의 머리를 흔드는데寸莛那撼腹蒙鴻(촌정나감복몽홍) : 한 치의 풀줄기가 어찌 큰 배를 움직이는가將玆永鎭千齡運(장자영진천령운) : 이것으로 길이 천 년의 국운을 진압하리니虛鑄金人笑祖龍(허주금인소조룡) : 헛되이 금인을 주조하니 조룡이 우습네그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碓樂(대악) 대악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碓樂(대악) 대악 東家砧舂黍稻(동가침용서도) : 동쪽 마을 곡식 찧는 방아소리西家杵搗寒襖(서가저도한오) : 서쪽 마을 겨울옷 다듬이질 소리東家西家砧杵聲(동가서가침저성) : 동쪽마을 서쪽동네, 방아 찧는 소리, 다듬이질 하는 소리卒歲之資嬴復嬴(졸세지자영부영) : 설 지낼 채비도 풍족하네儂家窖乏甔石(농가교핍담석) : 우리 집 창고의 항아리는 비어있고儂家箱無尺帛(농가상무척백) : 우리 집 옷상자엔 옷감도 없댜네懸鶉衣兮藜羹椀(현순의혜려갱완) : 누더기 옷에 나물국에도榮期之樂足飽煖(영기지락족포난) : 영계기는 음악으로 배부르고 따뜻했네糟妻糟妻莫謾憂(조처조처막만우) : 조강치저들이여 공연히 걱정마오富貴在天那可求(부귀재천나가구) : 부귀는 하늘에 있거늘 어찌 가히 바라리오曲肱而寢..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答國華(답국화) 국화에게 답하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答國華(답국화) 국화에게 답하다 自笑平生適越冠(자소평생적월관) : 평생에 월나라로 간 관같은 처지 우스우니 世情爭得耐孤寒(세정쟁득내고한) : 각박한 세상 인심에 춥고 외로움 어이 견딜까 少時問學和熊膽(소시문학화웅담) : 어릴 적 공부할 때, 웅담 먹으며 넉넉했는데 末路聲名混鼠肝(말로성명혼서간) : 말년의 명성이 보잘 것 없는 것과 섞이었구나 簿諜只能拚畫諾(부첩지능변화낙) : 나는 부첩에 대하여 결재 할 뿐 親朋誰肯報平安(친붕수긍보평안) : 친구들 누가 안부라도 전해주겠나 蒙君珍重金鑾詠(몽군진중금란영) : 그대 한림원서 읊은 진중한 시를 보내주니 觸撥幽懷仔細看(촉발유회자세간) : 그윽한 회포가 촉발되어 자세히 살펴보노라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次濟川亭韻(차제천정운) 제천정운을 따서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次濟川亭韻(차제천정운) 제천정운을 따서 吹花劈柳半江風(취화벽류반강풍) : 강바람 불어 꽃잎을 날리고 버드나무를 헤치고 檣影擔搖背暮鴻(장영담요배모홍) : 저물녘 기러기 나는데 돛대 그림자 돛에 달려 흔들린다 一片鄕心空倚柱(일편향심공의주) : 한 조각 고향 그리는 마음에 허전히 기둥에 기대어서니 白雲飛度酒船中(백운비도주선중) : 배 위의 술자리로 흰 구름 날아 넘는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寶川灘卽事(보천탄즉사) 보천탄에서 있은 일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寶川灘卽事(보천탄즉사) 보천탄에서 있은 일 桃花浪高幾尺許(도화랑고기척허) : 복사꽃 뜬 물결 높이가 그 얼마인가 銀石沒項不知處(은석몰항부지처) : 윗머리 잠긴 은빛 바위 있는 곳 모르겠다. 兩兩顱鶿失舊磯(양양로자실구기) : 짝지은 해오라기 옛 터전을 잃어버려 啣魚却入菰蒲去(함어각입고포거) : 물고기 입에 물고 부들 속으로 가버린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玉金夜吹小笒(옥금야취소금) 밤에 옥금이 소금을 불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玉金夜吹小笒(옥금야취소금) 밤에 옥금이 소금을 불다 嫋嫋聲穿綠暗村(뇨뇨성천록암촌) : 간드러진 소리 녹암의 마을 꿰뚫고 半鉤溪月滿簾痕(반구계월만렴흔) : 계곡에 비친 반달이 주렴에 가득하네 憑君莫弄淸商調(빙군막롱청상조) : 그대에게 부탁하노니 청량한 가을바람 곡조 불지 마소 恐有梅花落故園(공유매화락고원) : 옛 동산에 매화가 떨어질까 두렵다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病中二首 2 (병중이수 2)병중에 지운 시 두 수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病中二首 2 (병중이수 2)병중에 지은 시 2수​ 賃屋囂湫病已生(임옥효추병이생) : 시끄럽고 협착한 셋집에서 병은 이미 생겼는데 ​ 濕薪煙惹淚縱橫(습신연야루종횡) : 젖은 나무에 연기는 피어올라 눈물이 마구 흐른다 ​ 愁霖忽霽泥如海(수림홀제니여해) : 지겨운 장마 갑자기 개니 길은 온통 진흙더미인데 臥聽街頭琢鏡聲(와청가두탁경성) : 누워 듣노니, 거리의 거울 만드는 옥 쪼는 소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