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 이항복(1556) 59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歸途將訪甓寺天熱不果行(귀도장방벽사천열불과행)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歸途將訪甓寺天熱不果行 (귀도장방벽사천열불과행) ​귀로에 벽사에 가려고 하였으나 더워서 가지 못하다. ​寺下長江江上山(사하장강강상산) : 절 아래는 긴 강, 강 위에는 산이라 人間無路水漫漫(인간무로수만만) : 사람이 다닐 길은 없고 물만 가득하다 三朝老樹秋陰引(삼조로수추음인) : 세 왕조의 늙은 나무 가을 그늘 끌어오고 五月天風佛骨寒(오월천풍불골한) : 오월의 하늘 바람은 부처의 뼈가 차가우리 飛閣捲簾圖畫裏(비각권렴도화리) : 높은 전각에 주렴 걷으니 그림 속같고 晴窓鳴磬雨花間(청창명경우화간) : 갠 창에는 풍경 소리 꽃비가 내리는 듯하다 蒸炎挽斷東歸興(증염만단동귀흥) : 찌는 더위가 동쪽으로 갈 흥을 끊어 버리니 悵望雲邊碧數鬟(창망운변벽수환) : 구름 가의 두어 푸른 봉우리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不寐(불매) 잠 못 이루며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不寐(불매) 잠 못 이루며 世亂疎儒術(세란소유술) : 어지러운 세상, 공자 가르침 멀고 時危忌太言(시위기태언) : 시절 위태로워 대언을 꺼리는구나 不眠憂社稷(불면우사직) : 잠 못 이루고 나라 걱정하면서도 無力濟黎元(무력제려원) : 창생들을 구제할 만한 힘도 없도다 草草新年夢(초초신년몽) : 초조해 하는 것은 새해의 꿈 蕭蕭古驛軒(소소고역헌) : 쓸쓸한 것은 옛 역사로다 家鄕已千里(가향이천리) : 고향집 벌써 천리나 멀어 誰肯問寒暄(수긍문한훤) : 그 누가 내 안부를 물어줄거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辰日聚族小酌(신일취족소작) 신일에 가족과 술을 마시며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辰日聚族小酌(신일취족소작) 신일에 가족과 술을 마시며 ​賤降茲辰吉(천강자진길) : 천한 내가 이 좋은 때에 나서 荒郊竝二難(황교병이난) : 황량한 교외에서 두 난리를 겪었구나 徵歌如訪士(징가여방사) : 노래 부르는 건 선비를 찾는 것 度曲若循環(도곡약순환) : 노래의 절주는 고리가 구르는 듯 群玉盈庭喜(군옥영정희) : 뛰어난 자제들은 뜰에 가득 기쁘고 淸詩入座寒(청시입좌한) : 청초한 시는 좌석에 들어 차갑도다 敍天倫樂事(서천륜악사) : 천륜의 즐거운 일을 벌이니 忘却在衡關(망각재형관) : 누추한 집에 있음도 잊어버렸도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雪後(설후) 눈 온 뒤에 짓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雪後(설후) 눈 온 뒤에 짓다 雪後山扉晩不開(설후산비만불개) 눈 온 뒤 산 사립은 늦도록 열지 않았고 ​溪橋日午小人來(계교일오소인래) 시내 다리엔 한낮에도 오는 사람이 적구나 冓爐伏火騰騰煖(구로복화등등난) 화로 안에 묻어놓은 불 대단히 따스워 茅栗如拳手自煨(모율여권수자외) 주먹만한 밤을 손수 구워 먹노라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宿寧館記夢[숙녕관기몽] 숙녕관에서의 꿈을 적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宿寧館記夢[숙녕관기몽] 숙녕관에서의 꿈을 적다. 溽暑中人難著睡[욕서중인난저수] : 장마철 무더위 속 사람들 잠 이루기 어려운데 官居草草小於蝸[관거초초소어와] : 거처하는 관청은 초라하니 작은 달팽이 갖구나. 無端一夜滄洲夢[무단일야창주몽] : 무단히 하룻 밤 큰 바다 물가의 꿈을 꾸는데 蘆葦如霜月滿沙[노위여상월만사] : 갈대는 서리 같고 물가엔 달빛만 가득하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江閣觀雨(강각관우) 강가 누각에서 내리는 비를 보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江閣觀雨(강각관우) 강가 누각에서 내리는 비를 보다 雲間日脚漏靑蕪(운간일각루청무) : 구름 사이로 햇발이 새어나와 순무를 비추고 雲外靈珠一點孤(운외령주일점고) : 구름 밖에 영주봉이 한 점 가물거린다.