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소재 노수신(1515) 53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感泣奉謝贈金參奉(감읍봉사증김참봉) 감격하여 울면서 받들어 사례하여 김참봉 에게 주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感泣奉謝贈金參奉(감읍봉사증김참봉) 감격하여 울면서 받들어 사례하여 김참봉 에게 주다 此膝何會解屈人(차슬하회해굴인) 내 무릎을 일찍이 남에게 꿇은 적이 있던가 拜書今日却須眞(배서금일각수진) 서신에 절하는 오늘은 진정으로 꿇어야 겠네 白頭薄宦盆城子(백두박환분성자) 백발 나이로 미관말직에 있는 분성자 가 能視人親似已親(능시인친사이친) 남의 어버이를 자기 어버이처럼 생각해 주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醉時率意放筆排悶 2(취시솔의방필배민 2)취했을 때 맘 내키는대로 붓을 휘둘러 고민을 떨치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醉時率意放筆排悶 2(취시솔의방필배민 2) 취했을 때 맘 내키는대로 붓을 휘둘러 고민을 떨치다 痛飮暢形神(통음창형신) 통음하여 형체와 정신을 풀어주고 諧謔同于人(해학동우인) 남들과 같이 농지거리도 해 가면서 隱惡卽揚善(은악즉양선) 악은 숨겨 주고 선은 드러내 주어 泛愛還有親(범애환유친) 두루 사랑하니 또 친한 이도 있네 田父及野老(전부급야노) 농부들 및 촌 늙은이들과 어울려 狎蕩盡潦倒(압탕진료도) 친압 방탕한 아주 산만한 모습으로 有問無不答(유눈무부답) 질문이 있으면 대답 안 한게 없거니 有邀肯辭造(유요긍사조) 초대가 있으면 어찌 가기를 사양하랴 囚跣或接客(수선혹접객) 쑥대머리에 맨발로 혹 손을 대해도 客喜反無責(객희반무책) 손은 되레 기뻐하고 책망하지 않네 吁汝盧寡悔(우여노과..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醉時率意放筆排悶 1(취시솔의방필배민 1)취했을 때 맘 내키는대로 붓을 휘둘러 고민을 떨치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醉時率意放筆排悶 1(취시솔의방필배민 1) 취했을 때 맘 내키는대로 붓을 휘둘러 고민을 떨치다 吾父年丙辰(오부년병신) 내아버니 연세는 병진 생 이 신데 赢瘁自靑春(영췌자청춘) 청춘 시절부터 야위고 초췌하셨고 憂居不薑桂(우거불강계) 상중에는 강계도 못 잡수셨으니 遑望濕脚仁(황망습각인) 각습증이 낫기를 바랄 수 있으리오 吾母年丁巳(오모년정사) 내 어머니 연세는 정사 생 이 신데 勞心疾未已(노심질미이) 노심초사로 질병이 끊이지 않아 不得顧私親(부득고사친) 친정어머니를 돌봐 드리지 못하고 萬事懷孔悝(만사회공리) 오만 일로 걱정이 몹시 많으시네 外祖母誰依(외조모수의) 외조모는 누구를 의지한단 말인가 三歲添者稀(삼세첨자희) 삼세를 더하면 드문 나이라는데 有弟學未就(유제학미취) 아우는 아직..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歲暮戱題(세모희제) 귀양지 진도에서 세모에 장난삼아 짓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歲暮戱題(세모희제) 귀양지 진도에서 세모에 장난삼아 짓다 天地之東國以南(천지지동국이남) 천지의 동쪽 나라 남쪽 沃州城下數間庵(옥주성하수간암) 옥주의 성 밑에 두어 칸의 초당 有難赦罪難醫病(유난사죄난의병) 용서받기 어려운 죄와 고치기 어려운 병이 있고 爲不忠臣不孝男(위불충신불효남) 불충한 신하 불효한 자식이 되었도다 客日三千四百幸(객일삼천사백행) 귀양살이 삼천사백 일이 오히려 다행이라 생각하니 生年乙亥丙辰慙(생년을해병진참) 을해년 에 태어나 병진년 지금까지 살아온 일이 부끄러워 汝慮守愼如無死(려노수신여무사) 너 노수신이 죽지 않고 살아서 報得君恩底事堪(보득군은저사감) 임금의 은혜를 무슨 수로 갚으려느냐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耆老宴作(기로연작)기로연 에서 지음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耆老宴作(기로연작) 기로연 에서 지음 壽到稀年且達官(수도희년차달관) 오래 살아 일흔 살에 재상 자리에 올랐지만 九人而已亦才難(구인이이역재난) 구인이 되기엔 재주가 턱없이 모자라네 金章鳩杖聯翩來(금장구장연편래) 금장과 구장을 연이어 내려주시어 入溪敞宇華筵開(입계창우화연개) 계곡의 탁 트인 집에서 축하 자리 벌였네 小至霜風振駞駱(소지상풍진타락) 소지 풍설이 락산 에 불어오니 今者不樂餘幾日(금자불락여기일) 