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사가정 서거정(1420) 100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遊漢江(유한강)한강놀이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遊漢江(유한강)한강놀이 楊花渡口繫蘭船(양화도구계란선) 양화도 나루에서 배를 타고 놀이를 하니 須言人間別有天(수언인간별유천) 인간 세상에도 별천지 있는 줄을 알겠네 何必神仙同鶴駕(하필신선동학가) 하필 신선과 같이 학을 타고 놀아야 하나 要將圖畵共龍眠(요장도화공룡면) 그림을 그리려면 화가 이백시(李伯時)에게 부탁할까 日明鼈背黃金浪(일명별배황금랑) 해는 자라등을 밝히니 황금빛 물결치는데 風撼龍頭碧玉濺(풍감룡두벽옥천) 비람은 용의 머리 흔드니 푸른 구슬 뿌리네 須挹西湖比西子(수읍서호비서자) 서호가 절경이라 한들 어찌 서시(西施)에 비할고 江山其奈興相牽(강산기내흥상견) 아름다운 이강산은 어찌 흥을 끌지 않으리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題 堤川客館(제 제천객관) 제천 객관에서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題 堤川客館(제 제천객관) 제천 객관에서 邑在江山勝(읍재강산승) 고을의 강산이 아름다우니 亭新景物稠(정신경물조) 바라보는 경치도 조밀하다 烟光浮地面(연광부지면) 아지랑이는 지면에 떠 있고 嶽色出墻頭(악색출장두) 산이 담 머리에 솟아 있네 老樹參天立(노수참천립) 노송은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 있고 寒溪抱野流(한계포야류) 시냇물은 들판을 돌아서 흐르네 客來留信宿(객래유신숙) 이곳에 이틀을 묵고 있으니 詩思轉悠悠(시사전유유) 시상이 아득히 떠오르고 있네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煎茶(전다) 차를 끊이며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煎茶(전다) 차를 끊이며 絶愛仙茶妙(절애선다묘) 선다의 묘미 몹시도 좋아하여 幼從嶺外來(유종영외래) 어려서부터 령외 로 왔네 澹甁新汲水(담병신급수) 깨끗한 병에 맑은 물 길어다 古鼎故鳴雷(고정고명뢰) 옛 솥에 다림에 우레 소리 같도다 北焙分春早(북배분춘조) 그늘에 말림에 봄이 깊었고 南柯喚夢回(남가환몽회) 남가의 헛된 꿈 불러 깨운다 我如玉川子(아여옥천자) 내 옥천자 와 같아서 三椀要詩催(삼완요시최) 석잔의 차로 시 짓고 싶구나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賞蓮(상련)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賞蓮(상련) 荷花無數艶方池(하화무수염방지) 물이 가득한 연못에 연꽃이 수 없이 피었네 綠影紅香雨更奇(녹영홍향우경기) 푸른잎 그늘 붉은꽃 향기가 빗속에선 다시 기이해지네 盡日看看吟不足(진일간간음부족) 하루 종일 보고 읊어도 오히려 모자라서 晩涼扶杖立多時(만량부장입다시) 해 저물어 서늘해져서 지팡이 짚고 일러서곤 했다네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小白山(소백산) 소백산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小白山(소백산) 소백산 小白山連太白山(소백산연태백산) 태백산에서 이어진 소백산은 逶迆百里揷雲間(위이백리삽운간) 백리에 구불구불 구름사이 솟았네 分明劃盡東南界(분명획진동남계) 뚜렷이 동남의 경계를 그어 地設天成鬼破慳(지설천성귀파간) 한늘 땅이 만든 형국 억척일세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病中煎茶(병중전다) 병중에 차를 끊이며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病中煎茶(병중전다) 병중에 차를 끊이며 衰病年來渴轉多(쇠병년래갈전다) 금년들어 쇠한 병에 걸려 갈증 부쩍 심해지니 有時快意不如茶(유시쾌의불여차) 이따금 즐겁기는 차 마실 때 뿐이로다 淸晨危汲寒泉水(청신위급한천수) 맑은 새벽 찬 샘물을 길어와서는 石鼎閑烹金露芽(석정한팽금로아) 돌솥에다 한가로이 노아차(露芽茶)를 달인다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送昌原府使朴公之任(송창원부사박공지임) 창원부사 박공의 임지로 보내며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送昌原府使朴公之任(송창원부사박공지임) 창원부사 박공의 임지로 보내며 憶昔重過月影臺(억석중과월영대) : 생각하면 옛날에 몇 번 월영대를 지났거니 檜山依舊翠成堆(회산의구취성퇴) : 회산은 옛날처럼 푸른빛이 무더기를 이루었구나. 高吟落日欲將去(고음낙일욕장거) : 지는 해를 읊조리며 데리고 가려 하여 爲喚孤雲猶不來(위환고운유불래) : 외로운 구름 불렀으나 여전히 오지 않는구나. 滄海有潮環古壘(창해유조환고루) : 넓은 바다에 조수가 있어 옛 진터를 감도는데 短碑無字半荒苔(단비무자반황태) : 작은 비석에 글자가 없어지고 거친 이끼가 반이나 되네. 風流太守仍文雅(풍류태수잉문아) : 풍류 태수는 문장의 멋을 알 것이니 爲我閑登酒一杯(위아한등주일배) : 나를 위해 한가히 올라 술 한 잔을..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林亭晩吟次岑上人韻(임정만음차잠상인운)숲 정자에서 산위의 사람의 운을 빌어 저녁에 시를 읊다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林亭晩吟次岑上人韻(임정만음차잠상인운) 숲 정자에서 산위의 사람의 운을 빌어 저녁에 시를 읊다 城市那無隱者家(성시나무은자가) : 도시엔들 어찌 은자의 집이 없으랴 林亭幽絶隔鹿譁(임정유절격록화) : 숲 속 정자가 고요하여 세상의 어지러움 없도다. 年年爲種幾多樹(년년위종기다수) : 해마다 심은 나무 얼마나 되는지 續續自開無數花(속속자개무수화) : 저절로 피는 무수한 꽃들 白蟻戰酣山雨至(백의전감산우지) : 흰 개미 싸움이 한참인데 산에는 비 내리고 黃蜂衙罷溪日斜(황봉아파계일사) : 누런 벌 떼들 일을 마치니 개울물에 석양이 진다 移時軟共高僧話(이시연공고승화) : 시간이 지나 한가히 고승과 대화를 나누러니 石鼎松聲送煮茶(석정송성송자다) : 돌솥에 솔바람 일어 차를 다리게 한다.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次韻日休見寄(차운일휴견기) 휴일견기를 차운하여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次韻日休見寄(차운일휴견기) 휴일견기를 차운하여 平生性癖愛吾廬(평생성벽애오려) : 평생 고질이 내 집을 좋아하는 것이라 閉闇焚香淨掃除(폐암분향정소제) : 한가히 향불 살라 깨끗이 소제한다네. 陶令但知樽有酒(도령단지준유주) : 도연명은 다만 단지에 술 있는 것만 알고 馮郞空嘆出無車(풍랑공탄출무거) : 붕랑은 부질없이 외출에 수레 없는 것만 한탄했네. 病餘身世渾成夢(병여신세혼성몽) : 병든 이 몸은 모든 것 꿈이 되고 老去文章欲著書(노거문장욕저서) : 늙어진 후에는 문장으로 책이나 쓰고 싶네. 名利到頭從自苦(명리도두종자고) : 명리는 스스로 괴로워지니 會須歸問鹿門居(회수귀문록문거) : 모름지기 돌아가 산간에 살 곳을 물어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