​ 風自遠峯來有響(풍자원봉래유향) : 먼 봉우리에서 바람소리 들려오고 朦朦吹雨過平湖(몽몽취우과평호) : 흠뻑 비를 날리며 평평한 호수를 지나간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棄婦(기부) 버림받은 부인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棄婦(기부) 버림받은 부인 天寒落日細煙生(천한락일세연생) : 날씨는 차고 해는 지고 가는 연기 피어올라 白屋蕭蕭機杼鳴(백옥소소기저명) : 흰 집은 쓸쓸하고 베 짜는 소리 울린다. 枕上鴛鴦若解語(침상원앙약해어) : 베개머리의 원앙은 사람 말소리 아는 것 같아​ 爲教傅道妾分明(위교부도첩분명) : 전하여 말하게 하니 첩이 알아듣는구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病後曉起(병후효기) 병난 후 새벽에 일어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病後曉起(병후효기) 병난 후 새벽에 일어나 蘺落蕭蕭一犬鳴(리락소소일견명) : 이락은 쓸쓸하고 개 짖는 소리 들려오고 天河寥闊曙霜淸(천하요활서상청) : 은하수 아득하고 새벽녘 서리는 맑아라. 貧家晝短夜多事(빈가주단야다사) : 가난한 집은 낮 시간도 짧고 밤에도 할 일 많고 曉井月明聞語聲(효정월명문어성) : 새벽녘 우물에 달은 밝아 사람의 말소리 들려온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寄申敬叔(기신경숙) 신경숙에게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寄申敬叔(기신경숙) 신경숙에게 兩地俱爲放逐臣(양지구위방축신) : 두 처지가 모두 쫓겨난 신하 中間消息各沾巾(중간소식각첨건) : 간간이 들리는 소식에, 눈물이 수건을 적시네 淸平山下昭陽水(청평산하소양수) : 청평산 아래의 소양강물은​ 日夜西流到漢津(일야서유도한진) : 주야로 흘러 임금 계신 한강 나루에 이르리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伽倻山中作(가야산중작) 가야산 속에서 짓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伽倻山中作(가야산중작) 가야산 속에서 짓다 蒼然暮色來霜藤(창연모색래상등) : 창연한 저문 빛은 서리 낀 등나무에 내리고 新月出林西日下(신월출림서일하) : 초승달은 숲에서 나오고 서산의 해가 진다. 問爾山中老樹精(문이산중로수정) : 묻노니 너 산중의 늙은 나무의 정령 今宵應見孤雲過(금소응견고운과) : 오늘 밤 응당히 최 고운이 지나는 것 보리라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大丘道中(대구도중)대구 가는 길에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大丘道中(대구도중) 대구 가는 길에 芳郊日煖新陽靜(방교일난신양정) : 꽃다운 들판 날은 따뜻하고 새 볕이 고요한데 無數鶬鶊恣意鳴(무수창경자의명) : 무수한 꾀꼬리들은 제 마음껏 울어 댄다. 滿眼午慵和夢過(만안오용화몽과) : 눈에 가득 한낮의 피곤함에 꿈 꾸며 지나니 一林官路不分明(일림관로불분명) : 온 숲속에 관로가 흐릇하게 보이는구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三物吟3 (삼물음3) 매미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三物吟3 (삼물음3) 매미 只向涼霄飮秋露(지향량소음추로) : 다만 서늘한 하늘에서 가을 이슬 마시고 不同群鳥競高枝(불동군조경고지) : 뭇 새들과 함께 높은 가지 다투지 않는가 傳語螳蜋莫追捕(전어당랑막추포) : 말 전하노니, 버마재비야 매미를 잡지 말라 人間何物不眞癡(인간하물불진치) : 인간 무엇인가, 진짜 바보는 아닐 것이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三物吟 2 (삼물음 2) 쥐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三物吟 2 (삼물음 2) 쥐 廁鼠數驚社鼠疑(측서수경사서의) : 측간 쥐는 자주 놀라고, 사당 쥐는 의심 사니 安身未若官倉嬉(안신미약관창희) : 몸 보호하기는 관창에서 즐겁게 노닒만 못하리라 志須滿腹更無事(지수만복경무사) : 마음은 