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 368

南冥 曺植 (남명 조식)​​​. 題永陽採蓮堂(제영양채련당) 영양 채연당에 제하다

南冥 曺植 (남명 조식)​​​. 題永陽採蓮堂(제영양채련당) 영양 채연당에 제하다 樑木蘭江玉沙 (양목란강옥사) : 대들보에 목란 무늬, 강가엔 옥 같은 모래, 綠野蒼烟渾亦何(녹야창연혼역하) : 푸른 들 파아란 연기 온통 무엇과 같은가. 欲把天香聞帝室(욕파천향문제실) : 좋은 향기 하늘에 알리고 싶지만 茫茫下土塵霞(망망하토진하) : 하늘 아래 땅에는 먼지와 놀이 아득하여라

남명 조식(1501) 2023.12.08

退溪 李滉[퇴계 이황]. 遊山書事 12[유산서사 12] 산을 유람한 일을 쓰다. 還家 : 집으로 돌아오다.

退溪 李滉[퇴계 이황]. 遊山書事 12[유산서사 12] 산을 유람한 일을 쓰다. 還家 : 집으로 돌아오다. 遊山何所得[유산하소득] : 산에서 즐기며 얻은 것이 무엇인가 如農自有秋[여농자유추] : 농부와 같이 진실로 넉넉한 가을이라. 歸來舊書室[귀래구서실] : 예전의 서실로 돌아 오길 마치고 靜對香烟浮[정대향연부] : 향불 연기 떠도는 고요함 마주하네. 猶堪作山人[유감작산인] : 오히려 산 사람이 된듯 즐기니 幸無塵世憂[행무진세우] : 다행히 속세의 근심이 없구나.

퇴계 이황(1501) 2023.12.07

秋江 南孝溫(추강 남효온). 長興偶吟 21( 우음 21) 장흥에서 언뜻 떠올라 읊다

秋江 南孝溫(추강 남효온). 長興偶吟 21( 우음 21) 장흥에서 언뜻 떠올라 읊다 唐世無能識志和(당세무능식지화) 당나라 시대에 능히 은인 장지화를 아는사람 없었고 呂巖流落袖靑蛇(여암유락수청사) 선인 여암은 타향살이하며 보검인 청사검 을 소매 속에 숨겼네 神仙本是蹭蹬客(신선본시층등객) 신선이란 본디 뜻을 이루지 못한 나그네이건만 人道貪生鄙術家(인도탐생비술가) 사람들은 목숨이나 탐내는 천한 재주를 지닌 자라고 하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福靈寺(복령사) 복령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福靈寺(복령사) 복령사 伽藍却是新羅舊(가람각시신라구) : 절은 실로 신라시대 옛 건물 千佛皆從西竺來(천불개종서축래) : 천불상은 다 축국에서 가져온 것들 終古神人迷大隗(종고신인미대외) : 옛 신인이 찾아 천지를 헤매었던 땅 至今福地似天台(지금복지사천태) : 지금은 천태산같은 복된 땅이어라 春陰欲雨鳥相語(춘음욕우조상어) : 비 내릴 듯 흐릿한 봄날에 새들은 지저귀고 老樹無情風自哀(로수무정풍자애) : 무정한 고목에 불어드는 바람소리는 절로 애처롭다 萬事不堪供一笑(만사불감공일소) : 만사는 한 바탕 웃음거리일 뿐 靑山閱世只浮埃(청산열세지부애) : 세상 살아보니 청산도 한갓 날리는 흙먼지로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陜川聞子規詩(합천문자규시) 협천에서 자규의 울음소리를 듣고

容齋 李荇(용재 이행). 陜川聞子規詩(합천문자규시) 협천에서 자규의 울음소리를 듣고 江陽春色夜凄凄(강양춘색야처처) : 강 남쪽의 봄 색은 밤이 더욱 처량하여 睡罷無端客意迷(수파무단객의미) : 무단히 잠 깨니, 나그네 생각 어지러워라 萬事不如歸去好(만사불여귀거호) : 만사가 뜻대로 안되니, 돌아감이 좋다는데 隔林頻聽子規啼(격임빈청자규제) : 숲 건너 두견의 울음, 자주 들려오는구나

용재 이행(1478) 2023.12.07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探梅 4首(탐매 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探梅 4首(탐매 수) 大枝蟠屈小枝糾(대지반굴소지규) 큰 가지 구불어지고 작은 가지가 서로 얽히고 一幹斜橫杜若洲(일간사횡두약주) 한 줄기는 두약 피는 물가에 비스듬히 걸쳤네 淸影若非三五魄(청영약비삼오백) 보름의 만월아래 맑게비친 네 모습 없었다면 平生描得定無由(평생묘득정무유) 한 평생을 그려 본들 무슨 소용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