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 송시열(1607) 63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奇示有源(기시유원) 증손자 송유원 에게 부쳐 보내어 보이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奇示有源(기시유원) 증손자 송유원 에게 부쳐 보내어 보이다 靜裏耽看大隱屛(정리탐간대은병) 고요한 가운데 대은병 을 즐겨 보는데 其中玉女最亭亭(기중옥녀최정정) 그 가운데 옥녀봉이 가장 우뚝 솟았네 龍潭尺地猶相阻(룡담척지유상조) 좁은 와룡담은 오히려 막혀 있지만 百越仙山況送靑(백월선산황송청) 백월 땅의 신선들이 사는 산에서 하물며 푸른 기운을 보냈음에랴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柳進士濟民挽(유진사제민만) 진사 유제민에 대한 만사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柳進士濟民挽(유진사제민만) 진사 유제민에 대한 만사 人言柳友善爲詩(인언유우선위시) 사람들은 벗 유제민이 시를 잘 짓는다고 했지만 我謂其詩不若人(아위기시불야인) 나는 그의 시가 사람됨만 못하다고 생각하네 今日人詩皆不見(금일인시개불견) 오늘 사람과 시 모두 볼 수 없으니 白頭空有淚沾巾(백두공유루첨건) 머리가 허옇게 세었는데 부질없이 눈물이 수건을 적시는 구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無 題 (무 제) 제목없이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無 題 (무 제) 제목없이 淨安蕭寺靈芝日(정안소사령지일) 정안소사에 영지가 자라던 날 談笑相看意自如(담소상간의자여) 웃고 즐기면서 이야기하며 서로 바라보니 뜻이 태연자약 하였네 及到芹宮腰膂處(급도근궁요려처) 문묘에 공자의 초상이 허리가 잘려 나뒹구니 泣麟餘淚謾沾裾(읍린여루만첨거) 그 옛날 기린이 잡혔을 때 흘리다 남은 눈물이 부질없이 옷자락을 적시는구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春日憶先壟(춘일억선롱) 봄날 조상의 무덤을 생각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春日憶先壟(춘일억선롱) 봄날 조상의 무덤을 생각하다 漢拏山下號瀛洲(한라산하호영주) 한라산 아래를 영주라 이름하니 山上猶看丈雪留(산상유간장설유) 산위에는 여전히 눈이 한 길이나 쌓여 있겠지 緬憶橋山花爛熳(면억교산화란만)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하니 교산에는 꽃이 활짝 피어 應隨油粉瀳雙丘응수유분천쌍구) 마땅히 화전을 지져 부모님 산소에 올렸었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漫 吟 2(만 음) 생각나는 대로 읊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漫 吟 (만 음) 생각나는 대로 읊다 眞儒黜享賢臣死(진유출향연신사) 참된 선비는 출향되고 어진 신하는 죽으니 不怨時人只怨天(물원시인지원천) 당시 사람들은 원망하지 않고 다만 하늘만 원망하네 生出晦翁如有意(생출회옹여유의) 하는ㄹ이 주자를 낳은 뜻이 있을텐데 却令逢著慶元年(각령봉저경원년) 도리어 도학자들이 쫓겨나는 경원의 해를 만나게 했구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憶致道(억치도)치도 권상하를 생각하며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憶致道(억치도) 치도 권상하를 생각하며 相離涉夏意何如(상리섭하의하여) 서로 헤어진 뒤에 여름이 지났는데 마음이 어떠하신가 猥說年前德不孤(외설년전덕불고) 몇 해 전에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다고 외람되게 말했었지 萬里滄溟消息斷(만리창명소식단) 아득히 넓고 큰 바다를 사이에 두고 소식이 끊어졌으니 連床能憶舊時無(연상능억구시무) 책상 마주했던 지난날을 기억이나 하시려는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義善(증의선) 의선에게 