배불리 먹고 또 무사하길 바라나 地塌天傾身始危(지탑천경신시위) : 땅 꺼지고 하늘 기울면, 몸이 비로서 위태해진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三物吟 1 (삼물음 1) 올빼미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三物吟 1 (삼물음 1) 올빼미 側頭伺隙掠人飛(측두사극략인비) : 머리 돌려 살펴다가 약탈하여 날아가고 飽滿盤天誰識汝(포만반천수식여) : 배부르면 하늘을 돌아다니니 누가 알겠는가 時同鸞鵠恣遊嬉(시동란곡자유희) : 때로 난새, 고니와 방자히 놀기도 하지만 只是中心在腐鼠(지시중심재부서) : 오로지 속마음은 썩은 쥐 노림에 있다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雨中(우중)비는 내리는데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雨中(우중)비는 내리는데 終日簷床露脚垂(종일첨상로각수) : 종일토록, 처마 아래 평상에 다리 걸치니 薄雲籠樹雨如絲(박운롱수우여사) : 얇은 구름 숲을 싸고 가랑비 실처럼 주루르 閒中未是都無事(한중미시도무사) : 한가함 속에도 전혀 일 없던 건 아니지만 養得新蕉過短籬(양득신초과단리) : 새 파초 키워 울타리보다 높이 올라가는구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福泉寺東臺題僧軸(복천사동대제승축)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福泉寺東臺題僧軸(복천사동대제승축) 복천사 동대에서 승축에 제하다 林僧問我何爲者(림승문아하위자) : 산승이 나에게 무엇 하는 사람이냐 하니 ​我笑不膺僧改容(아소불응승개용) : 웃기만 하고 응하지 않으니 스님 얼굴빛이 변한다 ​坐久中心忽有得(좌구중심홀유득) : 오래 앉으니 마음속에 문득 얻은 것 있어 ​掀眉熟視天王峯(흔미숙시천왕봉) : 나는 눈썹 치켜들고 천왕봉을 익숙히 바라보노라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往心里瞻望都城有感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往心里瞻望都城有感 (왕심리첨망도성유감) 一出都門萬事灰(일출도문만사회) : 한 번 도문을 나오니 만사가 그만 舊遊陳迹首重廻(구유진적수중회) : 옛 놀이 묵은 자취 머리 거듭 기억난다 浮天好在終南色(부천호재종남색) : 하늘에 뜬 종남산, 산 빛은 좋은데 佳氣葱蘢紫翠堆(가기총롱자취퇴) : 아름다운 기운 가득하고 자주색 비취빛 쌓였구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春日春遊(춘일춘유) 봄놀이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春日春遊(춘일춘유) 봄놀이 芳郊氣煖惠風徐(방교기난혜풍서) : 꽃다운 들판, 날은 화창하고 바람 살랑거리고 天朗衣輕體自舒(천랑의경체자서) : 하늘은 맑고 옷차림은 가벼워 몸은 편안하다 縱蹇平原隨所往(종건평원수소왕) : 둔한 말이라도 말 가는 대로 들판을 따라가며 杜鵑多處少蹰躇(두견다처소주저) : 두견화가 많은 곳에선 잠깐 머뭇거리며 논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德山驛(덕산역) 덕산역에서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德山驛(덕산역) 덕산역에서 古驛荒涼雪壓籬(고역황량설압리) : 황량한 고역, 흰 눈은 울타리르 누르고 僕夫相伴夜啼飢(복부상반야제기) : 노복들은 한밤중에 배고프다 울어 댄다 騷家情景嘗應盡(소가정경상응진) : 시인의 정취는 일찍이 다했을 것인데 天遣詩豪發妙思(천견시호발묘사) : 하늘이 시인을 보내어 묘한 생각 열어준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이월 육일에 북청에 이르러 古堠松牌記北靑(고후송패기북청) : 옛 돈대의 소나무 팻말에 북청이라 쓰였는데 板橋西畔少人迎(판교서반소인영) : 판교의 서쪽 둔덕에서 마중 나오는 이 적구나 群山定欲囚豪傑(군산정욕수호걸) : 뭇 산들은 정히 호걸을 가두고자 하여 回望千峯鎖去程(회망천봉쇄거정) : 돌아보니, 일천 봉우리가 갈 길을 막아 버린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이월 육일에 북청에 이르러 古堠松牌記北靑(고후송패기북청) : 