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 이향금(여 1573) 52

이매창(李梅窓). 春愁(춘수) 봄날의 근심

이매창(李梅窓). 春愁(춘수) 봄날의 근심 長堤春草色凄凄(장제춘초색처처) 긴 뚝의 봄 풀빛이 슬프고 처량하니 舊客還來思欲迷(구객환래사욕미) 옛 손님 다시 오시다 길을 잃었나 생각되네. 故國繁華同樂處(고국번화동락처) 예전에 같이 즐기던 화려한 곳에 滿山明月杜鵑啼(만산명월두견제) 온 산은 달 밝고 두견새만 우네. 曾年此夕瑤池會(회년차석요지회) 지난해 오늘 저녁 아름다운 모임에서 我是樽前歌舞人(아시준전가무인) 나는 술잔 앞에 춤추며 노래 부르는 사람이었지. 宣城舊主今安在(선성구주금안재) 명승(名勝)의 옛 주인 지금 어디에 계시는가? 一砌殘花昔日春(일체잔화석일춘) 섬돌에 남아있는 꽃 그 옛날의 봄이네.

이매창(李梅窓). 絶命詩(절명시) 임종에 남기는 시

이매창(李梅窓). 絶命詩(절명시) 임종에 남기는 시 結約桃園洞裏仙(결약도원동리선) 도원 맹세할 때 신선 같던 이 몸 豈知今日事悽然(개지금일사처연) 오늘날 이리 처연할줄 어찌 알리 坐懷暗恨五絃曲(좌회암한오현곡) 애달픈 심정을 거문고에 실어보니 萬意千事賦一篇(만의천사부일편) 만 가닥 얽힌 사연 한편의 책이네 塵世是非多故海(진세시비다고해) 풍진세상 고해라 시비도 많아 深閨永夜苦如年(심규영야고여년) 홀로 지새는 밤 몇 해인 듯 괴로워 南橋欲暮重回首(남교욕모중회수) 덧없이 지는 해에 머리 돌려 보니 靑疊雲山隔眼前(청첩운산격안전) 구름속에 첩첩 청산 눈을 가리네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西窓竹月影婆娑(서창죽월영파사) : 서창 대숲 달그림자 어른거리고 風動桃園舞落花(풍동도원무낙화) : 복숭아 밭에 바람 부니 낙화가 춤을 추네 猶倚小欄無夢寐(유의소난무몽매) : 여전히 작은 난간에 기대니 잠은 오지 않고 遙聞江渚菜菱歌(요문강저채릉가) : 강가의 마름 캐는 노래소리 아득히 들려오네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西窓竹月影婆娑(서창죽월영파사) : 서창 대숲 달그림자 어른거리고 風動桃園舞落花(풍동도원무낙화) : 복숭아 밭에 바람 부니 낙화가 춤을 추네 猶倚小欄無夢寐(유의소난무몽매) : 여전히 작은 난간에 기대니 잠은 오지 않고 遙聞江渚菜菱歌(요문강저채릉가) : 강가의 마름 캐는 노래소리 아득히 들려오네 風飜羅幕月窺窓(풍번라막월규창) 바람은장막에 펄럭이고 달빛은창을 엿보는데, 抱得秦箏伴一釭(포득진쟁반일공) 가야금을 얻어 껴안고 등불 하나와 짝하네. 愁倚玉欄花影裡(수의옥란화영리) 아름다운 난간에 기대니 근심이 꽃 그림자 속에 있는데, 暗聞蓮唱響西江(암문연창향서강) 가만히들리는 연밥따는노래가서쪽강에울리네.

