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전 한상철(현존) 67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浦口廢船(포구폐선) 포구 폐선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浦口廢船(포구폐선) 포구 폐선 廢船捉雨浦(폐선착우포) 못 쓰는 배 비 내리는 포구를 붙잡아 搖體泄鏽水(요체설수수) 몸을 흔들며 녹물을 바다로 흘려 보내네 白鷗咬一島(백구교일도) 흰 갈매기 섬 하나를 입에 물고 往來運鄕愁(왕래운향수) 오다가다 하면서 고운 그리움을 실어 나르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玉不磨玉(옥부마옥)옥은 옥을 갈지 못함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玉不磨玉(옥부마옥) 옥은 옥을 갈지 못함 聚玉中璞玉(취옥중박옥) 옥 무리 가운데 옥돌이라 若琢成一器(약탁성일기) 만약 다듬으면 그릇 하나 될터 以玉不磨玉(이옥불마옥) 옥은 옥으로서 갈 수 없으니 猶用他山砥(유용타산지) 오히려 남의 산의 숫돌이 더 쓰임새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五秒美學(오초미학)5초의 아름다움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五秒美學(오초미학) 5초의 아름다움 乘機閉門際(승기폐문제) 엘리베이터 문을 닫을 즈음 勿押扣子乎(물압구자호) 버턴을 누르지 마세요 제발 用忍自掩了(용인자엄료) 조금만 참으면 문은 저절로 닫힐 터니 美學待五秒(미학대오초) 5초 기다림은 아름다운 배움이지요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觀長生(관장생) 벅수를 보며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觀長生(관장생) 벅수를 보며 妙刻小長生(묘각소장생) 묘하게 깍은 작은 벅수여 大鼻破顔笑(대비파안소) 큰 코에 얼굴 찢어지게 웃으며 言生比洋蔥(언생비양총) 삷이란 양파에 비유한다. 라고 말하네 聞乃達觀吾(문내달관오) 그말을 듣자 나는 이내 달관했다오 벅수가 웃는게 아니라 내가 웃는 것이다. 몇 달이 걸려도 못짓는 한시가 있는가 하면 단숨에 짓는 한시도 있다, 이시는 창포원에서 아침 요가를 하던중 마치 頓悟(돈오)라도 하듯 번개처럼 시문이 떠올랐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口套 (구투)부리망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口套 (구투)부리망 馴牛要口套(순우요구투) 부리망은 소를 길들이는데 필요해 貪草而難嚼(탐초이난작) 풀을 탐내기는 하나 씹기가 쉽지않아 適束猶利行(적속유이행) 적당한 묶임은 오히려 행동에 이로워 自愛則眞樂(자애즉진작) 스스로 아낌이 곧 참된 즐거움 이니라 구투(부리망)는 : 삼이나 새끼로 꼬아만든 소의 입에 씌우는 그물 여기서 소는 ‘욕망’이나 ‘진리’를 뜻하기도 한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紫荊歡舞(자형환무)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紫荊歡舞(자형환무) 夫婦紫荊木(부부자형목) 부부 박태기 나무여 醉風合歡舞(위풍합환무) 바람에 취해 함께 기쁜 춤추네 衆人拍手裡(중인박수리) 뭇 사람들 박수 치는 가운데 紅雪滿庭隅(홍설만정우) 붉은 눈은 뜰 모퉁이까지 가득 채우네 자형 : 박태기나무. 원래는 형제간의 우정을 상징하는 나무이나 부부 간에도 통할수 있다. 前漢(전한) 京兆(경조-서울)에 사는 田眞(전진)3형제의 깊은 우애 이야기, 전진은 벼슬이 太中大夫(태중대부)에 이르렀다. 만개한 박태기 꽃은 마치 붉은 눈이 펄펄 날리는 듯하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施無畏印(시무외인)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施無畏印(시무외인) 示掌降醉象(시장항취상) 손바닥 내보여 취한 코끼리를 항복시키고 膽大離怖畏(담대이포외) 쓸개가 커 두려움과 멀어 졌노라 施慈於衆生(시자어중생) 믓 생명에게 큰 사랑을 베풀고 唯余存劫外(유여존겁외) 오직 나는 긴 시간 밖에서 존재하느니 시무외인이란. 부처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주기 위하여 베푸는 印相(인상). 