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당 김시습(1435) 77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雪 曉 2(설효 2)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雪 曉 2(설효 2) 我似袁安臥雪時(아사원안와설시) : 내가 원안처럼, 눈에 누워있어 小庭慵掃捲簾遲(소정용소권렴지) : 조그마한 뜰도 쓸기 싫고, 발마저 늦게 걷는다 晩來風日茅簷暖(만래풍일모첨난) : 늦어 부는 바람과 해, 초가집 처마 따뜻해져 閒看前山落粉枝(한간전산락분지) : 한가히 앞산을 보니, 나무가지에서 떡가루가 떨어진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雪 曉 1(설효 1)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雪 曉 1(설효 1) 滿庭雪色白暟暟(만정설색백개개) : 뜰에 가득한 눈빛은 희고 아름다워라 瓊樹銀花次第開(경수은화차제개) : 옥나무 은빛 눈꽃이 차례로 피어나는구나 向曉推窓頻著眼(향효추창빈저안) : 새벽 되어 창문 열고 자주 눈을 돌리니 千峰秀處玉崔嵬(천봉수처옥최외) : 일천 봉우리 빼어난 곳에 옥이 높게도 쌓였구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雨 中 書 懷 (우중서회)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雨 中 書 懷 (우중서회) 滿溪風浪夜來多(만계풍랑야래다) : 개울 가득한 풍랑 밤새 많아지니 茅屋蓬扉奈若何(모옥봉비내약하) : 초가집 사립문은 어찌 해야하는가 亂滴小簷聲可數(난적소첨성가수) : 처마에 떨어지는 빗소리 헤아릴 수도 있으니 塊然身在碧雲窩(괴연신재벽운와) : 외롭도다, 이내 몸은 푸른 구름 속에 있는 듯하여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中秋夜新月(중추야신월2 )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中秋夜新月(중추야신월2 ) 白露溥溥秋月娟(백로부부추월연) : 흰 이슬 방울지고 가을달빛 고운데 夜虫喞喞近床前(야충즐즐근상전) : 밤 벌레소리 시꺼럽게 침상에 앞에 들려오네 如何撼我閒田地(여하감아한전지) : 나의 한가한 마음 흔들어 놓으니 나는 어찌하랴 起讀九辯詞一篇(기독구변사일편) : 일어나 구변의 노래 한 편을 읽고있도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中秋夜新月중추야신월1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中秋夜新月중추야신월1 半輪新月上林梢(반륜신월상림초) : 둥그레한 초승달 나무가지 끝에 뜨면 山寺昏鐘第一鼓(산사혼종제일고) : 산사의 저녁종이 처음으로 울려온다 淸影漸移風露下(청영점이풍로하) : 맑은 그림자 옮아오고 바람과 이슬이 내리는데 一庭凉氣透窓凹(일정량기투창요) : 온 뜰에 서늘한 기운 창틈을 스며든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水 波 嶺(수파령)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水 波 嶺(수파령) 小巘周遭水亂回(소헌주조수난회) : 작은 봉우리를 둘러 물이 어지러이 휘돌고 千章喬木蔭巖隈(천장교목음암외) : 일천 그루 높은 나무 바위 가에 그늘지운다 山深不見人蹤迹(산심불견인종적) : 산 깊어 사람의 자취 보이지 않고 幽鳥孤猿時往來(유조고원시왕래) : 깊은 산에 외로운 원숭이만 때때로 오고간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疏 雨(소우)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疏 雨 소우 疏雨蕭蕭閉院門(소우소소폐원문) : 소슬한 가랑비에 문을 닫고 野棠花落擁籬根(야당화락옹리근) : 해당화 뜰어져 울타리밑에 쌓였구나 無端一夜芝莖長(무단일야지경장) : 까닭없이 밤새도록 지초 줄기 자라나 溪上淸風屬綺園(계상청풍속기원) : 개울 위로 불어오는 맑은 바람 기원과 같아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春遊山寺 춘유산사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春遊山寺 춘유산사 