매 창 이향금. 病 中 (병 중) 병중

매 창 이향금. 病 中 (병 중) 병중 不是傷春病(불시상춘병) 이것은 봄을 슬퍼하는 병이 아니요 只因憶玉郞(지인억옥랑) 다만 임을 그리는 탓일 뿐이네 塵寰多苦累(진환다고루) 티끌 같은 세상 괴로움 하도 많아 孤鶴未歸情(고학미귀정) 외로운 학이 못 떠나는 심정이네 誤被浮虛說(오피부허설) 어쩌다 그릇된 소문이 돌아 還爲衆口喧(환위중구훤) 도리어 여러 입에 오르내리네 空將愁與恨(공장수여한) 부질없는 시름과 한으로 抱病掩紫門(포병엄시문) 병을 안고 사립문 닫네

이매창(李梅窓). 懷故人(회고인) 옛님을 생각하며

이매창(李梅窓). 懷故人(회고인) 옛님을 생각하며 春來人在遠(춘래인재원) 봄은 왔건만 님은 멋곳에 對景意難平(대경의난평) 경치 보아도 마음 편치 않네 鸞鏡朝粧歇(난경조장헐) 거울 보며 아침 단장 마치고 瑤琴月下鳴(요금월하명) 달빛에 거문고 타며 우네 看花新恨起(간화신한기) 꽃 볼수록 설움이 일고 聽燕舊愁生(청연구수생) 제비 울음 들으니 수심만 생기네 夜夜相思夢(야야상사몽) 밤새 님 그리는 꿈 꾸다가 還驚五漏聲(환경오루성) 오경 치는 소리에 놀라 깬 다오

이매창(李梅窓). 尹公碑 (윤공비) 윤공비석

이매창(李梅窓). 尹公碑 (윤공비) 윤공비석 一曲瑤琴怨鷓鴣(일곡요금원자고) 좋은 거문고 한 곡조에 자고새를 원망하는데, 荒碑無語月輪孤(황비무어월륜고) 거친 비석은 말이 없고 둥근 달만 외롭구나. 峴山當日征南石(현산당일정남석) 현산(峴山)의 그날 남쪽을 정벌한 비석에도 亦有佳人墮淚無(적유가인타루무) 아름다운 사람은 있었지만 눈물 흘리진 않았다네.

이매창(李梅窓). 病中愁思(병중수사) 병중에 근심스런 생각

이매창(李梅窓). 病中愁思(병중수사) 병중에 근심스런 생각 空閨養拙病餘身(공규양졸병여신) 독수공방 단점을 숨기니 병이 몸에 남아 長任飢寒四十春(장임기한사십춘) 늘 굶주림과 추위에 맡긴지 사십 년 세월이네. 借問人生能幾許(차문인생능기허) 묻노니 인생은 얼마나 살 수 있을까? 胸懷無日不沾巾(흉회무일부첨건) 가슴속 생각에 눈물 적시지 않는 날이 없네.

이매창(李梅窓). 憶昔(억석) 옛일을 그리며

이매창(李梅窓). 憶昔(억석) 옛일을 그리며 謫下當時壬癸辰(적하당시임계진) 속세에 귀향 올 당시인 임진년과 계사년에 此生愁恨與誰伸(차생수한여수신) 이승의 시름과 한을 누구에게 말했던가? 瑤琴獨彈孤鸞曲(요금독탄고난곡) 아름다운 거문고로 고난곡(孤鸞曲)을 타면서 悵望三淸憶玉人(창망삼청억옥인) 시름없이 바라보며 삼청(三淸)으로 아름다운 그대를 그리네.

이매창(李梅窓). 贈畵人(증화인) 화공에게 드림

이매창(李梅窓). 贈畵人(증화인) 화공에게 드림 手法自然神入妙(수법자연신입묘) 수법이 있는 그대로라 신의 경지에 들었으니, 飛禽走獸落毫端(비금주수락호단) 나는 새와 뛰는 짐승이 붓끝에서 나오네. 煩君爲我靑鸞畵(번군위아청난화) 바쁜 그대가 날 위해 푸른 난새를 그려주니, 長對明銅伴影懽(장대명동반영환) 늘 밝은 거울 대하듯 짝하며 그림을 좋아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