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 368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子夜吳歌 4수(자야오가 4수)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子夜吳歌 4수(자야오가 4수) [ 제 1 수 ] 봄의 노래 春歌(춘가) ​ 秦地羅敷女(진지나부녀) : 진나라 땅 나부라는 여인 採桑綠水邊(채상녹수변) : 푸른 물가에서 뽕잎을 따고 있었네 素手青條上(소수청조상) : 하얀 손은 푸른 가지 위에 움직이고 紅妝白日鮮(홍장백일선) : 붉은 화장은 밝은 햇빛에 더욱 선명하네 蠶飢妾欲去(잠기첩욕거) : 누에가 배고파 저는 빨리가야 해니 五馬莫留連(오마막류련) : 태수여 나 붙들지 마세요 [ 제 2 수 ] 여름의 노래 -夏歌(하가) 鏡湖三百里(경호삼백리) : 거울 같이 맑은 호수 삼백리 菡萏發荷花(함담발하화) : 연봉오리에서 연꽃이 피는구나 五月西施採(오월서시채) : 오월에 서시가 연꽃을 캐는데 人看隘若耶(인간애약야) : 사람들이 약야..

서체별 병풍 2023.12.29

香山居士 白居易(향산거사 백거이). 浪淘沙詞六首3(낭도사사륙수3)

香山居士 白居易(향산거사 백거이). 浪淘沙詞六首 3(낭도사사륙수 3) 靑草湖中萬里程(청초호중만리정) : 호수 가운데 푸른 풀은 만 리 기다란 길 黃梅雨裏一人行(황매우리일인항) : 빗속의 누렇게 익은 매실꽃 한 사람 걸을 거리 愁見灘頭夜泊處(수견탄두야박처) : 수심겨워 여룰 가에 밤에 정박할 곳 바라보니 風翻闇浪打船聲(풍번암낭타선성) : 바람이 푸른 물결을 뒤집으며 뱃전을 치는 소리

韋應物(위응물). 聽嘉陵江水聲寄深上人(청가릉강수성기심상인) 가릉강의 물소리를 듣고 심 상인에세 부치다

韋應物(위응물). 聽嘉陵江水聲寄深上人(청가릉강수성기심상인) 가릉강의 물소리를 듣고 심 상인에세 부치다 鑿崖세奔湍(착애세분단) 벼랑을 뚫고 급류가 쏟아지니 稱古神禹跡(칭고신우적) 이를기를 그 옛날 신령스러운 우임금의 자취라네 夜喧山門店(야훤산문점) 한밤중에 산 어귀 객사가 시끄러우니 獨宿不安席(독숙불안석) 홀로 자는 잠자리가 편하지 않네 水性自云靜(수성자운정) 물의 본성은 원래 고요하고 石中本無聲(석중본무성) 돌에는 본디 소리가 없는데 如何兩相激(여하량상격) 어찌하여 둘이 서로 부딪치면 雷轉空山驚(뢰전공산경) 우렛소리가 텅 빈 산을 놀라게 하는가 貽之道門舊(이지도문구) 불가의 옛 친구에게 보내니 了此物我情(료차몰아정) 나 이외의 것과 나와의 이러한 이치를 그는 알고 있겠지

위응물(737) 2023.12.29

少陵 杜甫(소릉 두보). 復愁十二首 2(복수십이수 2)다시 수심에 겨워

少陵 杜甫(소릉 두보). 復愁十二首 2(복수십이수 2) 다시 수심에 겨워 釣艇收緡盡(조정수민진) : 낚시배 낙시줄 다 걷으니 昏鴉接翅稀(혼아접시희) : 저녘 가마귀 날개짓 드물다 月生初學扇(월생초학선) : 달이 떠올라 둥글어지는데 雲細不成衣(운세부성의) : 구름은 엷어서 옷이 되지 못한다

소릉 두보(712) 2023.12.29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橫江詞 1(횡강사 1) 횡강사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橫江詞 1(횡강사 1) 횡강사 人道橫江好(인도횡강호) : 사람들은 횡강이 좋다고 하지만 儂道橫江惡(농도횡강악) : 나는 횡강이 험악하다 말하노라 一風三日吹倒山(일풍삼일취도산) : 한 번 바람 일면 사흘이나 불어 산이라도 넘어뜨리고 白浪高于瓦官閣(백랑고우와관각) : 흰 물결은 와관각 보다도 더 높아라

왕유(王維). 涼州賽神(양주새신) 양주에서 굿 하다

왕유(王維). 涼州賽神(양주새신) 양주에서 굿 하다 ​ 涼州城外少行人(양주성외소항인) : 양주성 밖에 행인은 드물고 百尺峯頭望虜塵(백척봉두망노진) : 백 척 산봉우리에서 오랑캐 땅 먼지 바라본다. 健兒擊鼓吹羌笛(건아격고취강적) : 건장한 사나이가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 共賽城東越騎神(공새성동월기신) : 성 동쪽 월기신에게 제사를 올린다.

마힐 왕유(699) 2023.12.29

鹿門處士 孟浩然(록문처사 맹호연). 大堤行寄萬七(대제행기만칠) 대제행 가사를 만칠에게 부침

鹿門處士 孟浩然(록문처사 맹호연). 大堤行寄萬七(대제행기만칠) 대제행 가사를 만칠에게 부침 大堤行樂處(대제행낙처) : 대제행 악곡이 연주되는 곳 車馬相馳突(거마상치돌) : 수레와 말들 서로 달려 부딪힌다. 歲歲春草生(세세춘초생) : 해마다 봄풀은 자라고 踏靑二三月(답청이삼월) : 답청하는 이삼월 달이로다. 王孫挾珠彈(왕손협주탄) : 왕손은 거문고 끼고 오고 游女矜羅襪(유녀긍나말) : 유녀는 비단 버선 자랑한다. 攜手今莫同(휴수금막동) : 마주 잡은 손 오늘은 같지 않으니 江花爲誰發(강화위수발) : 강가의 꽃은 누굴 위해 피어나는가.

五柳先生 陶淵明(오류선생 도연명). 飲酒 7(음주 7) 술을 마시다

五柳先生 陶淵明(오류선생 도연명). 飲酒 7(음주 7) 술을 마시다 秋菊有佳色(추국유가색) 가을 국화 색깔 아름답기 그지없어 浥露掇其英(읍로철기영) 이슬에 젖은 그 꽃잎을 딴다 汎此忘憂物(범차망우물) 이 세상 시름과 근심 무두 술잔에 띄워 遠我遺世情(원아유세정) 세상 모든 정 모두 떠나 보낸다 一觴雖獨進(일상수독진) 술잔은 비록 홀고 비우고 있거니 盃盡壺自傾(배진호자경) 잔 비우니 술병은 저절로 기울어 진다 日入群動息(일입군동식) 해지면 온갖 움직임은 멎고 歸鳥趨林鳴(귀조추림명) 둥지로 돌아오는 새 숲을 향해 우는구나 嘯傲東軒下(소오동헌하) 동편 툇마루에서 휘파람 불며 거닐어 보니 聊復得此生(료부득차생) 또다시 산다하여도 이렇게 살아 봄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