지어주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義善(증의선) 의선에게 지어주다 彦陽城外傳書信(언양성외전서신) 언양성 밖에서 서신을 전하고 長道箯輿賴爾扶(장도편여뢰이부) 먼 길 가마타고 갈 때 너의 도움이 컸구나 此日相從難可忘(차일상종난가망) 이날 서로 따르며 친하게 지냈던 일 잊기 어려우니 他年能憶我儂無(타년능억아농무) 홋날 나를 기억할수 있을지 모르겠구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제 8 영 : 澄心石(징심석)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8 영 : 澄心石(징심석) 潭邊有老石(담변유노석) 못가에 오래된 바위가 있으니 倒影碧波淸(도영벽파청) 맑고 푸른 물결에 그림자가 거꾸로 비치네 閒吟宴坐久(한음연좌구) 한가롭게 읊으며 오래도록 조용히 앉아 있으니 還與此心明(환여차심명) 이 마음도 더불어 맑아지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7 영 : 天雲臺(천운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7 영 : 天雲臺(천운대) 半畝方塘上(반무방당상) 작고 네모진 연못가에 何人小作臺(하인소작대) 누가 조그마한 누대를 지었나 天雲涵活水(천운함활수) 하늘과 구름이 흐르는 물에 잠겼으니 還自武夷來(환자무이래) 무이산 에서 돌아 왔구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6 영 : 弄丸窩(농환와) 乾坤起姤復(건곤기구복) 건괘와 곤괘가 구괘와 복괘에서 비롯하니 其體自圓成(기체자원성) 그 본체가 저절로 둥글게 이루어지네 含方理更妙(함방리경묘) 네모를 품은 이치가 더욱 오묘하니 弄此了平生(롱차료평생) 이를 실없이 놀리며 한평생 마치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5 영 : 浴沂壇(욕기단)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5 영 : 浴沂壇(욕기단) 點也是狂者(점야시광자) 증점은 무릇 광자이니 如何堯舜同(여하요순동) 어찌 요임금 순임금과 같겠는가 心中如有累(심중여유루) 마음속에 괴로움이 있으면 慙愧舞雩風(참괴무우풍) 무에 불어오는 바람에 매우 부끄러워하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4 영 : 太極亭(태극정)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4 영 : 太極亭(태극정) 有物先陰陽(유물선음양) 태극은 음양보다 앞서지만 却在陰陽裏(각재음양이) 도리어 음양 속에 있네 更把溓翁無(갱파염옹무) 다시 염계 주돈이의 무극으로 要提黑腰耳(요제흑요이) 반드시 육구연의 하찮은 논리를 이끌어야 하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3 영 : 涵一堂(함일당)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3 영 : 涵一堂(함일당) 本體自虛明(본체자허명) 본체는 본디 텅 빈 것이라 應時還易失(응시환역실) 때에따를 때 도리어 잃기 쉽네 惟將寸膠而(유장촌교이) 오직 작은 재주를 지니고도 動靜皆於一(동정개어일) 움직이고 멈춤에 모두 한결같아야 하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 2(영지동팔영 2)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 2(영지동팔영 2)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2 영 : 靜觀齋(정관재) 皇王帝覇事(황왕제폐사) 황제의 왕도왕 패도의 일과 天地鬼神情(천지귀시정) 천지와 귀신의 실상을 深源專靜後(심원전정후) 마음이 오로지 잠잠해진 뒤에 觀盡有餘明(관진유여명) 모두 살펴보면 밝고도 남음이 있으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靈芝洞八詠(영지동팔영) 영지동주변의 여덟가지를 읊다 제 1 영 : 靈芝洞(영지동) 一歲何三秀(일세하삼수) 한 해에 어찌하여 세 번이나 꽃이 피는가 篔簹有苦吟(절당유고음) 운당포에서 괴로워하며 읊었었네 晦翁珍重意(회옹진중의) 주자의 진중한 뜻 深感暮年心(심감모년심) 늘그막의 마음을 깊이 