팔을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해 물건주는 시늉을 하고있다 유래: 2500년전 인도 아사세왕이 석가모니 부처를 죽이려고 계략을 꾸며. 코끼리에게 술을 먹인뒤 풀어놓았다. 술취한 코끼리가 달려들때 부처는 손을들어 시우외인을 취했다고 한다. 그러자 코끼리가 엎드려 머리를 조아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離怖畏印 이라고 한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紅布欺牛(홍포기우) 투우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紅布欺牛(홍포기우) 투우 紅布使迷牛(홍포사미우) 붉은 천은 소를 혼란에 빠뜨려 銳劍刺惱裏 (예검자뇌리) 날카로운 칼로 뇌 속을 찌르니 殺煩得悅樂 (살번득열락) 번뇌를 죽여 열락을 얻긴 하나 豈君恒被欺(개군항피기) 어찌 자네는 늘 속임만 당하나 홍포. 즉 물레타(muleta)란 : 투우에서 마타도르(수석투우사)가 흥분된 소를 칼로 찌를때 쓰는 붉은 천을 말함. 여기서 소는 “번뇌” 혹은 정반대인 “진리‘를 은유한다 예검: 慧劍(혜검)즉. 지혜의 칼인 般若劍(반야검)을 암유한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詠菜松花(영채송화) 채송화를 읋음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詠菜松花(영채송화) 채송화를 읋음 階隙兩菜松(계극양채송) 섬돌 틈에 핀 두송이 채송화 朱黃相鬪姸(주황상투연) 붉은꽃 노란꽃 서로 고움을 다툰다 一朶受臏刑(일타수빈형) 한송이는 정강이뼈를 베인 형벌을 받았네 坐客孫臏然(자객손빈연) 앉은 뱅이는 아마 손빈 이겠지 함경남도와 강원도에서는 채송화를 앉은뱅이꽃이라 부른다 빈형:무릎쪽 膝蓋骨(슬개골)만 절단 걷지 못하게 하는 형벌 손빈:춘추시대 제나라의 빼어난 전략가로 손빈병법의 저자이다. 손빈병법;손빈은 손무와 병법서를 서술했지만 그의 병법은 손무의 吳孫子(오손자) 와 구별하여 제손자(齊孫子) 로 불리고 있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喜馬懷古(희마회고)(희말라야를 회고함)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喜馬懷古(희마회고) (희말라야를 회고함) 昔時登喜馬(석시등희마) 예전 희말라야 를 등반할 때 合房雪寡婦(합방설과부) 설인 과부와 한방에 지냈지 得子養山神(득자양산신) 아들을 얻어 산신으로 길러 炯瞳魚尾秀(형동어미수) 빛나는 눈동자에 눈꼬리 주름도 빼어 나다네 희마: 중국어표기법. 喜馬拉雅(희마랍아)의 축약이다. 어미: 물고기꼬리. 눈꼬리 줄음 을 뜻함. 희말라야 의 설인 에티의 전설에 반인반수의 설인은 등반인들 의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할뿐.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 이시는 네팔의 마차푸레차(세계3대미봉) 를 읋은 시이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孟骨天花(맹골천화)맹골수로에 핀 하늘꽃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孟骨天花(맹골천화) 맹골수로에 핀 하늘꽃 孟骨黃蕊哉(맹골황에재) 맹골수로에 노랑 꽃술이여 不開因人禍(불개인인화) 사람의 화를 입어 피지 못했네 雖落幼朶然(수락유타연) 비록 여린 봉오리로 졌지만 懇願發天花(간원발천화) 하늘꽃으로 피어나길 간절히 바라오 맹골수로 : 전남진도군 조도면 맹골도와 거차도 사이에 있는 수도이다. 울돌목 다음으로 조류가 세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風打聾魂(풍타롱혼) 바람이 귀먼 영혼을 때림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風打聾魂(풍타롱혼) 바람이 귀먼 영혼을 때림 倚窓爲寂夕(의창위적석) 쓸쓸한 저녁을 위해 창에 기대니 郵票裏小鳥(우표리소조) 우표 안의 작은 새도 鳴而作頰紅(명이작협홍) 울며 빰을 붉히는데 過風聾魂討(과풍롱혼토) 바람은 귀먼 영혼을 후리치고 가느니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刺槐腕輪(자괴완륜) 아까시꽃 팔찌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刺槐腕輪(자괴완륜) 