蓀谷 李達 (손곡 이달). 長信四時宮詞 4수(장신사시궁사 4수) 장신사시궁사 蓀谷 李達 (손곡 이달). 長信四時宮詞 4수(장신사시궁사 4수) 장신사시궁사 [ 제 1 수 ] 別院無人楊柳齊(별원무인양류제) : 별원에 사람은 없고 버드나무 늘어지고 早衙初散戟門西(조아초산극문서) : 이른 아침 조회 후에 극문의 서쪽으로 흩어진다 畫梁東角雙飛燕(화량동각쌍비연) : 화려한 기둥 동쪽 모서리에 쌍을 지어날고 依舊春風覓故棲(의구춘풍멱고서) : 봄바람은 옛날처럼 옛 둥지를 찾아든다 [ 제 2 수 ] 龍與新幸建章宮(용여신행건장궁) : 천자의 수레는 새로 건장궁으로 행차하니 十部笙歌後苑中(십부생가후원중) : 십부의 생가소리 후원에서 들려오는구나 深院綠苔人不見(심원녹태인불견) : 이끼 낀 깊은 궁궐에 사람은 보이지 않고 石榴花影曲欄東(석류화영곡난동) : 굽은 난간 동쪽에 석류꽃 그림자만 드리워져 있도.. 서체별 병풍 2023.12.24
왕유(王維). 皇甫岳雲溪雜題五首(황보악운계잡제오수 ) 황보악의 운계에 대한 잡영 다섯 수 왕유(王維). 皇甫岳雲溪雜題五首(황보악운계잡제오수 ) 황보악의 운계에 대한 잡영 다섯 수 [ 제 1 수 ] 鳥鳴磵 : 새 우는 골짜기 人閒桂花落(인한계화낙) : 사람 한가하고 계수나무꽃 떨어지고 夜靜春山空(야정춘산공) : 밤시간 고요하고 봄산은 비어있구나. 月出驚山鳥(월출경산조) : 달 떠자 산새들이 놀라고 時鳴春澗中(시명춘간중) : 때때로 봄 골짝 안에거 울어대는구나. [ 제 2 수 ] 蓮花塢 : 연꽃 핀 언덕 日日採蓮去(일일채련거) : 날마다 연꽃 따러가서는 洲長多暮歸(주장다모귀) : 모래톱이 길어 늘 저물어 온다네. 弄篙莫濺水(농고막천수) : 상앗대 놀려도 물 튀기지 말게나 畏濕紅蓮衣(외습홍련의) : 붉은 연꽃에 옷 적실까 두렵다네. [ 제 3 수 ] 鸕鶿堰 : 가마우지 나는 언덕 乍向紅蓮沒(사향.. 서체별 병풍 2023.12.24
順菴 安鼎福 (순암 안정복). 詠物十絶(영물십절) 벌레를 소재로 지은 절구 10 수 順菴 安鼎福 (순암 안정복). 詠物十絶(영물십절) 벌레를 소재로 지은 절구 10 수 [ 제1수 ] 蟬(선) 매미 赫日方如火(혁일방여화) 붉은 해가 바야흐로 불덩어리 같은데 蟬鳴猶不已(선명유불이) 매미는 오히려 끊임없이 울어대네 誰知綠葉間(수지록엽간) 누가 알까 저 푸른 나뭇잎 사이에 有此淸凉地(유차청량지) 그렇게 맑고 서늘한 곳 있는 줄을... [ 제2수 ] 蟻(의) 개미 居能避雨潦(거능피우료) 살다가 비가 와서 물에 잠기면 피할 수 있고 出而死長上(출이사장상) 나와서는 윗사람을 위해 죽을 줄도 아네 命名固不爽(명명고불상) 지어 붙인 이름 한결같이 어긋나지 않고 其智亦可尙(기지역가상) 그 슬기 또한 높여 소중히 여길 만하네 [ 제3수 ] 螢(형) 반딧불이 暗室易欺心(암실역기심) 으슥하고 후미진 곳에서는 .. 서체별 병풍 2023.12.24
容齋 李荇(용재 이행). 慽 慽 (척 척) 슬프 도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慽 慽 (척 척) 슬프 도다 慽慽高秋氣(척척고추기) 맑은 가을 기운에 슬퍼지고 茫茫落日時(망망낙일시) 아득한 한늘 저편에 해 지누나 又生霜露感(우생상로감) 게다가 또 상로의 느낌이 이니 未盡鳥鳥悲(미진조조비) 불효 자식의 슬픔 다하지 않는구나 眼眚看成黑(안생간성흑) 눈은 병들어 희미해지고 顚毛颯以垂(전모삽이수) 허연 머리털은 헝클어 