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련거사 이백(701) 87

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聞王昌齡左遷龍標尉遙有此奇(문왕창령좌천룡표위요유차기)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聞王昌齡左遷龍標尉遙有此奇 (문왕창령좌천룡표위요유차기) 왕창령이 용표로 좌천되었다는 말을 듣고 멀리서 이시를 지어 보내다 楊花落盡子規啼(양화낙진자규제) : 버들꽃 다 지고 자규가 우네 聞道龍標過五溪(문도룡표과오계) : 용표가 오계를 지나갔다는 소식 들었다네 我寄愁心與明月(아기수심여명월) : 근심스런 내 마음 저 밝은 달에게 부치노니 隨風直到夜郎西(수풍직도야낭서) : 바람 따라 곧장 야랑의 서쪽에 가겠네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立 冬(입 동) 입동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立 冬(입 동) 입동 凍筆新詩懶寫(동필신시라사) 얼어붙은 붓 갓 지은 시 써내려 감이 더디고 寒爐美酒時溫(한로미주시온) 찬 화롯불 좋은 술에 시절이 따사롭다. 醉看墨花月白(취간묵화월백) 술 취한 눈으로 내다보니 하늘은 검고 달빛 밝아, 恍疑雪滿前村(황의설만전촌) 마치 흰 눈 내린 듯 마을 앞 가득하다.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客中行(객중행) 객지를 가다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客中行(객중행) 객지를 가다 蘭陵美酒鬱金香(난릉미주울금향) 난릉의 미주는 울금 향기가 나고 玉碗盛來琥珀光(옥완성래호박광) 옥 술잔에 가득 부으면 호박빛이 이네 但使主人能醉客(단사주인능취객) 주인은 손님을 취하게 하면 그만이지만 不知何處是他鄉(부지하처시타향) 나그네는 어디가 타향인지 알 수 없네 ​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秋浦歌 11(추포가 11) 추포가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秋浦歌 11(추포가 11) 추포가 邏人橫鳥道(라인횡조도) : 나인에는 새 날아다니는 높은 길 비껴있고 江祖出魚梁(강조출어량) : 강조에는 물고기 통발 솟아있구나 水急客舟疾(수급객주질) : 물살이 빨라 나그네 배는 빠르고 山花拂面香(산화불면향) : 산의 꽃들 얼굴을 스치니 향기로워라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秋浦歌 10(추포가 10) 추포가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秋浦歌 10(추포가 10) 추포가 千千石楠樹(천천석남수) : 천 그루, 또 천 그루, 많고 많은 석남수요 萬萬女貞林(만만녀정림) : 만 그루, 또 만 그루, 많고 많은 여정림이라 山山白鷺滿(산산백로만) : 산마다 백로가 가득 날고 澗澗白猿吟(간간백원음) : 골짜기마다 흰 원숭이 우는구나 君莫向秋浦(군막향추포) : 그대는 추포로 오지 말아요 猿聲碎客心(원성쇄객심) : 원숭이 울음소리에 나그네 마음 부서진다오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秋浦歌 7(추포가 7) 추포가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秋浦歌 7(추포가 7) 추포가 醉上山公馬(취상산공마) : 술 취하면 모자 거꾸로 쓰고 말을 달린 진나라 관리 산간처럼 말에 오르고 寒歌甯戚牛(한가녕척우) : 날이 차면 노래하나로 제나라 대신 된 영적의 “반우가”를 노래했었다 空吟白石爛(공음백석란) : 헛되이 “백석란‘을 소리 내어 불러볼 뿐 淚滿黑貂裘(루만흑초구) : 눈물만 나의 검은 돈피가죽옷에 가득 떨어지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