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삼의당김씨(여) 1769) 100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見陌上採桑女吟(견맥상채산여음)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見陌上採桑女吟(견맥상채산여음) 로상 에서 뽕나무 여인을 보고 읊다 採桑城南陌(채상성남맥) 성남의 길가에서 뽕을 따는데 纖纖映素手(섬섬영소수) 곱디고운 흰 손 소매 끝에 살짝 나왔네 少年飜驚目(소년번경목) 소년의 흠칫 놀란 눈 相看住故久(상간주고구) 부러 오래 머뭇거리네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春景8수(춘경8수) 봄을보내며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春景8수(춘경8수) 봄을보내며 [1수] 思君夜不寐(사군야불매) 님 그리워 잠들 길 없는 밤 爲誰對明鏡(위수대명경) 누굴 위해 아침 거울을 보나 小園桃李發(소원도리발) 동산엔 울긋불긋 갖가지 꽃들 又送一年景(우송일년경) 또 그냥 한해 봄을 보낸다 [2수] 深院春將晩(심원춘장만) 깊은 정원 봄은 저물어 가고 人閒睡意矇(인한수의몽) 사람들은 잠에 취해 몽롱하구나 綺窓花影裏(기창화영리) 비단 창 밖 꽃 그림자 일렁이고 一枕鳥聲中(일침조성중) 새소리만 베개 머리에 들려오누나 三宜堂 金氏. 春景(춘경) 봄을보내며 [3수] 睡起搴珠箔(수기건주박) 아침에 일어나서 주렴을 걷으니 當簷燕子斜(당첨연자사) 처마 밑에 제비가 비스듬히 앉아있구나 東園花幾許(동원화기허) 동산엔 꽃들은 얼마나 피었을까..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牧笛 3수(목적 3수) 목동의 피리소리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牧笛 3수(목적 3수) 목동의 피리소리 [1수] 牧笛村村去(목적촌촌거) 동리마다 목적이 하늘에 차고 樵歌谷谷來(초가곡곡래) 골짝마다 초가가 가득 울어나 夕陽無限興(석양무한흥) 한때의 저녁 흥이 하도 좋길래 窓外暫徘徊(창외잠배회) 뜰 위를 오락가락 거닐이노라 [2수] 東風何處笛(동풍하처적) 저녁의 실바람을 고요히 타고 一曲夕陽中(일곡석양중) 어디로서 젓소리 비껴 오는고 春日多芳草(춘일다방초) 봄철이라 풀 자라 알 길은 없고 前溪有牧童(전계유목동) 앞 냇가를 목동이 거니는고야 [3수] 山頭月欲沒(산두월욕몰) 서산이라 봉 위에 해가 저물어 烟樹遠依依(연수원의의) 나무는 가지마다 희미한 것을 一聲何處笛(일성하처적) 어디로서 젓소리 들려 오는고 知有牧童歸(지유목동귀) 아마도 머슴아이 ..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秋夜雨 2수(추야우 2수)가을밤비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秋夜雨 2수(추야우 2수)가을밤비 [1수] 天涯芳身隔(천애방신격) 가신님 소식 없고 寂寂掩深戶(적적엄심호) 사립문 쓸쓸히 닫혀있네 永夜鳴梧葉(영야명오엽) 기나긴 밤 오동잎 우는 소리 簷端有疏雨(첨단유소우) 처마 끝 성긴 빗소리 [2수] 簷端疏雨響(첨단소우향) 처마 끝 성긴 빗소리 永夜隔窓鳴(영야격창명) 기나긴 밤 창너머 우네 一枕金甁裏(일침금병리) 규방에 홀로 누우니 寒燈夢不成(한등몽불성) 차디찬 등불 잠 못 이루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