아까시꽃 팔찌 刺槐如白玉(자괴여백옥) 아까시아 꽃은 흰 옥과 같아 折花作腕輪(절화작완륜) 한송이 꺽어 팔찌를 만든다네 濃香自懜遊(농향자몽유) 짙은 향은 스스로 몽유에 빠트리고 甘味使踏雲(감미사답운) 달콤한 맛은 구름을 밝도록 시키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毒蛛迷惑(독주미혹)독거미가 홀림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毒蛛迷惑(독주미혹)독거미가 홀림 妙齡似毒蛛(묘령사독주); 독거미 닮은 꽃다운 처녀여 自口吐迷絲(자구토미사); 입에서 헝클어진 실을 토하는 구려 粘性捕人身(점성포인신); 끈적끈적한 성질은 사람의 몸을 묶어버리고 色光能術詐(색광능술사); 색과 빛은 속이는 술수가 능하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老梅自嘆(노매자탄) 늙은 매화가 스스로 탄식함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老梅自嘆(노매자탄) 늙은 매화가 스스로 탄식함 靑時群蝶來(청시군접래); 젊은 시절에는 나비가 무리지어 왔는데 花落不訪某(화락불방모); 꽃이 지니 아무도 찾아오지 않소 雪月避梅去(설월피매거); 눈과 달도 매화를 피해가거늘 身老誰尋吾(신노수심오); 몸이 늙으니 그 누가 날 찾으리오 * 제 1구 '靑時'는 동의보감과 불교용어에도 나온다. * 누구나 좋은 시절은 있기 마련... 늙으면 쓸모가 없어진다. 아! 제행무상(諸行無常)이여!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捕獲煩惱 (포획번뇌) 번뇌를 잡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捕獲煩惱 (포획번뇌) 번뇌를 잡다 打球革掌甲(타구혁장갑); 야구에 쓰는 가죽장갑은 恰似五香蕉(흡사오향초); 마치 다섯 개 바나나 같네 魔打百八煩(마타백팔번); 마귀가 번뇌 공을 쳐내면 佛呑一瞬捕(불탄일순포); 부처는 순간 낚아채 삼켜버리네 * 야구는 중국에서 打球라 하고, 공의 붉은 실밥이 108개로, 인간의 모든 번뇌를 상징 한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瓠花似母(호화사모) 어머니 닮은 박꽃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瓠花似母(호화사모) 어머니 닮은 박꽃 茅屋瓠花開(모옥호화개); 띠집 지붕 위 핀 박꽃 三更而月無(삼경이월무); 밤 이슥한데도 달은 보이지 않네 拱手祈子福(공수기자복); 두 손 모아 아들의 복을 비는 靜坐素服母(정좌소복모); 흰 옷 입고 고요히 앉은 어머니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雀子立頂(작자입정) 꼭대기에 선 딱새 새끼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雀子立頂(작자입정) 꼭대기에 선 딱새 새끼 百潭礫塔多(백담력탑다); 백담계곡에 조약돌탑 많아라 積功則入定(적공즉입정); 공을 쌓음이 곧 선정에 드는 게지 禪師未到岸(선사미도안); 선사는 아직 피안에 도착치 않았는데 雀子已立頂(작자이립정); 딱새 새끼는 이미 꼭대기에 서있네 돌탑 맨 위에 서서 꿈쩍도 않는 딱새 새끼가 곧 선사 아닐까?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砲聲覺夢(포성각몽)야포소리가 꿈을 깨움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砲聲覺夢(포성각몽) 야포소리가 꿈을 깨움 秋曉聞砲聲(추효문포성); 가을 새벽에 들리는 야포소리 間歇吐轟音(간헐토굉음); 드문드문 토하지만 요란하군요 勞工溺甘夢(노공닉감몽); 노동자는 단꿈에 빠져 있는데 突然奪枕衾(돌연탈침금); 갑자기 베개와 이불을 뻬앗아 가군요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晦月惑人(회월혹인)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晦月惑人(회월혹인) (그믐달이 사람을 호림) 晦月卦松葉 (회월괘송엽) 솔잎에 걸린 저 그믐달 美人斂蛾眉 (미인렴아미) 고운 눈썹어디 숨겼소 예쁜이여 若汝作目笑 (약여작목소) 만약 그대가 눈웃음 짓는다면 恐妻之妬忌 (공처지투기) 마누라의 감새암이 두려워지오 지리산 소나무에 걸린 그믐달은 가인의 눈썹마냥 고혹적이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鎭南橋畔(진남교반)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鎭南橋畔(진남교반) (진남교주변 ) 登陟烏井秀 ( 등척오정수 ) 높이오른 오정산은 빼어난데 古城창태久 ( 고성창태구 ) 옛 고모산성 푸른 이끼는 그대로 이네 潁江太極流 ( 영강태극류 ) 영강은 굽이쳐 태극으로 흐르고 鎭南野馬走 ( 진남야마주 ) 진남에는 아지랑이 피어오르네 수태극의 명당 진남교반(지남다리주변)은 경북 문경시 마성면에 소재하는 경북 8경중 제1경이다 . 