오늘 아니면 몇 날이나 즐기리 我如老牛鞭不動(아여노우편부동) 채찍질해도 꼼짝 못하는 늙은 소 같은 이몸 未罷歡娛更蕭瑟(미파환오갱소슬) 즐거움이 끝나기 전에 다시 울적해 지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除夜獨酌有懷愴然(제야독작유회창연) 섣달 그믐날 밤 홀로 술을 마시다 슬픈 생각이 들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除夜獨酌有懷愴然(제야독작유회창연) 섣달 그믐날 밤 홀로 술을 마시다 슬픈 생각이 들다 落度羈鞿固(락도기기고) 불우한 신세는 굳게 속박되었지만 蕭條性命全(소조성명전) 적막한 곳에서 목숨은 보전하였네 連年逢竹爆(련년봉죽폭) 해마다 폭죽놀이 하는 날을 만나면 敍序逼天穿(서서핍천천) 명절 차례와 천천일 이 다가오누나 暮雨過沙谷(모우과사곡) 저녁 비는 사곡을 지나갈 터이고 東風散漢川(동풍산한천) 다슨 동풍은 한천에 흩어 지련만 屠蘇無所與(도소무소여) 도소주를 함께 마실 곳이 없으니 不守取拳眠(불수취권면) 수세도 말고 주먹 베고 잠이나 자련다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4(적거사미 4)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4(적거사미 4)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靜夜深深意(정야심심의) 고요한 밤의 깊고 깊은 뜻을 十年今始諳(십년금시암) 오랜만에 오늘에야 비로소 알았네 更無時俗語(갱무시속어) 전혀 시속의 말은 하지를 않고 聊與聖賢談(료여성현담) 즐겨 성현들과 담론을 하노라니 散却孤燈影(산각고등영) 외로운 등잔 불빛을 흩뜨려서 尊爲百晦庵(존위백회암) 존귀한일백 회암이 되나니 昏沈何處着(혼침하처착) 혼탁한 이 마음을 어디에 두어야 할까 造次見前參(조차견전참) 아무리 급한 때라도 앞에 드러나야지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3(적거사미 3)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3(적거사미 3)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卓午微風度(탁오미풍도) 한낮에 실바람이 솔솔 지나갈 제 窓間獨坐安(창간독좌안) 창 앞에 홀로 편안히 앉았노라니 日光熏滿眼(일광훈만안) 훈훈한 햇볕은 시야에 가득하고 春氣盎歸肝(춘기앙귀간) 온화한 봄기운은 폐간까지 스며드네 忘裏襟懷叔(망리금회숙) 백사를 잊은 가운데 마음은 고요하고 閑中宇宙寬(한중우주관) 한가로운 가운데 우주는 넓기만 하네 政宜居敬釣(정의거경조) 정히 간략함으로 곤경에 처해야 하니 無所用心難(무소용심난) 마음 쓰는 데가 없는 건 어렵고 말고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2(적거사미 2)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2(적거사미 2)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晏飯眞當肉(안반진당육) 늦게 먹는 밥은 참으로 고기와 맞먹거니와 母陽又不多關(모양우불다) 밥을 식혀 급하게 먹지않고 많이도 안 먹네 齗須泉冷瀨(은수천랭뢰) 잇몸은 반드시 찬 샘물로 양치질하고 腹要手溫摩(복요수온마) 배는 반드시 손으로 따습게 문지르고 緩趾無踰閾(완지무유역) 바걸음은 천천히 하되 사립 밖을 안 나가고 怡顔且眄柯(이안차면가) 정원 나뭇가지 바라보며 얼굴을 펴기도 하네 萬錢誰飫筋(만전수어근) 그 누구는 만 전어치씩을 실컷 먹으면서 九陌競鳴珂(구맥경명가) 장안거리에 옥가를 타투어 울렸던고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1(적거사미 1)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穌齋 盧守愼(소재 노수신). 謫居四味 1(적거사미 1) 귀양살이의 네 가지 맛수 力疾迎淸曉(역질영청효) 병을 무릅쓰고 맑은 새벽 맞이하여 閑梳百下輕(한소백하경) 한가히 머리 백번을 선뜻 빗어 내리니 血行通有竅(혈행통유규) 혈액은 잘 순환해라 통하는 혈관이 있고 風退散無聲(풍퇴산무성) 풍증은 물러가서 소리없이 흩어져 버렸네 落處疎疎鬊(락처소소순) 떨어진 고엔 듬성듬성 헐클어진 난발이요 勻來箇箇莖(균래개개경) 가저런히 빗은 머리는 낱낱 흰 실이로다 敬加程子服(경가정자복) 삼가 정자관을 머리에 쓰고 牢結仲由纓(뢰결중유영) 중유의 갓끈을 단단히 매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