옛 돈대의 소나무 팻말에 북청이라 쓰였는데 板橋西畔少人迎(판교서반소인영) : 판교의 서쪽 둔덕에서 마중 나오는 이 적구나 群山定欲囚豪傑(군산정욕수호걸) : 뭇 산들은 정히 호걸을 가두고자 하여 回望千峯鎖去程(회망천봉쇄거정) : 돌아보니, 일천 봉우리가 갈 길을 막아 버린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夜坐(야좌) 밤에 앉아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夜坐(야좌) 밤에 앉아 終宵默坐算歸程(종소묵좌산귀정) : 밤새도록 묵묵히 앉아 돌아온 길 헤아리는데 曉月窺人入戶明(효월규인입호명) : 새벽달 사람 엿보며 문에 들어와 밝도다 忽有孤鴻天外過(홀유고홍천외과) : 갑자기 외기러기 하늘 밖에서 지나가니 來時應自漢陽城(래시응자한양성) : 올 때는 응당 한양성에서 출발했으리라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端午思先墓(단오사선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端午思先墓(단오사선묘) 단오에 선묘를 생각하며 忠孝傳家及此身(충효전가급차신) : 충효를 대대로 집안에 전하여 나에게 왔는데​ 爺孃常戒汝爲人(야양상계여위인) : 부모님께서 항상 너 사람 되라 경계하셨도다 龍荒是日天連海(룡황시일천련해) : 오랑캐 땅 오늘은 하늘과 바다가 연접했는데 每聽林烏哭令辰(매청림오곡령진) : 좋은 때에 곡하는 숲속 까마귀 소리 매번 들린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四月初二日霜降(사월초이일상강)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四月初二日霜降(사월초이일상강) 사월 초이튿날 서리가 내리다 ​ 人事天時孰主張(인사천시숙주장) : 사람의 일과 하늘의 때를 누가 주관하는지 ​征途搔盡鬢滄浪(정도소진빈창랑) : 가는 도중 창랑수에 귀밑머리 긁어 다 빠진다 ​君王欲識蒼生事(군왕욕식창생사) : 임금님께서 만 백성의 일을 아시려 하면 ​四月光州有殞霜(사월광주유운상) : 사월 하늘, 광주 고을에 서리가 내렸습니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雨後巡邊(우후순변)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雨後巡邊(우후순변) 비 내린 뒤에 변방을 순찰하며 ​ 雨後旌旗媚夕陽(우후정기미석양) : 비 온 뒤의 깃발은 석양 아래 아름답고 萬條楊柳拂陂塘(만조양류불피당) : 수 만 가지 수양버들은 둑에서 날리는구나 ​ 慙吾宦迹偏榮達(참오환적편영달) : 부끄럽구나, 내 벼슬길 특별히 영달하여 ​ 四十元戎鬢未蒼(사십원융빈미창) : 귀밑머리 시꺼먼 마흔 살의 원수라니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曉起(효기)새벽에 일어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曉起(효기)새벽에 일어나 雪屋風鳴戶(설옥풍명호) 눈 내린 집안 바람이 문풍지 울리고 鉤簾月影哀(구렴월영애) 주렴 걷으니 그림자 슬프기도 하여라 時危有隱慮(시위유은려) 시절이 위중하여 숨긴 걱정이 있으니 隣女曉歌懷(린녀효가회) 이웃 여인 이른 새벽 심회를 노래 하누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山水圖 3수(산수도 3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山水圖 3수(산수도 3수) [ 제 1 수 ] 江虛月露明(강허월로명) : 강이 비니 달이 밝게 드러나고 夜久松杉寂(야구송삼적) : 밤 깊어 소나무와 삼나무가 고요하다. 漁人未歸來(어인미귀래) : 어부는 아직 돌아오지 않았는데 浪擊溪頭石(랑격계두석) : 물결이 개울머리 바위를 때리는구나 [ 제 2 수 ] 驢後小兒隨(려후소아수) : 당나귀 뒤에 어린아이 따라가고 ​驢前風日好(려전풍일호) : 당나귀 앞에는 바람에 날씨가 개었다. ​無人語所思(무인어소사) : 생각한 것 함께 나눌 사람 없어 ​獨自行長道(독자행장도) : 쓸쓸히 혼자서 머나먼 길을 가노라 [ 제 3 수 ] 落雁帶斜景(락안대사경) : 내려앉는 기러기 석양빛 띠고 ​雲濤浮遠空(운도부원공) : 하늘가의 파도 멀리 공중에 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