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 송시열(1607) 74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奉呈老峯閔鼎重(봉정로봉민정중) 노봉 미정중 에게 받들어 드리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奉呈老峯閔鼎重(봉정로봉민정중) 노봉 미정중 에게 받들어 드리다 此獨何罪辜(차독하죄고) 이 몸 홀로 무슨 죄를 지었기에 生死旬日間(생사순일간) 열흘 사이에 삶과 죽음이 가라지는가 再拜謝玄夫(재배사현부) 두 번 절하고 저승사자에게 고마운 뜻을 전하니 收悲以歡欣(수비이환흔) 슬픔이 가시고 기뻐하게 되는 구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示金仲和使君 1(시김중화사군 1) 사군 김중화 에게 보여주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示金仲和使君 1(시김중화사군 1) 사군 김중화 에게 보여주다 仲尼甚矣衰(중니심의쇠) 공자께서 몹시 노쇠해지자 不復周公夢(불복주공몽) 다시 꿈에 주공을 뵙지 못했다고 말씀하셨지만 猶將行與藏(유장행여장)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 것을 好與顔淵共(호여안연공) 안연과 함께하기를 좋아 하셨노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仙游洞(선유동) 선유동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仙游洞(선유동) 선유동 巴谷勝於此(파곡승어차) 파곡이 이곳보다 경치가 좋다는데 此評恐未公(차평공미공) 이품평은 공평하지 못해서 걱정이네 幽深兼洒落(유심겸세락) 깊숙하고 그윽하며 상쾌하고 깨끗하기까지 하니 還憶石塘翁(환억석당옹) 도리어 석당에서 살았던 주돈이 를 생각하는구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有源韻(차유원운) 증손자 송유원의 시에 차운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有源韻(차유원운) 증손자 송유원의 시에 차운하다 官名虛帶未排衙(관명허대미배아) 벼슬 이름만 지닌 채 부임하지 않았으니 孤負淸潭倒影花(고부청담도영화) 맑은 못에 거꾸로 비친 꽃 그림자를 저버렸네 兩絶新詩眞箇畵(양절신시진개화) 새로 지은 절구 두수는 참으로 그림 같으니 怳然身對赤城霞(황연신대적성하) 내 몸이 적성산의 노을을 마주하는 듯하구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別洪輔而可相(증별홍보이가상) 보이 홍가상 에게 지어주고 헤어지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別洪輔而可相(증별홍보이가상) 보이 홍가상 에게 지어주고 헤어지다 寒雲埋日色(한운매일색) 겨울 하늘에 뜬 구름이 햇빛을 가렸는데 迢遞送故人(초체송고인) 아득히 멀리 오랜 친구를 보내네 欲贈無餘說(욕증무여설) 해 주고 싶지만 더 할 말 없으니 劬書且敬身(구서차경신) 글 읽기에 힘쓰고 또 몸가짐을 삼가시게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送晦孫(증송회손) 손자 회석에게 지어 주며 보내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送晦孫(증송회손) 손자 회석에게 지어 주며 보내다 白日明孤島(백일명고도) 밝게 빛나는 해가 외딴섬을 밝히고 滄溟遶一身(창명요일신) 넓고 큰 바다가 온몸을 두르고 있네 臨風送爾去(임풍송이거) 바람을 맞으며 너를 떠나 보내니 須愛卷中人(수애권중인) 모름지기 책 속으 옛사람을 사랑하거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別李廈卿撢(증별리하경탐) 하경 이탐에게 지어주고 헤어지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別李廈卿撢(증별리하경탐) 하경 이탐에게 지어주고 헤어지다 黑雲凝欲滴(흑운응욕적) 먹구름 몰려드니 빗방울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江湖雪霜多(강호설상다) 대자연에는 눈서리가 많네 故人來又去(고인래우거) 오랜 친구가 왔다가 또 가니 弊袍寒如何(폐포한여하) 헤어진 옷에 추위를 어찌할까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六月夜 偶聞杜鵑(유월야 우문두견) 6월밤에 우연히 두견이 우는 소리를 들으며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六月夜 偶聞杜鵑(유월야 우문두견) 6월밤에 우연히 두견이 우는 소리를 들으며 松影當牎靜(송영당창정) 소나무 그림자 창과 마주하며 고요한데 鵑聲此夕聞(견성차석문) 두견이 우는소리 이 밤에 들려오네 閩翁何太苦(민옹하태고) 주자는 어찌하여 그렇게 괴로워했던가 衾冷到宵分(금랭도소분) 한밤중이 되었는데도 이불은 차가웠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