느끼노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耽羅謫所(탐라적소)제주도의 귀양지에서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耽羅謫所(탐라적소) 제주도의 귀양지에서 弟兄孫子姪(제형손자질) 아우와 형 손자와 아들 조카가 天外喜同堂(천외희동당) 아득히 먼 곳에서 함께 지내니 기쁘기만 하네 自首何丘首(자수하구수) 허옇게 센 머리로 어찌 고향을 생각하랴 他鄕似故鄕(타향사고향) 낯선 타향이 고향 같기만 하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朴生世振母尹氏挽(박생세진모윤씨만) 선비 박세진 어머니 윤씨에 대한 만사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朴生世振母尹氏挽(박생세진모윤씨만) 선비 박세진 어머니 윤씨에 대한 만사 孺人有士行(유인유사행) 대부인 의 선비와도 같은 행실 曾因敎子知(증인교자지) 일찍이 자식을 가르치는 데서 알았네 女史今誰作(여사금수작) 여사의 행적을 이제 누가 짓겠소 空成薤露詞(공성해로사) 부질없이 이 만사을 쓰오이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送晦孫(송회손) 손자 회석을 보내며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送晦孫(송회손) 손자 회석을 보내며 氣度送歸客(기도송귀객) 몇 번이나 돌아가는 손님을 배웅했지만 送爾愁更多(송이수경다) 너를 보내면서 시름이 더욱 많아지는 구나 從今栫棘裏(종금천극리) 이제부터 가시울타리 속에서 孤坐意如何(고좌의여하) 혼자 외로이 앉아 잇는 마음 어떠할까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漫 吟(만 음)생각나는 대로 읊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漫 吟(만 음) 생각나는 대로 읊다 雪遇泥還染(설우니환염) 눈은 진흙에 떨어지면 도리어 더러워지는데 松迎霜益靑(송여상익청) 소나무는 서리를 맞아 더욱 푸르네 人情有兩樣(인정유량양) 사람의 마음에도 두 모습이 있으니 玆事孰稱停(자사숙친정) 이 일을 누가 매우 공정하게 처리할까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德源謫舍感吟(덕원적사감음) 덕원의 귀양 가서 사는 집에서 느낌이 있어 읊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德源謫舍感吟(덕원적사감음) 덕원의 귀양 가서 사는 집에서 느낌이 있어 읊다 蔀屋長深坐(부옥장심좌) 초가집에 늘 오랫동안 앉아 있으니 今春未見花(금춘미견화) 올봄 아직 꽃을 보지 못했네 空聞鵑夜哭(공문견야곡) 부질없이 두견새가 밤에 우는 소리 들으며 不得夢還家(부득몽환가) 집으로 돌아가는 꿈 이루지 몼하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移栽洪元九菊叢(이재홍원구국총)홍원구의 국화 떨기를 옮겨 심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移栽洪元九菊叢(이재홍원구국총) 홍원구의 국화 떨기를 옮겨 심다 故人東籬菊(고인동리국) 오랜 친구가 심어 놓았던 동쪽 울타리 밑의 국화 移來倚石墻(이래의석장) 옮겨 와 돌담 옆에 심었네 竚待村醪熟(저대촌요숙) 시골에서 만든 막걸리 익기를 기다렸다가 秋英泛滿觴(추영범만상) 가을 꽃잎을 술잔에 가득 띄우리라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申伯固永植送梅一樹 詩以謝之(신백고영식송매일수 시이사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申伯固永植送梅一樹 詩以謝之 (신백고영식송매일수 시이사지) 백고 신영식이 매화 한 그루를 보내와 시를지어 고마운 뜻을 전하다 壽樂堂前樹(수락당전수) 수락당 앞의 나무를 移來白石灘(이래백석탄) 백석탕으로 옮겨 왔네 山中氷雪早(산중빙설조) 산속에서 얼음과 눈의 모습으로 일찍 피니 淸影不勝寒(청영불승한) 맑은 그림자가 무척이나 차갑게 느껴지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閒靜堂韻(차한정당운) 한정당에 쓰여 있는 시에 