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陵 杜甫(소릉 두보). 秋野五首 (추야오수 )가을 들판
[ 제 1 수 ]
秋野日荒蕪(추야일황무) :
가을 들판 날마다 거칠어지고
寒江動碧虛(한강동벽허) :
차가운 강에는 푸른 하늘이 출정이네
繫舟蠻井絡(계주만정락) :
오랑캐 땅 구석에 배 매어놓고
卜宅楚村墟(복댁초촌허) :
초나라 시골에다 집마련하였네
棗熟從人打(조숙종인타) :
대추가 익음에 사람들 따라 털고
蔡荒欲自鋤(채황욕자서) :
거칠어진 아웃밭을 호미질하려네
盤飱老夫食(반손로부식) :
소반에 차려진 늙은이 밥
分減及溪魚(분감급계어) :
조금 들어서 개울의 물고기에게 준다
[ 제 2 수 ]
易識浮生理(역식부생리) :
덧없는 삶의 이치 알기는 쉬워도
難敎一物違(난교일물위) :
한 가지 사물에게도 어긋나게 하기는 어려워라
水深魚極樂(수심어극락) :
물이 깊으니 물고기 즐거워하고
林茂鳥知歸(림무조지귀) :
숲이 무성하니 새는 돌아갈 줄을 아는구나
吾老甘貧病(오로감빈병) :
이 몸이 늙어 가난과 병을 무던히 여기나니
榮華有是非(영화유시비) :
영화에는 시비가 따른다네
秋風吹几杖(추풍취궤장) :
가을바람 기댄 안석과 짚은 지팡이에 불어오니
不厭北山薇(불염북산미) :
북산의 고사리를 싫어하지 않는다네
[ 제 3 수 ]
禮樂攻吾短(례악공오단) :
예법와 음악으로 나의 단점을 다스리고
山林引興長(산림인흥장) :
산림에 살면서 흥을 돋우며 오래고 있도다
掉頭紗帽側(도두사모측) :
책 읽으며 머리 흔드니 사모가 기울고
曝背竹書光(폭배죽서광) :
등 뒤에 햇볕 비치니 책이 훤히 밝구나
風落收松子(풍락수송자) :
바람에 떨어지니 솔방을 줍고
天寒割蜜房(천한할밀방) :
날씨가 차가워 꿀통을 따고있네
稀疎小紅翠(희소소홍취) :
드물고 성글어진 작은 붉고 푸른 꽃
駐屐近微香(주극근미향) :
발길을 멈추고 옅은 향기를 맡는다
[ 제 4 수 ]
遠岸秋沙白(원안추사백) :
먼 언덕배기는 가을 모래 희고
連山晩照紅(련산만조홍) :
잇달은 산에는 저녁 햇빛 붉도다
潛鱗輸駭浪(잠린수해랑) :
잠긴 물고기 놀란 물결 타고
歸翼會高風(귀익회고풍) :
둥지 찾는 새의 날개 높은 바람 모은다
砧響家家發(침향가가발) :
다듬이질 소리 집집마다 들리고
樵聲箇箇同(초성개개동) :
나무꾼 노래소리 모두가 같구나
飛霜任靑女(비상임청녀) :
날리는 서리는 가을의 여신의 뜻에 맞기고
賜被隔南宮(사피격남궁) :
내려진 이불은 남구와는 떨어져있네
[ 제 5 수 ]
身許騏驎畵(신허기린화) :
기린각에 화상 그려질 공신이 되기를 바란 이 몸인데
年衰鴛鷺群(년쇠원로군) :
늙어서야 낭관의 무리에 들었도다
大江秋易盛(대강추이성) :
큰 강은 가을이라 물결 크게 일기 쉽고
空峽夜多聞(공협야다문) :
빈 골짝 밤이 되니 온갖 소리 다 들린다
逕隱千重石(경은천중석) :
천겹 바위에 길은 가려지고
帆留一片雲(범류일편운) :
돛 아래로 한조각 구름이 머무는구나
兒童解蠻語(아동해만어) :
아이들은 오랑캐 땅 사투리 다 익히니
不必作參軍(불필작참군) :
반드시 참군이 된 학릉처럼 될 필요는 없으리라
'서체별 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柳先生 陶淵明(오류선생 도연명). 歸 鳥 4수 (귀 조 4수 ) 돌아온 새 (0) | 2024.06.28 |
---|---|
退溪 李滉[퇴계 이황]. 湖南卞成溫秀才 5절[호남변성온수재5절] (0) | 2024.06.27 |
왕유(王維). 扶南曲歌詞五首 (부남곡가사오수) 부남곡가사 (0) | 2024.06.27 |
서체별 반야심경 (0) | 2024.06.24 |
農齋 李翊 (농재 이익). 華浦雜詠 9수(화포잡영 9수) 화포에서 이것저것 읊다 (1)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