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1587) 83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朗吟溪(낭음계) 낭음계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朗吟溪(낭음계) 낭음계 嗽玉瓊瑤窟(수옥경요굴) 아름다운 옥으로 만들어진 굴속에서 옥을 씻은 물이 玲瓏縈小臺(영롱영소대) 광채가 찬란하게 작은 누대를 휘감고 가네 洞庭飛過客(동정비과객) 동정호 위로 날아 지나갔던 신선 여동빈이 應向此中來(응향차중래) 아마도 이쪽으로 향해서 오리라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石 室(석 실) 석실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石 室(석 실) 석실 容車坡老詩(용거파노시) 동파 소식의 시처럼 수레를 들일 만 하고 칙戶文公記(직호문공기) 문공 주희의 운곡기에 나오는 것처럼 옆으로 문이 나있네 那有六重門(나유육중문) 어찌 여섯 겹의 문이 있을까마는 庭泉臺沼備(정천대소비) 뜰에 샘과 누대와 못을 갖추 었네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琴客遺畵扇題詩 (금객유화선제시 )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琴客遺畵扇題詩 (금객유화선제시) 거문고 연주자가 그림 부채를 주기에 그 위에 시를 쓰다 落日低山外(락일저산외) 지는 해는 산 너머로 뉘엿뉘엿 기울고 斜風吹浪頭(사풍취랑두) 비껴 부는 바람은 물결 위로 스쳐 가네 騎驢何處去(기려하처거) 나귀 타고 어디로 가느냐 하면 正好臥江樓(정호와강루) 눕기에 딱 좋은 강가 누각으로 가네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次韻酬方丈山人(차운수방장산인)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次韻酬方丈山人(차운수방장산인) 차운하여 방장산인 에게 답하다 十年海上人(십년해상인) 십년 동안 바다에서 지내다가 一日塵間客(일일진간객) 오늘 하루 속세의 나그네가 되었네 引領望三神(인령망삼신) 목이 빠져라 삼신산만 바라보는데 彈文何百謫(탄물하백적) 탄핵 하는 글은 어찌하여 백 번이나 나를 책망 하는지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九日思李太守(구일사이태수)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九日思李太守(구일사이태수) 중양절에 태수 이공망을 생각하며 月爲重陽好(월위중양호) 달은 중양절의 좋은 때인때 人無酒一杯(인무주일배) 사람한테는 술 한 잔도 없네 誰如李太守(수여이태수) 누가 이태수처럼 解送白衣來(해송백의래) 흰 옷 입은 사람에게 술 들려 보낼 줄을 알까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次早發韶州韻(차조발소주운)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次早發韶州韻(차조발소주운) 조발소주에 차운하다 踏月辭茅店(답월사모점) 달밤에 거닐며 허름한 주막을 떠나 侵霜渡板橋(침상도판교) 서리 내린 널다리를 마구 건너기보다는 何如北窓睡(하여북창수) 북쪽으로 난 창가에서 자는 것이 좋아서 歸隱不須招(귀은불수초) 부르지 않아도 마침내 돌아와서 숨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