차운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閒靜堂韻(차한정당운) 한정당에 쓰여 있는 시에 차운하다 坐見白雲閒(좌견백운한) 앉아서 한가롭게 떠가는 흰 구름 쳐다고보 俯看淸波靜(부간청파정) 고개 숙여 조용히 흘러가느 맑은 물결 바라보네 名堂又求詩(명당우구시) 그렇게 집 이름을 짓고 또 시를 구하니 主翁無閒靜(주옹무한정) 늙은 주인은 한가롭고 조용할 틈이 없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風月亭韻(차풍월정운) 풍월정에 쓰여 있는 시에 차운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風月亭韻(차풍월정운) 풍월정에 쓰여 있는 시에 차운하다 風淸月亦淸(풍청월역청) 바람 부드럽고 맑으니 달 또한 밝고 月白風不白(월백풍불백) 달빛은 흰데 바람을 희지 안하네 二者同不同(이자동부동) 이 두 가지가 같은지 서로 같지 않은지 請問亭裏客(청문정래객) 정자에 머물러 있는 나그네에게 묻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送酒季弟秀甫時杰(송주계제수보시걸) 막내아우 수보 송시걸에게 술을 보내며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送酒季弟秀甫時杰(송주계제수보시걸) 막내아우 수보 송시걸에게 술을 보내며 遙知洛城雪(요지락성설) 멀리서도 알겠네 서울에 눈 내리니 飢鼠齧空簞(기서설공단) 굶주린 쥐가 텅빈 소쿠리 갉아먹는 것을 聊將一尊酒(료장일존주) 애오라지 한 통 술이나마 寄向臥袁安(기향와원안) 누워 있는 원안 에게 보내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寄李汝壽河岳(기리여수하악) 여수 이하악 에게 부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寄李汝壽河岳(기리여수하악) 여수 이하악 에게 부치다 廖落荒城外(료락황성외) 쓸쓸하고 황폐한 성 밖에서 相逢此白眉(상봉차백미)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이 사람을 서로 만났네 從來孤勁操(종래고경조) 기금까지 외로웠던 굳센 지조 不得歲寒知(부득세한지)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를 굳이 기다리지 않아도 알겠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書贈無量村人(서증무량촌인) 무량촌 사람에게 써서 주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書贈無量村人(서증무량촌인) 무량촌 사람에게 써서 주다 流水桃花在(유수도화재) 흐르는 물에 복숭아꽃 떠 내려가고 桑麻雨露多(상마우로다) 뽕나무밭과 삼밭에 비와 이슬 많이 내리네 俗傳無量號(속전무량호) 무량이라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마을 이름 知是武陵訛(지시무릉와) 무릉도원이 잘못 전해진 것이 아닌가 하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赴 京 (부 경) 한양으로 가면서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赴 京 (부 경) 한양으로 가면서 綠水喧如怒(노수휘여로) 푸른 물 시끄럽게 흘러가는 소리 성내는 것 같고 靑山默似嚬(청산묵사빈) 푸른 산 말없이 잠잠하니 짜증 난 것 같에 靜觀山水意(정관산수의) 조용히 산고 물의 뜻을 살펴보니 嫌我向風塵(혐아향풍진) 편안하지 못하고 어지러운 세상으로 나아가는 나를 싫어하는 모양이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華陽洞巖上精舍吟(화양동암상정사음)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華陽洞巖上精舍吟(화양동암상정사음) 화양동 바위 위의 정사에서 읊다 溪邊石崖闢(계변석애벽) 시냇가 바위로 된 벼랑이 열렸으니 作室於其間(작실어기간) 그 사이에 집을 지었네 靜坐尋經訓(정좌심경훈) 마음을 가리앉히고 몸을 바르게 하여 조용히 앉아 경서 의 뜻풀이를 찾아서 分寸欲躋攀(분촌용제반) 짧은 시간이라도 높은 곳을 더위잡아 오르려고 애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