春風偶入新耘寺(춘풍우입신운사) : 봄바람 불어 우연히 신운사에 들러보니 房閉僧無苔滿庭(방폐승무태만정) : 스님도 없는 승방, 뜰에 이끼만 가득하다 林鳥亦知遊客意(임조역지유객의) : 숲 속의 새들도 나그네 마음 알고 隔花啼送兩二聲(격화제송양이성) : 꽃 넘어 저곳, 새는 두세 울음 울어 보내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陶 店(도점)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陶 店(도점) 兒打蜻蜓翁掇籬(아타청정옹철리) : 아이는 잠자리 잡고, 노인은 울타리 고치는데 小溪春水浴鸕鶿(소계춘수욕로자) : 작은 개울 흐르는 봄물에 가마우지 멱을 감는다 靑山斷處歸程遠(청산단처귀정원) : 청산 끊어진 곳에서, 돌아 갈 길은 아득한데 橫擔烏藤一个枝(횡담오등일개지) : 검은 등나무 덩굴 한 가지가 비스듬히 메어있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寄 友 4수(기우 4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寄 友 4수(기우 4수) [제1수] 望中山水隔蓬萊(망중산수격봉래) : 눈 앞에 산과 물은 봉래산에 가리고 斷雨殘雪憶幾回(단우잔설억기회) : 그친 비와 녹은 눈 속에서 얼마나 그리웠는지 未展此心空極目(미전차심공극목) : 이 마음 펴지 못해 공연히 눈만 치뜨고 夕陽無語倚寒梅(석양무어의한매) : 석양에 말없이 차가운 매화나무에 기대어본다 [제2수] 爲因生事無閑暇(위인생사무한가) : 살아가는 일로 한가할 때가 없어 孤負尋雲結社期(고부심운결사기) : 구름 찾아 결사하는 기약을 홀로 저버렸다 走殺紅塵何日了(주살홍진하일료) : 달려가 세상풍진 없애는 일 어느 때나 다할까 碧山回首不勝思(벽산회수불승사) : 푸른 산을 돌아보니 그대 생각 못잊겠구나 [제3수] 落盡閑花春事去(낙진한화춘사거)..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雪覆蘆花 설복노화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雪覆蘆花 설복노화 滿江明月照平沙(만강명월조평사) : 강에 가득한 밝은 달빛 모래벌을 비추고 裝點漁村八九家(장점어촌팔구가) : 어촌 열 아홉 가구를 환하게 장식하는구나 更有一般淸絶態(갱유일반청절태) : 다시 하나의 맑고도 뛰어난 자태 있으니 暟暟白雪覆蘆花(개개백설복노화) : 차갑게도 흰 눈이 갈대꽃을 눌러 덮었구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蘆原卽事 (노원즉사)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蘆原卽事 (노원즉사) 草綠長堤小逕斜(초녹장제소경사) : 긴 언덕 풀은 푸르고 작은 길 비탈지고 依依桑柘有人家(의의상자유인가) : 산뽕나무 무성한데 인가가 나타난다 溪楓一抹靑煙濕(계풍일말청연습) : 시냇가 단풍나무 문지르니 푸른 안개에 젖어있고 十里西風吹稻花(십리서풍취도화) : 십리 길에 하늬바람 벼꽃에 불어든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新 漲 (신창 )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新 漲 (신창 ) 昨夜山中溪水生(작야산중계수생) : 어제 밤 산속에서 계곡물 붙더니 石橋柱下玉鏗鏘(석교주하옥갱장) : 돌다리 기둥 아래 옥구슬 부딪는 소리 可憐嗚咽悲鳴意(가련오열비명의) : 가련토록 흐느끼며 구슬피 우는 뜻은 應帶奔流不返情(응대분류불반정) : 체인 물이 흘러가 되돌아오지 못함이겠지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有 客 (유객)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有 客 (유객) 有客淸平寺(유객청평사) : 청평사의 나그네 春山任意遊(춘산임의유) : 봄 산을 한가로이 노니노라 鳥啼孤塔靜(조제고탑정) : 탑은 고요한데 새는 울고 花落小溪流(화락소계류) : 꽃잎은 개울에 떨어져 흘러가네 佳菜知時秀(가채지시수) : 맛있는 나물 때맞춰 돋아나고 香菌過雨柔(향균과우유) : 향기로운 버섯은 비 맞아 부드럽네 行吟入仙洞(행음입선동) : 시를 읊으며 선동에 들어서니 消我百年憂(소아백년우) : 나의 백년 근심이 살라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