명산 烏井山(오정산) 을 끼고 있다 이산은 석탄이 많아 이름 (까마귀 우물)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신라시대 부터 정유재란 까지 要害處(요해처)로 옛 산성 “ 마고 할매성“이 잘 보존되고 있다. 서남쪽 魚龍山 과(어룡산) 북동쪽 오정산 사이로 흐르는 낙동강 지류인 영강은 아찔한 절벽이 있는 이곳에서 휘돌아 승경을..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買麻星輝(매마성휘)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買麻星輝(매마성휘) 때죽나무 별이 빛나다 買麻打白鐘(매마타백종); 때죽나무가 흰 종을 치면 山僧續續聚(산승속속취); 산속 중이 줄줄이 모여드네 妙香作魚醉(묘향작어취); 묘한 향기는 물고기를 취하게 만들고 黃牛叢叢輝(황우총총휘); 좀생이별 황소는 총총히 빛나네 * 매마등(買麻藤); 때죽나무. 그 열매가 중 또는 종을 닮았다 하여, 떼중〔僧〕, 떼종(鐘)으로 발음, 풀이하기도 한다. * 황우좌(黃牛坐); 좀생이별, 즉 플레아데스 성단. 황도 12궁 중 황소자리. * 대부분의 낙화는 지저분한데, 이 나무는 마치 별이나 작은 흰 종처럼 단아하고, 끝까지 기품을 잃지 않는다. 그 무리는 좀생이별을 많이 닮았다. 꽃향기도 맑지만, 잎이나 열매를 찧어 냇물에 풀면 고기가 잠시 중독된다. ..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題 木蓮(제 목련)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題 木蓮(제 목련) 日暖風和時 (일난풍화시) 날은 따뜻하고 바람이 순할때 滿朔花蕾備 (만삭화뢰비) 잔뜩 배부른 꽃봉오리는 터질준비 되었네 神擲一木筆 (신척일목필) 신이 나무 붓 한 자루 던지자 孵化文鳥飛 (부화문조비) 알에서 깬 문조가 날아가네 뢰 : 꽃봉오리 일난풍화: 목련의 유명한 화제로 쓰임 목필 : 목련의 다른이름.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臍上沙塔(제상사탑)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臍上沙塔(제상사탑) 배꼽 위 모래탑 愛人美臍上 (애인미제상); 사랑하는 이의 아름다운 배꼽 위 早築沙塔怪 (조축사탑괴); 일찍 쌓은 모래탑 괴상하구나 風過一瞬崩 (풍과일순붕); 바람이 지나가자 순식간에 허물어지는 군 急造而易壞 (급조이이괴); 서둘러 지은 건 쉽게 무너진다네 * 애인: 한국, 연인, 좋아하는 사람, 국제사회, 자연 등 여러가지로 풀이 가능. 독자의 풍부한 상상력에 맡긴다... * 우리 이제 제발 ‘빨리빨리’는 그만 두자! 서두름은 모든 부실의 원인이 된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蝠問道行(복문도행)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蝠問道行(복문도행) 박쥐가 도를 행함을 물어옴 洞窟天井蝠(동굴천정복); 동굴 천정의 박쥐가 逆懸問道行(역현문도행); 거꾸로 매달려 도를 행하는 법을 묻네 吾常正坐處(오상정좌처); 나는 늘 바르게 앉아 사는데 豈汝倒立生(개여도립생); 어찌 그대는 거꾸로 서서 살아가는가 * 압운; 行 生 * 그대는 정말 바르게 사는가? 박쥐가 질문을 던진다... * 박쥐는 인류생존에 꼭 필요한 5대 유익동물 중 하나이다.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不治病懷(불치병회)

竹田 韓相哲(죽전 한상철). 不治病懷(불치병회) 병이 낫지 않은 생각 靜觀一終葉(정관일종엽); 조용히 마지막 이파리 바라보다 便臥難二吸(편와난이흡); 곧 누우니 두 번 들숨 쉬기 힘드네 因得我重病(인득아중병); 내가 중병을 얻은 원인은 失意過不及(실의과불급); 과유불급의 뜻을 잃어버린 까닭이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