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9

簡易 崔岦(간이 최립). 次梅窓花潭韻 1(차매창화담운 1) 매창의 화담 시에 차운하다

簡易 崔岦(간이 최립).    次梅窓花潭韻 1(차매창화담운 1)매창의 화담 시에 차운하다  盡日行山中(진일행산중)온종일 산속을 돌아 다녔지만 不知茅棟處(부지모동처)선생의 띳집이 있었던 곳을 모르겠네 白雲生樹顚(백운생수전)흰 구름만 나무 꼭대기에서 피어오르고 時有樵童語(시유초동어)이따금 땔나무 하는 아이의 말소리만 들려 오는구나

孤竹 崔慶昌(최경창). 臨津(임진) 임진강에서

孤竹 崔慶昌(최경창).   臨津(임진)  임진강에서 揮手謝親愛(휘수사친애)손 흔들어 사랑하는 이 이별하고 走馬赴幽燕(주마월유연)말을 달려 중국으로 가네.十月雪微下(십월설미하)시월에 가는 눈발 날리고 長河氷欲堅(장하빙욕견)긴 강은 얼음이 얼려 하는구나. 雲端隱鳳闕(운서은봉궐)구름자락은 대궐을 가리었고 匣裡吼龍泉(갑리후룡천)갑 속에 용천검이 울부짖는다. 丈夫須努力(장부수노력)대장부가 모름지기 노력해야 함은 不爲兒女憐(불위아녀련)아녀자의 사랑 때문이 아니네.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卽 事 (즉 사) 보이는 대로 바로 짓다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卽 事 (즉 사) 보이는 대로 바로 짓다  明月掛天心 (명월괘천심)밝은 달이 하늘 한가운데 걸렸으니 分明兩鄕見 (분명량향견)틀림없이 확실하게 두 마을을 보리라. 浮雲亦何意 (부운역하의)뜬 구름 또한 무슨 뜻으로 能成片時眩 (능성편시현)잠시나마 달을 가려 어지럽게 할까.

栗谷 李珥 (율곡 이이). 九月十五夜見月感懷 1[ 9월십오야견월감회 1] 9월 15일 밤 달을보는 감회

栗谷 李珥 (율곡 이이).    九月十五夜見月感懷  1[ 9월십오야견월감회  1]9월 15일 밤 달을보는 감회 咄咄獨無寐[돌돌독무매] : 괴이히 놀라 홀로 잠들지 않고擁衾淸夜闌[옹금청야란] : 이불을 안고서 고요한 밤을 새우네.木疏牀剩月[목소상잉월] : 성긴 나무와 마루에 달빛은 길지만籬缺缺當山[리결결당산] : 모자란 대나무 이 산에선 나오지 않네.感舊衣常濕[감구의상습] : 친구를 생각하니 옷은 늘 젖어있고懷人眼幾寒[회인은기한] : 그사람 생각에 자주 눈이불거져 쓸쓸하네.平生一長劍[평생일장검] : 평생에 한 번 긴 칼로無計剪憂端[무계전우단] : 헤아림 없이 근심의 원인을 제거하리라.

율곡 이이(1536) 2024.06.25

松江 鄭澈(송강 정철). 봉승기율곡(逢僧寄栗谷) 스님을 만나 율곡에게 부치다

松江 鄭澈(송강 정철).   봉승기율곡(逢僧寄栗谷) 스님을 만나 율곡에게 부치다  折取葛山葵(절취갈산규)갈산에서 해바라기 꺾어 逢僧寄西海(봉승기서해)스님 만나 서해로 부치네 西海路漫漫(서해로만만)서해 길은 멀고 아득하니 能無顔色改(능무안색개)안면몰수나 하지 마시길

송강 정철(1536) 2024.06.25

작가 : 문백인(文백仁). 제목 : 계산선관도(溪山僊館圖)

작가 : 문백인(文백仁)아호 : 오봉(五峰)제목 : 계산선관도(溪山僊館圖)언제 : 明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규격 : 180 x 63.3 cm소장 : 미국 개인 해설 : 문백인은 문징명의 조카로. 자는 덕승(德承). 호는 오봉(五峰)이다. 그는 문가(文嘉). 육치(陸治)와 더불어 문징명의 산수화풍을 계속 이어 후기 오파의 양식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그림은 비교적 조기(早期)의 작품으로 선관(僊館)이라는 제목에 어울리는 이상한 모양의 원산이 솟아있고. 그 밑은 여러 개의 폭포수. 그리고 나무와 집들로 꽉 들어찬 산의 모습이 연결된다. 준법과 태점은 왕몽의 영향을 보여주며. 나무의 모습과 담백한 색조는 문징명 산수화의 특징을 나타낸다. 모든 요소들이 하나하나 선명하게 그려졌지만 전체적으로 ..

중국고전명화 2024.06.25

작가 : 최북(崔北). 제목 : 금강산표훈사도(金剛山表訓寺圖)

작가 : 최북(崔北)아호 : 호생관(毫生館). 삼기재(三奇齋). 거기재(居其齋)제목 : 금강산표훈사도(金剛山表訓寺圖)언제 : 18세기 중엽 ~ 19세기 초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규격 : 38.5 x 57.5 cm소장 : 한국개인 해설 : 최북의 처음 이름은 식(植)이고 자는 성기(聖器). 유용(有用). 칠칠(七七) 등을 사용했고. 호는 호생관(毫生館). 삼기재(三奇齋). 거기재(居其齋) 등 이었지만 호생관을 가장 많이 이용했다. 이 금강산표훈사도(金剛山表訓寺圖)는 금강산의 표훈사와 그 주위의 아름다운 경치를 그려내듯. 뚜렷하게 넓은 폭으로 전개하여 묘사한 작품이다. 일종의 평원산수법에 의해 내산과 외산을 거의 동일선상에서 묘사하고 있어, 이것은 마치 산으로 들어갈수록 멀리 있는 높은 산들이 오히려 ..

한국고전명화 2024.06.25

작가 : 정황(鄭榥). 제목 : 이안와수석시축(易安窩壽席詩軸)

작가 : 정황(鄭榥)아호 : 손암(巽庵)제목 : 이안와수석시축(易安窩壽席詩軸)언제 : 18세기 중엽 ~ 19세기 초재료 : 족자 종이에 담채규격 : 25.3 x 57.2 cm소장 : 한국개인 해설 : 정황은 호가 손암(巽庵)이며. 정선의 손자라는 사실만 전해지고 있는 데. 조부 정선에 비하면 격이 뒤지나 실경산수 및 풍속등을 소재로 한 그림들을 남기고 있다. 몰년이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여기 소개하는 이 그림을 통하여 적어도 50세 이상 생존했음을 알수 있다. 화면 상단엔 題 가 색을 달리하는 바탕위에 적혀있고. 좌우로 이어 단 바탕에는 6행에 걸친 그림의 내용을 소상히 알려주는 묵서가 있다. 그림과 글씨가 함께 조화되어 아취(雅趣)를 더한다. 일종의 기념사진과 같은 그림이 되겠는데. 남백종(南伯宗)의 ..

한국고전명화 2024.06.25