졌구나 只今方寸志(지금방촌지) 지금 내 마음 한구석 어두운 것은 恐負令名貽(공부영명이) 부모님 명성에 누를 끼칠까 걱정 때문 일세 용재 이행(1478) 2023.12.24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探梅 6首(탐매 6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探梅 6首(탐매 6수) 雪路尋君獨杖藜(설로심군독장려) 눈길에 너를 찾아 홀로 지팡이 짚고 나서니 箇中眞趣悟還迷(개중진취오환미) 속 참된 아취 깨달은 듯 도로 아득해지네 有心却被無心使(유심각피무심사) 무심한 너를 두고 차마 떠날 수 없어 直到參橫月在西(직도삼횡월재서) 먼동이 트는줄도 모르고 하염없이 서성거리네 매월당 김시습(1435) 2023.12.24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三月二十九日聞鷪(삼월이십구일문앵) 삼월 이십 구일에 꾀꼬리 소리 듣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三月二十九日聞鷪(삼월이십구일문앵) 삼월 이십 구일에 꾀꼬리 소리 듣다 墮紅殘萼更堪憐(타홍잔악경감련) : 떨어진 붉은 꽃 남은 꽃받침 더욱 가련하고 回首名園草似煙(회수명원초사연) : 이름난 동산으로 돌아보니 풀은 푸른 연기 같구나 驚殺午窓鄕國夢(경살오창향국몽) : 낮잠 속 고향 꿈에 놀라 깨어 일어나니 鷪聲依舊忽淸圓(鷪성의구홀청원) : 꾀꼬리 소리 옛날같이 맑고 부드럽구나 점필재 김종직(1431) 2023.12.24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大邱十景 1(대구십경 1) 琴湖泛舟(금호범주, 금호강의 뱃놀이) 四佳亭 徐居正(사가정 서거정). 大邱十景 1(대구십경 1) 琴湖泛舟(금호범주, 금호강의 뱃놀이) 琴湖淸淺泛蘭舟(금호청천범난주) 금호강 맑은 물에 조각배 띄우고 取此閑行近白鷗(취차한행근백구) 한가히 오가며 갈매기와 노닐다가 盡醉月明回棹去(진취월명회도거) 달 아래 흠뻑 취해 뱃길을 돌리니 風流不必五湖遊(풍류불필오호유) 오호가 어디더냐 이 풍류만 못하리 사가정 서거정(1420) 2023.12.24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상즉위명조수조하(上卽位明朝受朝賀) 즉위한 날 아침 조회를 받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상즉위명조수조하(上卽位明朝受朝賀) 즉위한 날 아침 조회를 받다 天命人歸在嗣王(천명인귀재사왕) : 천명과 인심이 주상에게 돌아가니 勃興垂拱正當陽(발흥수공정당양) : 분연히 일어나 공수하고 남쪽으로 앉으셨다. 絳侯撥亂開新業(강후발난개신업) : 강후 주발이 난리를 평정하고 새 업을 여니 漢室從玆獲再昌(한실종자획재창) : 한 나라가 이에 다시 번창했었다. 文武分行庭左右(문무분항정좌우) : 문무관은 조정의 좌우에 도열하고 冕旒臨下殿中央(면류림하전중앙) : 주상은 면류관 차림으로 중앙에 임하셨도다. 永安宗社伊誰力(영안종사이수력) : 종사가 안정된 건 누구의 힘이었든가 應使斯民竟不忘(응사사민경부망) : 백성들이 마음속으로 영원히 잊지 못하리라. 춘정 변계량(1369) 2023.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