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15

南冥 曺植 (남명 조식)​​​​. 遊黃溪贈金敬夫 2(유황계증김경부 2) 황계폭포에서 놀 때 김 경부에게 줌

南冥 曺植 (남명 조식)​​​​. 遊黃溪贈金敬夫 2(유황계증김경부 2) 황계폭포에서 놀 때 김 경부에게 줌 莫恨秋容淡更疏(막한추용담갱소) 가을 정경 스산하다 한하지 말게나 一春留意末全除(일춘류의말전제) 봄이 남긴 뜻 싹 가시지는 않았다네 天香滿地薰生鼻(천향만지훈생비) 하늘 향기 땅에 가득 코에 스며 드니 十月黃花錦不如(십월황화금불여) 바단도 시월의 국화만은 못하다네

남명 조식(1501) 2024.04.18

退溪 李滉[퇴계 이황]. 歧亭十詠 3[기정십영 3]

退溪 李滉[퇴계 이황]. 歧亭十詠 3[기정십영 3] 在咸昌公儉池上[재함창공검지상] 함창 공검지 위에 있다. 平蕪散牧[평무산목]:거친 들판에 풀어 놓은 목장. 春燒沒盡春草綠[춘소몰진춘초록] : 봄의 들 불이 모두 꺼지니 봄 풀들은 푸르고 膴膴郊原盈遠目[무무교원영원일] : 비옥한 들판과 언덕은 눈 멀리까지 가득하네. 驅催不到村野間[구최부도촌야간] : 내쫒고 재촉함 시골 마을 사이 이르지 못하니 太平氣象看遊牧[태평기상간유목] : 태평한 기운 본 받아 즐기는 목동을 바라보네. 髫童忘機但鞭後[초동망기단편후] : 더벅머리 아이 욕심 잊고 다만 채찍 뒤로하고 飽滿歸來月下宿[포만귀래월하숙] : 배 가득 불러 돌아 오다 달빛 아래 잠을 자네. 不解謳歌堯與舜[불해구가요여순] : 요와 순임금 칭송하는 노래 깨닫지 못하지만 ..

퇴계 이황(1501) 2024.04.18

작가 : 김석신(金碩臣). 제목 : 선유도(船遊圖)

작가 : 김석신(金碩臣) 아호 : 초원(蕉園) 제목 : 선유도(船遊圖) 언제 : 18세기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31.5 x 46.7cm 소장 : 한국개인 해설 : 가고중류도(笳鼓中流圖)라고도 하는 이 그림은 수묵을 주로 하고, 거기에 담청과 담록을 설채한 위에 엷은 주홍색을 점채(點彩)해서. 전체적으로 담담하고 해맑은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강 건너편의 석벽은 부벽준(斧劈皴)과 비슷하나 담묵을 써서 나타냈으며. 그위에 농묵의 태점(苔點)으로 강조하여 산뜻한 대비효과를 보여준다. 전경의 수지(樹枝)에는 담청과 담록색을 곁들인 연분홍으로 설채했으며. 강 양안(兩岸)의 인물들과 강마을의 집들은 사경(寫景)의 현장감을 나타내고 있다. 강물위에는 차일을 친 두 척의 배가 날렵한 필치로 그려졌는데...

한국고전명화 2024.04.18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 규격 : 80 x 29.8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봉경방고도는 화면의 왼쪽 윗부분에 씌어진 동기창 자신의 관지에 의하면. 임인년 이른봄의 어느날 취리(欈李)로부터 고(顧) 시어(侍御)와 더불어 돌아오던중 갑자기 비를 만나 봉경(崶涇)에서 옛 그림을 보며 시간을 보낸 기록으로 그린 것이다. 동기창의 글 오른쪽으로는 고희천자(古希天子)라는 둥근 도장아래 당시의 문인 진계유(陳繼儒)의 제(題)가 있는데. 이 글에서 그는 이 작품이 오대의 동원(董源)과 당의 왕유(王維)의 양식을 겸했다고 감탄해 마지 않고 있다. 왕유는 동기창이 후에 남종화의 시조로 받든 사람이며. 동원 역시 왕..

중국고전명화 2024.04.18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신기산연기(信貴山緣起)부분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신기산연기(信貴山緣起)부분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먹과 채색 규격 : 31.5 x 872 cm 소장 : 나라 조호손자사 해설 : 헤이안 후기에는 일본소설. 역사이야기. 또는 불교사원이나 유명한 중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그림을 두루마리 형식으로 펼쳐가며 그린 에마키모노가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원래 이와 같은 그림 형식은 중국에서 발달한 것으로 돈황(敦煌) 석굴 속의 불교설화 벽화. 또는 고개지(顧愷之)의 낙신부도(洛神赋圖)에서 그 초기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귀산연기 는 9세기 말에 시기산의 조호손자사(調護孫子寺)를 증수하고 일생동안 그곳에서 수도생활을 한 고승 묘오렌(명련)으 기적을 주제로 한 그림이다. 묘오렌은 동대사 에서..

카테고리 없음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