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읍취헌 박은(1479) 59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容齋對菊與擇之同賦 1(용재대국여택지동부 1)용제가 국화를 마주하고 택지와 같이 짓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容齋對菊與擇之同賦 1(용재대국여택지동부 1) 용제가 국화를 마주하고 택지와 같이 짓다 ​​ 秋熟容齋酒(추숙용재주) : 가을은 용재의 술 익혀주고 霜留黃菊香(상유황국향) : 서리는 국화향기 남겨주었구나 來成爛熳醉(래성란만취) : 여기 와서 거나하게 취해서 浪詠寂寥章(랑영적요장) : 마음대로 적료장를 읊어본다 此興可能久(차흥가능구) : 이 흥취 오래 가질 수 있다면 餘生那更傷(여생나경상) : 남은 내 생애 어찌 다시 슬퍼하랴 南山倦歸鳥(남산권귀조) : 남산엔 둥지로 돌아오는 새들 落日點微茫(낙일점미망) : 석양속에 아득히 날아드는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邀士華擇之同賦(요사화택지동부) 사화와 택지를 맞아 같이 시를 짓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邀士華擇之同賦(요사화택지동부) 사화와 택지를 맞아 같이 시를 짓다 ​​ 詩酒輒來往(시주첩래왕) : 시와 술로 서로 오가며 盃盤供鮭菜(배반공해채) : 술상엔 고기와 야채 가득 學問見新功(학문견신공) : 학문에 새 공력얻어 稂莠資手刈(랑유자수예) : 묵은 잡초 베어 냈다네 邂逅四海交(해후사해교) : 우연히 사해의 벗 만나 照瞻兩無碍(조첨양무애) : 속마음 다 털어 놓았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今日竟夕獨臥(금일경석독와)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今日竟夕獨臥(금일경석독와) 오늘 저녁 내내 홀로 누웠노라니 平生懷抱秪須酒(평생회포지수주) 평생의 회포를 술에 의지해 풀었는데 今日還無婦可謀(금일환무부가모) 오늘은 술을 내오게 할 아내가 없구나 偶對一盃那忍倒(우대일배나인도) 우연히 술잔을 대하니 어이 차마 마시랴 莫言此物爲忘憂(막언차물위망우) 이것이 망우물 이라고 말하지 말라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二烏几遺容齋(이오궤유용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二烏几遺容齋(이오궤유용재) 烏几(오궤)를 용재에게 보내며 容齋寥落無長物(용재요락무장물) 용재 집 살림살이 휑하니 텅 비어 있고 唯有平生萬卷書(유유평생만권서) 있는 거라곤 오직 만권의 책 뿐 獨倚烏皮對賢聖(독의오피대현성) 오궤에 홀로 의지하여 책속의 성현을 대하니 晩風晴日鳥聲餘(만풍청일조성여) 저물녘 바람 갠 날 새소리 난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連夜失良월(연야실양월)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連夜失良월(연야실양월) 연일 밤에 좋은 달을 놓쳤으니 아싑구려 尊酒漫孤前夜月(존주만고전야월) 노랗게 핀 달님 보며 못한 한잔 못내 아쉬워 柴門空返故人書(시문공반고인서) 시립문 엔 벗님네의 서찰만 속절없이 돌아왔네 北窓獨掃淸風榻(북창독소청풍탑) 청풍 부는 북창에서 홀로 침상 치우고 黃鳥三聲午寢餘(황조삼성오침여) 꾀꼬리 소리 들으며 낮잠이나 잘 밖에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次虛庵書贈韻(차허암서증운)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次虛庵書贈韻(차허암서증운) 허암이 써준 시에 차운하다 故國迢迢隔萬山(고국초초격만산) 도성은 아스라이 만 겹의 산에 막혀있고 荒村寂寞客氈寒(황촌적막객전한) 황량한 촌락 적막하여 객의 담요 썰렁하구나 風霜湖海長年別(풍상호해장년별) 풍상이 비치는 화해에서 오랜 세월 이별했고 夜雨尊前一日歡(야우존전일일환) 밤비 내릴 제 한잔하며 즐거이 하루를 보냈지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士華前枉翠軒(사화전왕취헌)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士華前枉翠軒(사화전왕취헌) 사화 남건이 왕림하여 굴평과 안견, 박팽년의 시를 읽고 시 한구절을 보내지 않았지만... 此心無處與深論(차심무처여심론) 이 마음을 깊이 얘기할 곳이 없으니 知我濠梁獨有君(지아호량독유군) 내 마음 알아줄 이 그대뿐이로다 談罷歸來乘小雨(담파귀래승소우) 이바구 끝내고 가랑비 속에 돌아오니 翠軒牢落一鐪熏(취헌뇌락일로훈) 쓸쓸한 집엔 꺼져가는 화로뿐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寄擇之(기택지) 택지에게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寄擇之(기택지) 택지에게 ​​ 葉盡園林掛老槎(엽진원림괘로사) : 나뭇잎 다 진 동산에 뗏목이 늘려있고 吾軒從此得山多(오헌종차득산다) : 내 집은 여기서부터 산이 많이 보인다. ​ 悄無車馬紛紛過(초무거마분분과) : 말과 수레 소란스레 지나감이 거의 없어 ​ 還有詩功日日加(환유시공일일가) : 오히려 시 공부는 나날이 진보하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記 語 (기 어) 말 부쳐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記 語 (기 어) 말 부쳐 勸農長下十行書(권농장하십행서) : 농사일 권함에 십 행서 내리시고 ​ 禮士頻催駟馬車(예사빈최사마거) : 선비 예우하여 자주 수레도 재촉하신다 ​ 制作百年宵旰外(제작백년소간외) : 백년의 업적 밤낮으로 이룩하시고 ​ 梯航千里笑談餘(제항천리소담여) : 먼 나라에서 오신 사신 담소로 맞이하신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依原韻奉敍鄙懷(의원운봉서비회)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依原韻奉敍鄙懷(의원운봉서비회) 의원운봉서비회 ​​ 夢中詩畵元非幻(몽중시화원비환) : 꿈속의 시와 그림 환상이 아니니 世外江山思獨依(세외강산사독의) : 세상 밖 강산 그리는 마음 홀로 의연하구나 紅蓼無心能喚我(홍료무심능환아) : 붉은 여뀌 무심히 나를 불러 세우고 ​ 白鷗有約肯相揮(백구유약긍상휘) : 백구도 약속이나 한 듯이 기꺼이 마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